• 제목/요약/키워드: 모델 쥐

검색결과 230건 처리시간 0.025초

두 종류의 안압계로 측정한 정상안압과 녹내장 쥐의 안압 값 비교 (Comparison of Intraocular Pressure Values of Normotensive and Glaucomatous Rats Using Two Types of Tonometers)

  • 최윤정;최지현
    • 대한시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89-596
    • /
    • 2018
  • 목적 : 우리는 두 종류의 안압계로 정상 범위 안압과 녹내장 쥐 모델의 안압을 측정하여 안압값을 비교하였다. 두 안압계 중 어느 것이 더 쉽고 정확하게 동물 모델의 안압을 측정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녹내장 눈은 6주령 수컷 Sparque-Dawley (SD) 쥐의 오른쪽 눈 전방에 점탄물질 히알루론산을 주입하여 유도하였으며 정상 대조군으로는 동일 쥐의 좌안을 사용하였다. 안압은 오후 3시경 리바운드 압평안압계 (Tonolab)와 함입 안압계 ($Tonopen^{(R)}$ XL)로 측정하였다. 결과 : 대조군인 정상 안압 눈의 평균 안압은 토노펜으로 측정 시 $10.80{\pm}1.03mmHg$, 토노랩으로 측정 시 $15.10{\pm}0.73mmHg$으로 측정되었다. 이 수치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 = .1). 실험군인 녹내장 눈의 평균 안압은 토노펜으로 측정 시 $30.20{\pm}2.67mmHg$, 토노랩으로 측정 시 $37.90{\pm}2.73mmHg$로 측정되었다. 이 수치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 = .95). 고안압인 녹내장 눈을 두안압계로 잰 수치들은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지니고 있었다 (r = .904, p < .01). 결론 : 이 연구는 두 가지 유형의 안압계를 사용하여 정상 범위 안압과 전방에 점탄물질을 삽입하여 유도한 녹내장 모델의 안압값을 비교한 최초의 연구이다. 토노펜은 안압이 정상범위일 때는 주의해서 사용해야 하며, 토노펜과 토노랩은 안압이 높은 범위일 때는 두 안압계 모두 안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전침이 흰쥐에서 먹이섭취와 시상하부의 콜레시스토키닌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lectroacupuncture on Food Intake and mRNA Expressions of the Hypothalamic Cholecystokinin in Rats)

  • 우현수;김용석;김창환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4권2호
    • /
    • pp.101-112
    • /
    • 2007
  • 목적 : CCK는 현재까지 가장 많이 연구된 식후의 포만신호 전달물질로, 음식섭취를 감소하고, 캡사이신 반응성의 미주신경에 의해 위장운동과 위내의 공복감을 억제시킨다 전침의 진통효과 발현기전에 영향을 미치는 항아편양 단백물질로서, 내인성 CCK와 그 수용체(CCK-A와 CCK-B)의 역할은 기존의 연구에서 이미 보고되어 왔다. 이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포만감의 측면에서 전침자극이 내인성 CCK의 발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 48시간 절식 쥐 모델을 이용하여, 전침자극 후 30분과 60분 동안, 먹이 섭취량 변화를 측정하고, 먹이섭취량에 영향을 주는 신경전달경로에서 CCK가 관여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미주신경절제술을 시행한 쥐와 비교하였다. 한편 48시간 절식 쥐 모델을 대상으로하여 침자극 후 시상하부의 CCK mRNA 발현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 전침군에서 30분과 60분 뒤의 먹이 섭취가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낮게 관찰되었는데, 포만감에 관련된 침의 이와 같은 효과는 CCK 수용체에 길항작용이 있는 lorglumide와 미주신경절제술에 의해 차단됨을 알 수 있었다. 시상하부의 CCK mRNA의 발현되는 대조군에 비하여 전침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이 관찰되었으나,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확인 할 수 없었다. 결론 : 위의 결과에서, 전침은 포만감에 영향을 미치는 내인성 CCK 메카니즘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알수 있었다.

  • PDF

환경적용이 수면장애 모델 쥐의 혈중 멜라토닌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fferent Environmental Application on Blood Melatonin Density in Sleep Disordered Rats)

