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모델기반

Search Result 19,255, Processing Time 0.053 seconds

이미지 기반 적대적 사례 생성 기술 연구 동향

  • O, Hui-Seok
    • Review of KIISC
    • /
    • v.30 no.6
    • /
    • pp.107-115
    • /
    • 2020
  •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심층신경망 기반의 학습 모델이 앞 다투어 이용됨에 따라 인공지능의 설명 가능한 동작 원리 해석과, 추론이 갖는 불확실성에 관한 분석 또한 심도 있게 연구되고 있다. 이에 심층신경망 기반 기계학습 모델의 취약성이 수면 위로 드러났으며, 이러한 취약성을 이용하여 악의적으로 모델을 공격함으로써 오동작을 유도하고자 하는 시도가 다방면으로 이루어짐에 의해 학습 모델의 강건함 보장은 보안 분야에서의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모델 추론의 입력으로 이용되는 이미지에 교란값을 추가함으로써 심층신경망의 오분류를 발생시키는 임의의 변형된 이미지를 적대적 사례라 정의하며, 본 논문에서는 최근 인공지능 및 컴퓨터비전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이미지 기반 적대적 사례의 생성 기법에 대하여 논한다.

User-Level Delegation in Extended Role-Based Access Control Model (확장된 역할기반 접근제어 모델에서의 사용자 수준의 위임기법)

  • 박종화
    • Th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 /
    • v.4 no.4
    • /
    • pp.15-24
    • /
    • 2001
  • In current role-based systems, security officers handle assignments of users to roles. This may increase management efforts in a distributed environment because of the continuous involvement from security officers. The role-based delegation provides a means for implementing RBAC in a distributed environment. The basic idea of a role-based delegation is that users themselves may delegate role authorities to other users to carry out some functions on behalf of the former. This paper presents a user-level delegation model, which is based on Extended Role-Based Access Control(ERBAC). ERBAC provides finer grained access control on the base of subject and object level than RBAC model.

  • PDF

Developing radar-based rainfall prediction model with GAN(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생성적 적대 신경망(GAN)을 활용한 강우예측모델 개발)

  • Choi, Suyeon;Sohn, Soyoung;Kim, Yeon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85-185
    • /
    • 2021
  • 기후변화로 인한 돌발 강우 등 이상 기후 현상이 증가함에 따라 정확한 강우예측의 중요성은 더 증가하는 추세이다. 전통적인 강우예측의 경우 기상수치모델 또는 외삽법을 이용한 레이더 기반 강우예측 기법을 이용하며, 최근 머신러닝 기술의 발달에 따라 이를 활용한 레이더 자료기반 강우예측기법이 개발되고 있다. 기존 머신러닝을 이용한 강우예측 모델의 경우 주로 시계열 이미지 예측에 적합한 2차원 순환 신경망 기반 기법(Convolutional Long Short-Term Memory, ConvLSTM) 또는 합성곱 신경망 기반 기법(Convolutional Neural Network(CNN) Encoder-Decoder) 등을 이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생성적 적대 신경망 기반 기법(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GAN)을 이용해 미래 강우예측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GAN 방법론은 이미지를 생성하는 생성자와 이를 실제 이미지와 구분하는 구별자가 경쟁하며 학습되어 현재 이미지 생성 분야에서 높은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GAN 기반 모델은 기상청에서 제공된 2016년~2019년까지의 레이더 이미지 자료를 이용하여 초단기, 단기 강우예측을 수행하도록 학습시키고, 2020년 레이더 이미지 자료를 이용해 단기강우예측을 모의하였다. 또한, 기존 머신러닝 기법을 기반으로 한 모델들의 강우예측결과와 GAN 기반 모델의 강우예측결과를 비교분석한 결과,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강우예측모델이 단기강우예측에 뛰어난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Role Based Access Control Model contains Role Hierarchy (역할계층을 포함하는 역할기반 접근통제 모델)

  • 김학범;김석우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2 no.2
    • /
    • pp.49-58
    • /
    • 2002
  • RBAC(Role Based Access Control) is an access control method based on the application concept of role instead of DAC(Discretionary Access Control) or MAC(Mandatory Access Control) based on the abstract basic concept. Model provides more flexibility and applicability on the various computer and network security fields than the limited 1functionality of kernel access control orginated from BLP model. In this paper, we propose $ERBAC_0$ (Extended $RBAC_0$ ) model by considering subject's and object's roles and the role hierarchy result from the roles additionally to $RBAC_0$ base model. The proposed $ERBAC_0$ model assigns hierarchically finer role on the base of subject and object level and provides flexible access control services than traditional $RBAC_0$ model.

