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모델 발화

Search Result 205,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An Experimental and Numeric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Devolatilization Process for Coals Utilized in Korea Using CPD Model (CPD 모델을 이용한 국내수입탄 성상에 따른 탈휘발 특성에 관한 실험 및 해석적 연구)

  • Kim, Ryang-Gyoon;Lee, Byoung-Hwa;Jeon, Chung-Hwan;Song, Ju-Hun;Chang, Young-June;Fletcher, Thomas H.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3 no.8
    • /
    • pp.613-621
    • /
    • 2009
  • Coal is the energy resource which is important with the new remarking energy resource. Coal combustion produces more NOx per unit of energy than any other major combustion technology. Pollutant emission associated with coal combustion will have a huge impact on the environment. Coal conversion has three processes which are drying, coal devolatilization and char oxidation. Coal devolatilization process is important because it has been shown that HCN which is converted from volatile N contributes 60 to 80% of the total NOx produced. This paper addresses mass release behavior of char, tar, gas and HCN in an experiment of Laminar Flow Reactor with two coals such as Roto middle coal (Sub-bituminous) and Anglo coal (Bituminous). The experiment is compared with the data predicted by CPD model for mass release of HCN about Roto south, Indominco, Weris creek and China orch coals. The results show that HCN increases as a function of decreasing the ratio of fixed carbon(FC)/ volatile matter(VM of the coals contain.)

Attentive Knowledge Selection Model for Knowledge-Grounded Multi-turn Dialogue System (지식 기반 다중 대화 시스템을 위한 주의 집중 지식 선택 모델)

  • Lee, Dohaeng;Jang, Youngjin;Huang, Jin-Xia;Kwon, Oh-Woog;Kim, Harksoo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1.10a
    • /
    • pp.361-364
    • /
    • 2021
  • 지식 기반 다중 대화 시스템은 지식 정보를 포함한 응답을 생성하는 대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응답 생성에 필요한 지식 정보를 찾아내는 지식 선택 작업과 찾아낸 지식 정보를 바탕으로 문맥을 고려한 응답을 생성하는 응답 생성 작업으로 구성된다. 본 논문에서는 지식 선택 작업을 기계독해 프레임워크에 적용하여 해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지식 선택 작업은 여러 개의 발화로 이루어진 대화 기록을 바탕으로 지식 문서 내에 존재하는 지식을 찾아내는 작업이다. 본 논문에서는 대화 기록 모델링 계층을 활용해 마지막 발화와 관련 있는 대화 기록을 찾아내고, 주의 집중 풀링 계층을 활용해 긴 길이의 지식을 효과적으로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 목적지향 지식 문서 기반 대화 데이터 셋인 Doc2dial 데이터의 지식 선택 작업에서 F1 점수 기준 76.52%, EM 점수 기준 66.21%의 성능을 기록해 비교 모델 보다 높은 성능을 기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 Study of Keyword Spotting System Based on the Weight of Non-Keyword Model (비핵심어 모델의 가중치 기반 핵심어 검출 성능 향상에 관한 연구)

  • Kim, Hack-Jin;Kim, Soon-Hyub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0B no.4
    • /
    • pp.381-388
    • /
    • 2003
  •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of giving weights to garbage class clustering and Filler model to improve performance of keyword spotting system and a time-saving method of dialogue speech processing system for keyword spotting by calculating keyword transition probability through speech analysis of task domain users. The point of the method is grouping phonemes with phonetic similarities, which is effective in sensing similar phoneme groups rather than individual phonemes, and the paper aims to suggest five groups of phonemes obtained from the analysis of speech sentences in use in Korean morphology and in stock-trading speech processing system. Besides, task-subject Filler model weights are added to the phoneme groups, and keyword transition probability included in consecutive speech sentences is calculated and applied to the system in order to save time for system processing. To evaluate performance of the suggested system, corpus of 4,970 sentences was built to be used in task domains and a test was conducted with subjects of five people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As a result, FOM with the weights on proposed five phoneme groups accounts for 85%, which has better performance than seven phoneme groups of Yapanel [1] with 88.5% and a little bit poorer performance than LVCSR with 89.8%. Even in calculation time, FOM reaches 0.70 seconds than 0.72 of seven phoneme groups. Lastly, it is also confirmed in a time-saving test that time is saved by 0.04 to 0.07 seconds when keyword transition probability is applied.

