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모델리카 프로그램

Search Result 6,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Integrated Flight Simulation Program for Multicopter Drones by Using Acausal and Object-Oriented Language Modelica (비인과, 객체지향적 언어 모델리카를 이용한 멀티콥터형 드론의 통합 비행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 Jin, Jaeh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5 no.5
    • /
    • pp.437-446
    • /
    • 2017
  • An integrated flight simulation program for multicopter drones is presented. The program includes rigid body dynamics, propeller thrust, battery energy, control, and air. Using this program, users can monitor and analyze the states of drones along flight trajectories. As a programming language, Modelica has been chosen, that specializes in simulation program development. Modelica enables users to develop simulation programs efficiently due to acausal and object oriented properties. For missions including horizontal and vertical maneuvers, many dynamical states of drones have been analyzed with simulation results.

Analysis of Spacecraft Attitude Dynamics Interacting with Liquid Fuel Sloshing (액체 연료의 슬라슁과 상호작용하는 우주 탐사선의 자세 운동 분석)

  • Jin, Jaehyun;Kim, Su-Kyu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5 no.12
    • /
    • pp.1059-1068
    • /
    • 2017
  • Space exploration spacecraft carry large amounts of liquid fuel, often more than half. In such cases, the liquid fuel sloshing must be considered in the design of the spacecraft since the sloshing can affects the stability of the spacecraft.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sloshing of fuel and the dynamic behavior of the spacecraft. For the purpose, a model in which the maneuvering of the spacecraft causes the sloshing and a model in which the reaction force and moment due to the sloshing are transmitted to the spacecraft are developed. The dynamical behavior of the spacecraft are analyzed using a simulation program coded by Modelica.

Modeling and Analysis of Interactions Between A Satellite and Variable-Speed Control Moment Gyros (인공위성과 가변속 제어모멘트자이로의 상호작용 모델링 및 해석)

  • Jin, Jaehyun;Leeghim, Henzeh
    • Journal of Aerospace System Engineering
    • /
    • v.12 no.1
    • /
    • pp.17-26
    • /
    • 2018
  • The interaction model between variable-speed control moment gyros and a satellite has been studied based on the multi-body dynamics. Using the interaction model, we could obtain data for the design of VCMG motors and the strength design of structure. The interaction effects of flexible modules such as solar panels were included. Flexible modes are excited by the satellite's maneuver, and these modes cause perturbations in the satellite attitude. We developed a simulation program by Modelica and verified the proposed model.

Flight Dynamic Simulation Program for Analyzing Static and Dynamic Behaviors of Aircraft with Flexible Characteristics (유연 특성 항공기의 동적·정적 거동 분석을 위한 비행 동역학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 Jin, Jaehyun;Paek, Seung-Ki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9 no.1
    • /
    • pp.31-40
    • /
    • 2021
  • Modern aircraft are high-performance and lightweight. Thus,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exible structure appear and affect flight performance or limit it. These flexible characteristics need to be analyzed from the early stages of aircraft design. To this end, a program to analyze the dynamic and static behavior of flexible aircraft has been developed and the results are presented. Based on the multi-body dynamics simulation technique, rigid flight mechanics, structural vibrating behavior, and unsteady aerodynamics have been developed and integrated. Lastly, the level flight and the turn flight of the flexible characteristic aircraft have been analyzed using this integrated simulation program.

Assessment of Water Control Model for Tomato and Paprika in the Greenhouse Using the Penman-Monteith Model (Penman-Monteith을 이용한 토마토와 파프리카의 증발산 모델 평가)

  • Somnuek, Siriluk;Hong, Youngsin;Kim, Minyoung;Lee, Sanggyu;Baek, Jeonghyun;Kwak, Kangsu;Lee, Hyondong;Lee, Jaesu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29 no.3
    • /
    • pp.209-218
    • /
    • 2020
  • This paper investigated actual crop evapotranspiration (ETc) of tomato and paprika planted in test beds of the greenhouse. Crop water requirement (CWR) is the amount of water required to compensate ETc loss from the crop. The main objectives of the study are to assess whether the actual crop watering (ACW) was adequate CWR of tomato and paprika and which amount of ACW should be irrigated to each crop. ETc was estimated using the Penman-Monteith model (P-M) for each crop. ACW was calculated from the difference of amount of nutrient supply water and amount of nutrient drainage water. ACW and CWR of each crop were determined, compared and assessed. Results indicated CWR-tomato was around 100 to 1,200 ml/day, while CWR-paprika ranged from 100 to 500 ml/day. Comparison of ACW and CWR of each crop found that the difference of ACW and CWR are fluctuated following day of planting (DAP). However, the differences could divide into two phases, first the amount of ACWs of each crop are less than CWR in the initial phase (60 DAP) around 500 ml/day and 91 ml/day, respectively. Then, ACWs of each crop are greater than the CWR after 60 DAP until the end of cultivation approximately 400 ml/day in tomato and 178 ml/day in paprika. ETc assessment is necessary to correctly quantify crop irrigation water needs and it is an accurate short-term estimation of CWR in greenhouse for optimal irrigation scheduling. Thus, reducing ACW of tomato and paprika in the greenhouse is a recommendation. The amount of ACW of tomato should be applied from 100 to 1,200 ml/day and paprika is 100 to 500 ml/day depend on DAP.