  • 장상훈;김동현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9-16
    • /
    • 2017
  • 목적 : 본 연구는 수면장애 동물모델 쥐에게 환경변화를 적용하였을 때, 혈 중 멜라토닌의 변화를 통하여 수면장애 개선 효과를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경북 소재의 동물실험실에서 실험을 진행하였고 수면장애 모델의 흰쥐 26마리에게 적용하였다. 3일간 환경변화를 적용한 실험군과 일반 케이지에서 환경변화를 적용받지 못한 대조군의 수면장애 모델 쥐 각각 13마리의 혈 중 멜라토닌의 농도를 확인하였다. 결과 : 수면장애 모델 쥐에게 환경변화를 적용한 결과, 환경 적용 후 실험군에서는 3일간 일별 멜라토닌 농도의 변화는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0), 대조군은 3일간 일별 멜라토닌 농도의 변화는 약간의 증가는 있었지만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p=.212). 환경 적용 전, 후 멜라토닌 농도의 변화는 실험군, 대조군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 실험군에서는 멜라토닌 농도의 유의미한 증가가 있었고, 대조군에서는 멜라토닌 농도의 유의미한 감소가 있었다. 결론 : 수면장애 환자가 증가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환자들에게 적용되어지는 환경적용이 수면장애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기 위해 동물모델을 제작하였고 인간의 환경변화와 유사한 환경변화를 적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수면장애의 개선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로페로마이드로 유도한 변비랫드 모델에서 프락토올리고당 및 과채복합 추출물의 변비개선 효과 (Effects of Fructooligosaccharide and Fruit and Vegetable Complex Extracts on Loperamide-induced Constipation in Rats)

  • 김현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3호
    • /
    • pp.865-872
    • /
    • 2024
  • Loperamide에 의한 변비는 위 배출, 소장 및 대장 운동성을 감소시켰으며, 과채복합추출물(Fruit and vegetable complex extracts, FVCE)은 이러한 효과를 예방한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실험에서 로페로마이드(3mg/kg, sc, 14일)로 유발된 변비 수컷 Sprague-Dawley 쥐에 대한 프락토올리고당 및 과채복합추출물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쥐를 무작위로 정상대조군 쥐(일반식이), 변비 쥐(일반식이 + 로페로마이드), 200mg FVCE(200mg/kg/day FVCE + 로페로마이드가 보충된 일반 식이)로 처리한 변비 쥐, 400mg FVCE로 처리한 변비 쥐(200mg/kg/day FVCE와 로페로마이드가 보충된 일반 식단)으로 시험군을 구성하였다. 대조군 쥐에 비해 로페로마이드로 처리된 쥐에서 대변 배설량이 적고 대변 수분 함량이 더 낮았다. FVCE을 경구투여 하면 분변배설량의 감소를 억제하고 로페로마이드로 처리된 쥐의 대변 수분 함량. 로페로마이드를 처리한 쥐에서는 대장선와세포의 점액 생성과 대변 및 점막표면의 점액 함량이 감소하였다. 그러나 FVCE 처리군에서는 대장선와세포의 뮤신 함량이 증가하였고, Aclain blue로 염색된 점액층은 로페로마이드 처리군에 비해 FVCE 처리군에서 유의적으로 두꺼워졌다. 쥐 회장에서 로페로마이드는 회장 운동성을 억제한다. 이러한 결과는 FVCE가 로페로마이드에 의한 대장 연동 운동 억제 완화에 효과적이며 FVCE추출물이 변비 예방에 효과적 일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소 이식된 쥐 기관의 면역억제 및 초냉동 보관에 의한 형태학적 변화: 폐색성 모세기관지염의 연구를 위한 동물 실험 모델 (The Morphologic Changes by Immunosuppression after Heterotopic Transplantation of the Murine Cryopreserved Trachea: An Animal Model for Obliterative Bronchiolitis)

  • 이창하;성숙환;오미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3호
    • /
    • pp.215-223
    • /
    • 1999
  • 배경: 여러 가지 다양한 원인에 의해 기도 협착이 초래된 경우, 단단문합이 가능한 병변을 제외하고는, 기관을 대치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대용물이 고려되고 임상에서도 이용되고 있으나 아직 만족스러운 결과는 보고되고 있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 비가역적 손상을 받은 다른 장기 \ulcorner마찬가지로 기관의 이식술이 고려되고 공여 기관의 자원의 제한으로 인하여 장기간 기관의 보관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쥐를 이용한 기관의 이소이식술을 통하여 기관 이식의 임상 적용 가능성 및 초냉동 보관을 통한 장기간 보관의 실험 모델의 정립 및 형태학적 측면에 대한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30마리의 Wistar쥐에서 60개의 기관 절편을 취득하여 20마리의 Wistar쥐와 40마리의 Sprague Dawley쥐들의 복부 복강내에 이소 이식하였다. 이식 동물 대상에 따라 실험군은 모두 6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I, II, III군은 기관 절편을 취득후 곧바로 이식한 군들이며, IV, V, IV군은 기관 절편을 1개월간 -196$^{\circ}C$에서 초냉동 보관시킨 다음 이식한 군들이다. I군과 IV군은 동인자형 대조군으로 이식 대상 쥐는 공여 쥐와 같은 Wistar쥐였으며 면역억제제를 투여하지 않았다. II군과 V군은 이인자형 이식군으로 모두 Sprague-Dawley쥐로서 면역억제제를 투여하지 않았고, III군과 VI군도 마찬가지로 이인자형 이식군이었으나 면역억제제를 투여하였다. 모든 쥐는 이식술후 28일째 절명시키고 이소 이식된 기관 절편을 분리하여 조직학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기관 내강 및 상피 세포의 변화는 초냉동 보관의 시행 유무와는 차이가 없었으며, 면역억제제의 투여 유무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관찰되었다(p<0.01). 면역억제제를 투여하였던 III군과 VI군의 경우 기관 내강이 잘 유지되어 있었고 정상 상피 세포의 관찰이 가능하였으나, 나머지 군의 대부분의 기관절편에서 기관 내강이 섬유 조직의 증식에 의해 거의 폐쇄되어 있었고, 상피세포의 소실 및 상피하 조직의 관찰이 힘들었다. 이러한 기관 내강의 섬유 조직의 증식은 폐이식술과 관련된 폐색성 세지관지염의 병리 소견과 유사하였다. 결론: 쥐 기관의 초냉동 보관후의 이소 이식술시 적절한 면역억제제의 투여로 기관 내강 및 기관 상피세포가 잘 유지됨을 알 수 있어, 보다 장기간의 기관 보관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초냉동 보관의 시행 여부와는 상관없이 면역억제제를 투여하지 않은 군에서 폐색성 모세기관지염과 비슷한 양상의 기관 내강의 섬유조직 과잉 증식 및 기관 상피세포의 소실 등이 관찰되었다. 쥐와 같은 소동물에서의 이러한 시도는 폐이식술과 관련된 어려운 문제중의 하나인 폐색성 모세기관지염의 병인,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연구에 있어 좋은 실험 모델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 PDF