Comparison of Three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imulation Teaching in Terms of Data-text Transforming Discourses (Data-Text 변형 담화의 측면에서 본 세 초등 예비교사의 모의수업 시연 사례의 비교)

  • Maeng, Seungho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
    • v.41 no.1
    • /
    • pp.93-105
    • /
    • 2022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pects of how three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ducted the data-text transforming discourses in their science simulation teaching and how their epistemological conversations worked for learners' construction of scientific knowledge. Three preservice teachers, who had presented simulation teaching on the seasonal change of constellation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ults revealed that one preservice teacher, who had implemented the transforming discourses of data-to-evidence and model-to-explanation, appeared to facilitate learners' knowledge construction. The other two preservice teachers had difficulty helping learners construct science knowledge due to their lack of transforming discourses. What we should consider for improving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aching competencies was discussed based on a detailed comparison of three cases of preservice teachers' data-text transforming.

Dialect classification based on the speed and the pause of speech utterances (발화 속도와 휴지 구간 길이를 사용한 방언 분류)

  • Jonghwan Na;Bowon Lee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 /
    • v.15 no.2
    • /
    • pp.43-51
    • /
    • 2023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pproach for dialect classification based on the speed and pause of speech utterances as well as the age and gender of the speakers. Dialect classification is one of the important techniques for speech analysis. For example, an accurate dialect classification model can potentially improve the performance of speaker or speech recognition.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research based on deep learning using Mel-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s (MFCC) features has been the dominant approach. We focus on the acoustic differences between regions and conduct dialect classification based on the extracted features derived from the difference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pproach of extracting underexplored additional features, namely the speed and the pauses of speech utterances along with the metadata including the age and the gender of the speaker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our proposed approach results in higher accuracy, especially with the speech rate feature, compared to the method only using the MFCC features. The accuracy improved from 91.02% to 97.02% compared to the previous method that only used MFCC features, by incorporating all the proposed features in this paper.

Hierarchical attention based CNN-RNN networks for The Korean Speech-Act Analysis (계층 구조 어텐션 매커니즘에 기반한 CNN-RNN을 이용한 한국어 화행 분석 시스템)

  • Seo, Minyeong;Hong, Taesuk;Kim, Juae;Ko, Youngjoong;Seo, Jungy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8.10a
    • /
    • pp.243-246
    • /
    • 2018
  • 최근 사용자 발화를 이해하고 그에 맞는 피드백을 생성할 수 있는 대화 시스템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 의도를 파악하기 위한 화행 분석은 대화 시스템의 필수적인 요소이다. 최근 많이 연구되는 심층 학습 기법은 모델이 데이터로부터 자질들을 스스로 추출한다는 장점이 있다. 발화 자체의 연속성과 화자간 상호 작용을 포착하기 위하여 CNN에 RNN을 결합한 CNN-RNN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계층 구조 어텐션 매커니즘 기반 CNN-RNN을 효과적으로 적용한 결과 워드 임베딩을 추가한 조건에서 가장 높은 성능인 91.72% 정확도를 얻었다.

  • PDF

Information Extractive Dialog State Tracking for Consulting (상담 대화를 위한 사용자 정보 추출 대화 상태 추적 시스템)

  • Jang, Yunjeong;Lee, Geunbae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1.10a
    • /
    • pp.625-628
    • /
    • 2021
  • 정보 추출이 가능한 대화 상태 추적(Information-Extractive Dialog State Tracking)은 상담 목적에 맞는 대화를 시스템이 유도하여 사용자로 부터 정보를 추출할 수 있도록 대화 상태를 추적하는 연구로써, 사용자에게 적합한 상담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상담 대화에서는 내담자의 발화는 상담자에 의해 유도되는 점을 착안하여 시스템이 대화를 주도하는 모델을 제안한다. 시스템 액션과 사용자 발화를 이용해 슬롯, 밸류로 구성된 대화 상태를 추적하고 이를 대화 정책에 반영하여 이어질 대화를 주도한다. 추적한 대화 상태와 기존 대화 상태를 비교하여 대화 시스템의 성능을 보인다.