Design And Implementation Real-Time Load Balancing Using TMO Replica Of LTMOS In Distributed Environment (분산 환경에서 LTMOS의 TMO 리플리카를 이용한 실시간 로드 밸런싱의 설계 및 구현)

  • Joo Koonho;Lim Bosub;Heu Shin;Kim Jungg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a
    • /
    • pp.829-831
    • /
    • 2005
  • 실시간 시스템이란 시간적인 제한을 가지고 작업 수행 결과의 정확도가 보장되는 시스템으로 경성 실시간 시스템과 연성 실시간 시스템으로 분류된다. 최근 분산 실시간 분야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써 폭넓게 활용되기 시작한 실시간 객체 모델인 TMO는 Kane Kim과 Kopetz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다. TMO 모델은 경성 또는 연성 실시간 응용과 병렬 컴퓨팅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 될 수 있으며, 시스템의 기능적인 면과 시간 조건 수행 모두를 명확히 정의할 수 있다. TMO의 네트워크로 구성되는 실시간 분산 환경에서의 실행을 위해 몇 개의 TMO 실행 엔진이 개발 되었는데, 그 중에서 LTMOS라는 리눅스 기반의 연성 실시간 미들웨어 엔진이 한국외대 RTDCS lab.에서 개발되었다. 하지만 LTMOS의 실시간 시스템 수행 중 작업량의 과부하로 인한 deadline 위반이나, 시스템간의 분산 IPC 통신에 있어서 Channel Traffic이 빈번한 경우 실시간 시스템을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들을 갖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조금 더 효율적인 실시간 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해서, TMO 프로그램의 resource 정보를 담고 있는 ODS(Object Data Store)만을 다른 노드에 있는 자신의 TMO 프로그램 Replica로 이주해서 실시간 로드 밸런싱을 구현하는 기법을 사용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TMO 프로그램들의 deadline 위반 및 Channel Traffic 부하를 감지할 수 있는 Node Monitor와 최적의 노드를 선별할 수 있는 Migration Manager를 새롭게 추가하였고, 쓰레드들의 스케줄러인 WRMT에 이주 작업을 하기 위한 부가적인 기능을 구현하였다. 2D 이미지의 관측점을 줄여 계산량을 대폭 감소시키는 장점을 갖는다.것으로 조사되었으며 40대 이상의 연령층은 점심비용으로 더 많은 지출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끼니별 한식에 대한 선호도는 아침식사의 경우가 가장 높았으며, 이는 40대와 50대에서 높게 나타났다. 점심 식사로 가장 선호되는 음식은 중식, 일식이었으며 저녁 식사에서 가장 선호되는 메뉴는 전 연령층에서 일식, 분식류 이었으며, 한식에 대한 선택 정도는 전 연령층에서 매우 낮게 나타났다. 5) 각 연령층에서 선호하는 한식에 대한 조사에서는 된장찌개가 전 연령층에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고, 김치는 40대 이상의 선호도가 30대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흥미롭게도 30세 이하의 선호도는 30대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 외에도 떡과 죽에 대한 선호도는 전 연령층에서 낮게 조사되었다. 장아찌류의 선호도는 전 연령대에서 낮았으며 특히 30세 이하에서 매우 낮게 조사되었다. 한식의 맛에 대한 만족도 조사에서는 연령이 올라갈수록 한식의 맛에 대한 만족도는 낮아지고 있었으나, 한식의 맛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양과 가격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전반적으로 한식에 대한 선호도는 식사 때와 식사 목적에 따라 연령대 별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으나, 선호도는 성별이나 세대에 관계없이 폭 넓은 선호도를 반영하고 있으며, 이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 등에서도 나타난바 같다. 주 5일 근무제의 확산과 초 중 고생들의 토요일 휴무와 더불어 여행과 엔터테인먼트산업은 더욱 더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외식은 여행과 여가 활동의 필수적인 요소로써 그 역할을 일조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여가시간의 증가는 독신자들에게는 좀더 많은 여유시간을 가족을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