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모델 검증

Search Result 8,623,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On Symbolic Incremental CTL Model Checking (Symbolic Incremental CTL 모델 검증)

  • Chae Jung-Wook;In Hoh Peter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a
    • /
    • pp.904-906
    • /
    • 2005
  • 최근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이 부각되면서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의 모델 검증을 위해 기존의 심볼릭 검증 모델을 응용한 매우 크고 여러 콤포넌트로 구성된 모델 검증 대상이 빈번히 변화하는 상황을 가정한 모델 검증 기술이 요구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빈번히 변화하는 모델 검증을 위해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완전히 증명하였으며 기존의 모델과 새로운 모델간의 성능 비교 실험으로 새로운 모델의 효율성을 증명하였다.

  • PDF

XH-DQN: Fact verification using a combined model of graph transformer and DQN (XH-DQN: 사실 검증을 위한 그래프 Transformer와 DQN 결합 모델)

  • Seo, Mintaek;Na, Seung-Hoon;Shin, Dongwook;Kim, Seon-Hoon;Kang, Inho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1.10a
    • /
    • pp.227-232
    • /
    • 2021
  • 사실 검증(Fact verification) 문제는 문서 검색(Document retrieval), 증거 선택(Evidence selection), 증거 검증(Claim verification) 3가지 단계로 구성되어있다. 사실 검증 모델들의 주요 관심사인 증거 검증 단계에서 많은 모델이 제안되는 가운데 증거 선택 단계에 집중하여 강화 학습을 통해 해결한 모델이 제안되었다. 그래프 기반의 모델과 강화 학습 기반의 사실 검증 모델을 소개하고 각 모델을 한국어 사실 검증에 적용해본다. 또한, 두 모델을 같이 사용하여 각 모델의 장점을 가지는 부분을 병렬적으로 결합한 모델의 성능과 증거의 구성 단위에 따른 성능도 비교한다.

  • PDF

Bounded Model Checking BIR Model (BIR 모델의 바운디드 모델 검증)

  • Cho, Min-Taek;Lee, Tae-Hoon;Kwon, Gi-Hwon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4 no.8
    • /
    • pp.743-751
    • /
    • 2007
  • Model checking has been successfully applied to hardware verification. Software is more subtle than hardware with respect to formal verification due to its infinite state space. Although there are many research activities in this area, bounded model checking is regarded as a promising technique. Bounded model checking uses an upper bound to unroll its model, which is the main advantage of bounded model checking compared to other model checking techniques. In this paper, we applied bounded model checking to verify BIR which is the input model for the model checking tool BOGOR. Some BIR examples are verified with our techniqu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bounded model checking is better than explicit model checking provided by BOGOR. This paper presents the formalization of BIR and the encoding algorithm of BIR into CNF.

Design of Automatic Model Verification for System Integration Laboratory (통합시험환경 모델 검증 자동화 설계)

  • Yang, Seung-Gu;Cho, Yeon-Je;Jo, Kyoung-Yong;Ryu, Chang-Myung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23 no.5
    • /
    • pp.361-366
    • /
    • 2019
  • In developing the avionics system, a system integration laboratory (SIL) is established to verify the function and interworking of individual components. In case of individual verification of SIL's components and system integration, a SIL model that simulates the function and interworking of each equipment is developed and used. A SIL model shall be pre-verified against all data defined in the interface control document (ICD) before interworking with the actual equipment and reverified even when the ICD changes or functions change. However, if the verification of the SIL model is performed manually, the verification of the individual SIL model takes considerable time. For this reason, selective regression tests are often performed to determine a impact of SIL models on ICD changes and some functional changes. In this paper, we designed SIL model verification automation method to perform regession test by reducing verification time of SIL model and verify the usefulness of verification automation design by developing SIL model verification automation tool.

