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모델기준적응제어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33초

유상하중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쿼드로터의 모델 참조 적응제어 기법 설계 (Model Reference Adaptive Control of a Quadrotor Considering the Uncertainty of Payload)

  • 이동우;김남수;장광우;이성헌;방효충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9권9호
    • /
    • pp.749-757
    • /
    • 2021
  • 쿼드로터를 활용한 운송 임무에서 임의의 유상하중을 장착하게 되면 질량, 관성모멘트, 무게중심의 위치와 같은 모델 파라미터가 변화하게 된다. 더욱이 유상하중이 기체에 장착되는 위치가 기체의 무게중심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무게중심의 변화는 야기되며 이는 제어 성능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유상하중에 따른 모델의 불확실성을 보상하기 위하여, 선형 제차 조정기(Linear Quadratic Regulator, LQR) 기반의 모델 참조 적응 제어기법(Model Reference Adaptive Control, MRAC)을 제안한다. 먼저 고정된 유상하중을 고려한 쿼드로터의 동역학 모델을 유도하고, 선형 제차 조정기를 이용하여 기준제어기를 선정한다. 참조 모델은 과도응답을 향상하기 위해 폐루프 참조 모델을 사용하였으며, 선형 제차 조정기를 통하여 선정하였다. 또한, 안정성 분석을 통하여 모델 파라미터를 추정하기 위한 적응 제어기법을 설계하였다. 제안하는 제어기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모델 파라미터의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선형 재차 조정기와 성능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외란이 있는 상황에서 기존의 모델 참조 적응 제어기법과도 제안한 제어기의 결과를 비교하여 과도응답과 강건성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학습/적응력을 갖는 퍼지제어시스템들에 관한 고찰 (A Survey on the Fuzzy Control Systems with Learning/Adaptation Capability)

  • 김용태;이연정;이승하;정태신;변증남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11-35
    • /
    • 1995
  • 본 논문에서는 학습/적응능력을 갖는 퍼지제어시스템들이 여러가지 관점에서 고찰되었다. 먼저, 기존에 제안된 다양한 학습/적응 퍼지제어시스템들의 기본적인 구성요소들을 바탕으로하여 이러한 시스템들의 일반적인 구조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제안된 구조의 중요한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고찰기준을 설정하였다. 고찰기준으로는 퍼지제어기나 퍼지모델 등에 사용되는 퍼지추론시스템의 구조, 학습/적응에 사용되는 퍼지추론시스템의 조정계수와 제어성능 평가함수, 그리고 학습/적응알고리즘을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이러한 고찰기준들을 바탕으로하여 학습/적응 퍼지제어시스템들을 분류하고 각각의 특징들을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용된 퍼지추론시스템들의 범용 함수근사화 성질에 대하여도 알아 보았다.

  • PDF

유도전동기의 고성능 제어를 위한 적응 퍼지-뉴로 제어기 (Adaptive Fuzzy-Neuro Controller for High Performance of Induction Motor)

  • 정동화;최정식;고재섭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53-61
    • /
    • 2006
  • 본 논문은 유도전동기 드라이브의 고성능 제어를 위한 적응 퍼지-뉴로 제어기를 제시한다. 이 알고리즘의 설계는 퍼지제어와 신경회로망을 사용하는 퍼지-신경회로망 제어기에 기초한다. 적응 퍼지-뉴로 제어기는 신경회로망의 학습패턴과 같은 퍼지 룰을 사용하고 또한 지령값과 실제값 사이의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신경회로망의 뉴런사이의 하중을 역전파 알고리즘 방법을 사용하여 조절한다. 적응 기준 모델 설계는 기준모델의 출력과 전동기 속도 사이의 오차와 오차 변화분을 기초로 한 퍼지 로직에 의하여 실행되는 적응 메카니즘을 제시한다. 적응 퍼지-뉴로 제어기의 제어 성능은 다양한 동작 상태에 대한 분석으로 평가한다. 제안한 제어시스템의 실험 결과는 고성능과 파리미터 변동과 정상상태 정확성, 순시응답의 강인성을 가진다.

자세추적 실험을 통한 인공위성 편대비행 테스트베드의 예비 성능분석 (Preliminary Performance Analysis of Satellite Formation Flying Testbed by Attitude Tracking Experiment)

  • 은영호;박찬덕;박상영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416-422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연세대학교 천문우주학과 우주비행제어연구실에서 개발 중인 인공위성 편대비행 테스트베드에 대한 예비 성능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동역학 모델에 포함되지 않은 동특성과 측정 잡음 등에 의한 불확실성의 영향을 받는 반작용 휠의 응답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간단한 1차 선형시스템을 기준 모델로 하는 적응제어기를 설계하였다. 또한 자세 측정값에 잡음이 포함된 환경에서도 원활한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최소제곱법 기반의 실시간 파라미터 추정기법을 이용하여 관성모멘트를 추정하였다. 수치 시뮬레이션과 하드웨어 실험을 통해 설계된 모델 기준 적응제어기의 적합성과 향후 적용가능성을 검토하였고, 전 시간에 걸친 자세 추적오차가 $0.25^{\circ}$ 이내에 머무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하드웨어 실험을 통해 드러난 제어 입력에 대한 데드존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서는 인공위성 시뮬레이터의 설계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기준모델 적응 제어의 새로운 해석 (A Novel Analysis of M.R.A.C.)

  • 김종환;박준렬;최계근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11-15
    • /
    • 1985
  • Pad'e-Type 근사화법을 이용하여 새로운 기준모델 적응 제어계를 설계하였다. 공정의 파라미터를 모르는 상태에서 제어계를 설계하여 이로부터 제어목적을 만족시키는 등가 방정식을 유도하여 이조건을 만족시키는 파라미터를 반복적으로 추정하였다. 이결과 추정할 공정의 파라미터 갯수를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기존의 방법과 새로운 방법을 컴퓨터 시뮬레이tus으로 나타내었다.