  • PDF

Multi-label Open Intent Classification using Known Intent Information (의도 정보를 활용한 다중 레이블 오픈 의도 분류)

  • Nahyeon Park;Seongmin Cho;Hyun-Je So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3.10a
    • /
    • pp.479-484
    • /
    • 2023
  • 다중 레이블 오픈 의도 분류란 다중 의도 분류와 오픈 의도 분류가 합쳐져 오픈 도메인을 가정하고 진행하는 다중 의도 분류 문제이다. 발화 속에는 여러 의도들이 존재한다. 이때 사전에 정의된 의도 여부만을 판별하는 것이 아니라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의도에 대해서만이라도 어떤 의도인지 분류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발화 속 의도 정보를 활용하여 다중 레이블 오픈 의도를 분류하는 모델을 제안한다. 먼저, 문장의 의도 개수를 예측한다. 그리고 다중 레이블 의도 분류기를 통해 다중 레이블 의도 분류를 진행하여 의도 정보를 획득한다. 획득한 의도 정보 속 다중 의도 개수와 전체 의도 개수를 비교하여 전체 의도 개수가 더 많다면 오픈 의도가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실험 결과 제안한 방법은 MixATIS의 75% 의도에서 정확도 94.49, F1 97.44, MixSNIPS에서는 정확도 86.92, F1 92.96의 성능을 보여준다.

  • PDF

BERT-based Two-Stage Classification Models for Alzheimer's Disease and Schizophrenia Diagnosis (BERT 기반 2단계 분류 모델을 이용한 알츠하이머병 치매와 조현병 진단)

  • Jung, Min-Kyo;Na, Seung-Hoon;Kim, Ko Woon;Shin, Byong-Soo;Chung, Young-Chul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1.10a
    • /
    • pp.558-563
    • /
    • 2021
  • 알츠하이머병 치매와 조현병 진단을 위한 2단계 분류 모델을 제안한다. 정상군과 환자군의 발화에 나타난 페어 언어 모델 간의 Perplexity 차이에 기반한 분류와 기존 단일 BERT 모델의 미세조정(fine-tuning)을 이용한 분류의 통합을 시도하였다. Perplexity 기반의 분류 성능이 알츠하이머병, 조현병 모두 우수한 결과를 보임을 확인 하였고, 조현병 분류 모델의 성능이 소폭 증가하였다. 향후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 기법을 적용에 따른 성능 향상을 기대할 수 있었다.

  • PDF

Reducing Toxic Response Generation in Conversational Models using Plug and Play Language Model (Plug and Play Language Model을 활용한 대화 모델의 독성 응답 생성 감소)

  • Kim, Byeong-Joo;Lee, Geun-Bae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1.10a
    • /
    • pp.433-438
    • /
    • 2021
  • 대화 시스템은 크게 사용자와 시스템이 특정 목적 혹은 자유 주제에 대해 대화를 진행하는 것으로 구분된다. 최근 자유주제 대화 시스템(Open-Domain Dialogue System)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됨에 따라 자유 주제를 기반으로 하는 상담 대화, 일상 대화 시스템의 독성 발화 제어 생성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대화 모델의 독성 응답 생성을 제어하기 위해 일상 대화 데이터셋으로 학습된 BART 모델에 Plug-and-Play Language Model 방법을 적용한다. 공개된 독성 대화 분류 데이터셋으로 학습된 독성 응답 분류기를 PPLM의 어트리뷰트(Attribute) 모델로 활용하여 대화 모델의 독성 응답 생성을 감소시키고 그 차이를 실험을 통해 정량적으로 비교한다. 실험 결과 어트리뷰트 모델을 활용한 모든 실험에서 독성 응답 생성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