Study on Specification Method for Model Checking in STATEMATE MAGNUM (STATEMATE MAGNUM 모델체킹을 위한 정형명세 기법 연구)

  • 김진현;안영아;장상철;이나영;최진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b
    • /
    • pp.349-351
    • /
    • 2004
  • STATEMATE는 Statecharts로 시스템의 행위를 설계하는 도구이다. 근래 들어. STATEMATE MAGNUM은 설계 뿐 아니라 모델체킹을 이용한 정형검증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모델체킹은 상태 기반의 설계명세 된 시스템을 시제 논리로 그 요구 명세를 기술하여 설계명세가 요구명세를 만족시키는지를 검증하게 된다. 하지만 설계명세가 큰 경우, 모델체킹 시 상태폭발을 일으켜 시스템을 검증하지 못하게 한다. 모델체킹의 상태 폭발을 줄이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모델체커의 알고리즘을 개선시키거나, 모델을 추상화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모델을 추상화시키더라도 검증 결과에는 별 영향을 주지 않는 부분을 추상화하고, 검증 결과에 직접 적인 영향을 주는 부분을 상세 명세하는 기법을 적용하여 실시간 운영체제의 코드를 어떻게 검증을 하는지를 보여준다.

  • PDF

A Study on Quality Assurance for BIM Model (BIM 모델 품질 검증 방안에 관한 연구)

  • Seong, Jun-Ho;Hwang, Kyu-Bin;Hahn, Seon-Ho;Kim, Khil-Chae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81-84
    • /
    • 2010
  • 본 연구는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이하 BIM)의 본연의 목표인 정보의 통합 관리 및 재활용 측면에서 모델의 정보를 정확하고 체계적으로 구축될 수 있는 품질검증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이를 위해 BIM 모델의 품질검증 방안에 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외 BIM 관련 품질관리 현황을 파악하고 국내 정보시스템 구축에 관한 지침으로 한국데이터베이스 진흥 센터의 데이터 품질관리 지침을 분석하여 BIM 품질검증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BIM 모델의 품질검증 방안을 구축하기 위해 첫쩨 사전적 의미로부터 품질관리의 개념을 수립하고, 그 대상을 설정 하였으며, 둘째로 품질관리의 최종 목표인 정보의 재활용 관점에서 단계적 접근방안으로 5단계의 전략적 방향을 제시 하였다. 마지막으로 BIM 모델의 품질검증 방안을 구축하기 위해 사례 분석을 토대로 BIM 모델 관점에서 품질 검증 시기, 기준, 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Validation Technique of Trace-Driven Simulation Model Using Weighted F-measure (가중 F 척도를 이용한 Trace-Driven 시뮬레이션 모델의 검증 방법)

  • HwangBo, Hoon;Cheon, Hyeon-Jae;Lee, Hong-Chul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18 no.4
    • /
    • pp.185-195
    • /
    • 2009
  • As most systems get more complicated, system analysis using simulation has been taken notice of. One of the core parts of simulation analysis is validation of a simulation model, and we can identify how well the simulation model represents the real system with this validation process. The difference between input data of two systems has an effect on the comparison between a simulation model and a real system at validation stage, and the result with such difference is not enough to ensure high credibility of the model. Accordingly, in this paper, we construct a model based on Trace-driven simulation which uses identical input data with the real system. On the other hand, to validate a model by each class, not by an unique statistic, we validate the model using a metric transformed from F-measure which estimates performance of a classifier in data mining field. Finally, this procedure enables precise validation process of a model, and it helps modification by offering feedback at the validation phase.