쥐 수염을 모델로 하는 수염 촉각 센서의 물체 표면 거칠기 구별에 관한 연구 (Surface Roughness Discrimination with Whisker Tactile Sensors Modeling Rodent Whiskers)

  • 백승훈;김대은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7권4호
    • /
    • pp.55-60
    • /
    • 2010
  • 설치류는 수염을 통해서 물체를 인식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단연 설치류뿐만 아니라 많은 수의 포유류가 사물을 인식하는데 수염을 이용하지만 특히 설치류는 수염을 통해서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표면의 거칠기 차이도 구별 할 수 있다. 설치류는 수염을 앞, 뒤로 능동적으로 움직이며 물체의 모양이나 표면의 거칠기, 패턴 따위를 판별한다. 실제 쥐 수염에는 수염뿌리 가까운 모낭 안에 수많은 신경이 모여 있어서 수염이 떨리거나 구부러질 때의 신호를 받아들인다. 쥐의 이러한 능력을 모방하여, 본 논문에서는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쥐 수염 센서를 제작하고 제작한 수염 센서를 통해 물체 표면의 거칠기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한다.

경구 내독소와 저산소로 유발된 신생쥐의 괴사성 장염모델에서 caspase-3 활성화를 통한 세포자멸사의 증가 (Neonatal Rat Necrotizing Enterocolitis Model Adopting Oral Endotoxin and Hypoxia Exhibits Increased Apoptosis through Caspase-3 Activation)

  • 이윤경;김이경;김지은;김윤주;손세경;김한석;김병일;최중환
    • Neonatal Medicine
    • /
    • 제17권1호
    • /
    • pp.44-52
    • /
    • 2010
  • 목 적 : 경구 내독소와 저산소 자극을 이용하여 신생쥐에서 실험적 괴사성 장염(necrotizing enterocolitis, NEC)을 유발하고 그 병태생리에서 세포자멸사의 역할을 알아본다. 방 법:신생쥐에 경구로 내독소(5 mg/kg)를 투여하고 8% 저산소 자극을 주어 NEC를 유발하고 성공적으로 NEC가 유발된 군에 caspase 억제제를 전처치하고 비교하였다. 장 조직의 병리학적 분석은 hematoxylin-eosin 염색한 슬라이드로 하였고 세포자멸사는 TUNEL 염색과 장 조직 caspase-3 활성으로 분석하였다. IEC-6세포주에 내독소와 저산소를 처리한 후 세포자멸사와 Bax, Bcl-2, Fas, FasL의 발현을 분석하였다. 결 과:경구 내독소(5 mg/kg)와 반복적으로 60분간 2회 투여된 8% 저산소 자극에 의해서 NEC와 유사한 장병변이 신생쥐에서 유발되었다. 장 조직은 세포자멸사와 caspase-3 활성의 증가를 보여주었다. Caspase 억제제 전처치에 의해서 세포자멸사와 NEC의 중증도가 모두 감소하였다. IEC-6 세포주도 내독소와 저산소 자극에 의해서 세포자멸사와 caspase-3 활성의 증가를 보여주었으며 Bax/Bcl-2 ratio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 론:경구 내독소와 저산소를 이용한 본 NEC 신생쥐 모델은 caspase-3 활성에 의해 매개되는 장 상피세포의 세포자멸사가 병태생리에 관여함을 보였다. 본 동물모델은 임상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자극을 적용하였기 때문에 그 병태생리와 치료적 시도의 연구에 더욱 유용하리라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