  • PDF

IPMSM 드라이브의 속도제어를 위한 적응 FNN제어기의 설계 (Design of Adaptive FNN Controller for Speed Contort of IPMSM Drive)

  • 이정철;이홍균;정동화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1권3호
    • /
    • pp.39-46
    • /
    • 2004
  • 본 논문은 IPMSM 드라이브의 고성능 속도 제어를 위하여 퍼지제어와 신경회로망을 혼합 구성한 적응 FNN 제어기를 제시한다. 적응 FNN 제어기는 기준 모델에 기초한 적응 메카니즘을 적용하여 신경회로망의 고도의 적응제어와 퍼지제어기의 강인성 제어의 장점들을 접목한다. 적응 FNN 제어기의 출력은 FNN 제어기의 출력과 적응 퍼지제어의 출력을 합하여 출력을 얻는다. 적응 FNN 제어기는 다양한 동작조건에서 응답특성을 분석하고 평가한다. 제시한 적응 FNN 제어기의 타당성은 IPMSM 드라이브 시스템에 적용하여 성능 결과로 입증한다.

기준모델을 이용한 PID 유전 제어기 설계 (A PID Genetic Controller Design Using Reference Model)

  • 박근화;남문현;황용원;천성주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9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B
    • /
    • pp.894-896
    • /
    • 1999
  • PID 제어는 50년의 역사를 갖기 때문에 현장의 사용자는 이 제어방식에 익숙해져 있으며, 제어장치의 구성이 간단하며 제어기의 최적동조가 가능하므로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1]. 그러나 PID 제어기에 의해서 얻은 결과에 대하여 만족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행착오를 겪어야 한다. 또한 만족하는 결과를 얻었다고 할지라도 외란, 플랜트의 동특성이 바뀌는 경우 시스템을 추종하지 못하기 때문에 파라미터를 재조정하여야 한다. 유전 알고리즘은 자연세계의 진화 현상에 기초한 계산모델로서 John Holland에 의해서 1975년에 개발된 전역적인 최적화 알고리즘이며[1][2], 비선형 고차원, 불연속, 다중모드, 노이즈 함수 등에 대하여 강건함을 보여주고, 복잡한 탐색 공간에서 최적 값을 스스로 발견하는 학습 능력을 갖는다. 이 방법은 재생산, 교배, 돌연변이를 통하여 최적해를 찾은 방법으로 1989년에 D. E. Goldgerg에 의해서 체계적으로 정리된 후 여러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3][4]. 그러나 유전 알고리즘은 목적함수만을 이용하여 해집단을 탐색하기 때문에 숙련운전자가 원하는 제어 특성 명세인 상승시간, 정착시간, 초과량(oveshoot) 둥을 구체적으로 명시하여 제어에 반영할 수 없다. 또한, 유전 알고리즘은 입력 값이 크게 바뀔 경우 다른 시스템으로 인식하여 새로운 탐색을 수행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은 첫째, 기준모델을 도입하여 플랜트의 성능을 기준모델로 표현하여 플랜트가 요구하는 성능지표를 정량적으로 규정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또한, 이것은 미지 플랜트 동특성을 식별하기 위한 신호로 사용되어, 플랜트의 정보를 얻는데 이용되었다. 즉, 기준모델과 플랜트 출력사이의 추종 오차 정보가 적응기구인 PID 유전제어기의 입력으로 사용되며, 구형파 입력의 경우에도 기준모델과 플랜트의 출력차는 크게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유전 알고리즘의 목적함수에 기준 모델을 제안 적용하여 안정적이고, 세밀한 제어를 수행하였다. 둘째, PID의 간단하면서 확실한 제어가 가능하다는 점과 전역적인 최적값을 찾을 수 있는 유전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고속제어를 요하는 직류 서보 모터(DC Servo Motor) 운전 시 실시간 파라미터 동조에 적용하였다.

  • PDF

적응제어를 이용한 6자유도 로봇의 제어향상을 위한 연구 (Control Progress of 6-DOF Robot using Adaptive Control)

  • 김병수;김규로;이순걸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74-577
    • /
    • 2000
  • The purpose of robot manipulator control is to make for manipulator take a trace of pre-planned trajectory. In this study, the algorithm of MRAC(Model Reference Adaptive Control) on reference to adaptive control theory was studied. The experiments were performed on 6-DOF robot manipulator with respect to p-d(proportional-differential) controller and adaptive controller. The property of adaptive control was studied and its efficiency proved by being compared to p-d controller.

  • PDF

신경망을 이용한 비선형 직접적응제어기 설계에 관한 연구 (On a Design of the Nonlinear Direct Adaptive Controller Using Neural Networks)

  • 이순영;김관수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09-114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비선형 제어시스템의 성능 개선을 위한 새로운 신경망 직접 적응제어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제어칙은 Gaussian RBF 신경망을 이용한 제어입력과 근사화 오차 및 외란의 영향을 제거하기 위한 보조제어 입력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신경망에 사용된 가중치와 보조입력의 파라미터를 조정하기 위한 적응칙은 Lyapunov 안정도 이론에 의하여 구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외란이나 근사화 오차에 관계없이 플랜트와 기준모델 사이의 오차가 0이 되도록 하는 알고리즘을 구할 수 있었다. 또한 제시된 알고리즘의 효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Duffing forced oscillation 시스템에 대하여 시뮬레이션 하여본 결과 만족할만한 성능을 얻을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