Work-Family Role Strain in Dual-Earner Families:A Theoretical Model for Wives (맞벌이 부부가족에 있어서의 일과 가정생활의 역할 긴장에 관한 이론적 모델 연구: 이론적 모델의 검증)

  • 김영희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30 no.2
    • /
    • pp.139-158
    • /
    • 1992
  • 본 연구는 가족스트레스 이론적 모델인 Double ABCX Model과 일과 가정생활의 역할 긴장에 관한 선행연구를 기초로하여 제안된 이론적 모델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론적 모델의 검증을 통하여 일과 가정생활의 역할 stressor나 두 가지 역할의 누적으로 쌓이는 역할 긴장이 가족스트레스 이론으로 설명될 수 있는가\ulcorner 또한 매개 변수인 가족자원과 대처방안에 의해 어떻게 중재되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가를 규명하고자 한다. 미국 로스앤젤레스 지역의 한국교민 중 맞벌이 부부인 가족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설문지법으로 남편과 부인의 자료를 분리하여 표집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153명의 부인으로부터 얻은 자료만을 분석하고자 한다. 자료는 이론적 검증에 유용한 LISREL VII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한다. 자료의 분석결과가 처음 제안된 모델은 검증하지 못했지만 가족자원 변인과 대처방안 변인간의 상호 관계 효과를 고려하여 수정된 모델은 가족스트레스 이론으로 일과 가정생활을 병립하는데서 오는 stressor나 누적된 역할 긴장을 이해할 수 있음이 검증되었다. 모델의 검증을 통하여 맞벌이 부부가족의 부인에게는 일과 가정생활의 stressor가 누적되어 역할긴장을 증가시켰으며 이 역할긴장은 주로 가정생활의 역할 stressor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자원은 일과 가정 생활의 두 역할 stressor에 의해 강도를 더하는 역할 긴장을 감소시키고 삶의 질을 증가시키는 중요한 매개변수로 나타났다.

  • PDF

Graph Random Walk Analysis for Chat Messenger User Verification (채팅 메신저 사용자 검증을 위한 그래프 랜덤 워크 분석)

  • Lee, Da-Young;Cho, Hwan-Gue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1.10a
    • /
    • pp.79-84
    • /
    • 2021
  • 메신저 사용의 증가와 함께 관련 범죄와 사고가 증가하고 있어 메시지 사용자 검증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래프 기반의 인스턴트 메세지 분석 모델을 제안하여 채팅 사용자를 검증하고자 한다. 사용자 검증은 주어진 두 개의 텍스트의 작성자가 같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문제다. 제안 모델에서는 사용자의 이전 대화를 토대로 n-gram 전이 그래프를 구축하고, 작성자를 알 수 없는 메세지를 이용해 전이 그래프를 순회한 랜덤워크의 특성을 추출한다. 사용자의 과거 채팅 습관과 미지의 텍스트에 나타난 특징 사이의 관계를 분석한 모델은 10,000개의 채팅 대화에서 86%의 정확도, 정밀도, 재현율로 사용자를 검증할 수 있었다. 전통적인 통계 기반 모델들이 명시적 feature를 정의하고, 방대한 데이터를 이용해 통계 수치로 접근하는데 반해, 제안 모델은 그래프 기반의 문제로 치환함으로써 제한된 데이터 분량에도 안정적인 성능을 내는 자동화된 분석 기법을 제안했다.

  • PDF

Rules for verifying the consistency of transformation of PIM to EJB based PSM (PIM에서 EJB기반의 PSM으로 변환에 대한 일관성 검증 규칙)

  • 김동규;이현정;정기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b
    • /
    • pp.436-438
    • /
    • 2004
  • MDA 기반 개발을 지원하는 도구를 사용하여 모델 변환을 수행하거나 또는 수동으로 모델을 변환하는 경우 두 모델간에 변환의 일관성 검증은 반드시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개발 지원 도구에서 자동으로 수행되고 있는 MDA 핵심 개념인 모델 변환 가운데 한 가지인 PIM에서 PSM으로의 변환이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정확하게 수행되었는가를 검증할 수 있는 기준으로 구성 요소간의 추적성과 데이터 타입변환의 정확성을 도출하였다. 이에 따라 모델간의 일관성을 검증하기 위한 규칙을 추적성과 정확성으로 구분하여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