  • PDF

Named Entity Recognition based on ELECTRA with Dictionary Features and Dynamic Masking (사전 기반 자질과 동적 마스킹을 이용한 ELECTRA 기반 개체명 인식)

  • Kim, Jungwook;Whang, Taesun;Kim, Bongsu;Lee, Saebyeo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1.10a
    • /
    • pp.509-513
    • /
    • 2021
  • 개체명 인식이란, 문장에서 인명, 지명, 기관명, 날짜, 시간 등의 고유한 의미의 단어를 찾아서 미리 정의된 레이블로 부착하는 것이다. 일부 단어는 문맥에 따라서 인명 혹은 기관 등 다양한 개체명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개체명에 대한 중의성을 가지고 있는 단어는 개체명 인식 성능에 영향을 준다. 본 논문에서는 개체명에 대한 중의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전을 구축하여 ELECTRA 기반 모델에 적용하는 학습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개체명 인식 데이터의 일반화를 개선시키기 위해 동적 마스킹을 이용한 데이터 증강 기법을 적용하여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사전 기반 모델에서 92.81 %로 성능을 보였고 데이터 증강 기법을 적용한 모델은 93.17 %로 높은 성능을 보였다. 사전 기반 모델에서 추가적으로 데이터 증강 기법을 적용한 모델은 92.97 %의 성능을 보였다.

  • PDF

Study on Multi-Cluster based Collaborative Edge Networks (멀티클러스터 기반 지능형 협업 엣지 네트워크 연구)

  • Youn, Joo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7a
    • /
    • pp.277-278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멀티클러스터 기반 협업 엣지 네트워크 모델과 지능형 협업 엣지 자원 할당을 위한 정책 생성기 모델을 제안한다. 최근 K8s 기반 클러스터 엣지 시스템 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클러스터 기반 엣지 시스템을 네트워크를 통해 멀티클러스터 기반 엣지 시스템으로 구성하는 모델을 제시하고 이 네트워크 모델에서 협업으로 엣지 자원을 할당 할 수 있는 지능형 자원 할당 정책 생성기 구조 및 방법 등을 제안한다.

  • PDF

Model-Driven Development of RTOS-based Embedded Software (RTOS-기반 임베디드 소프트웨어를 위한 모델기반 개발방법)

  • Maeng Ji-Chan;Kim Jong-Hyuk;Ryu Min-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1325-1328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RTOS 기반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에 적합한 모델기반 방법론을 제안하고 이와 함께 개발된 자동코드생성 도구를 기술한다. 현재까지 알려진 대표적인 모델기반 방법론으로는 OMG (Object Management Group)의 MDA (Model-Driven Architecture)가 있으며, MDA 에서는 EJB, 웹서비스,.NET, 그리고 CORBA 와 같은 미들웨어 플랫폼을 대상으로 하는 응용 소프트웨어의 개발을 지원한다. 하지만, 통상적인 임베디드 시스템은 실시간성에 대한 요구조건은 물론 성능과 자원활용에 있어 많은 제약을 가짐에 따라 상당수의 임베디드 시스템은 미들웨어를 사용하지 않고 RTOS 상에서 직접 수행되도록 개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MDA 방법론을 확장하여 플랫폼 의존적인 모델 (PSM, Platform Specific Model) 단계에서 추상화된 RTOS 행위를 표현할 수 있도록 추상 RTOS API (Generic RTOS API)를 정의하고, 아울러 추상화된 RTOS 행위를 자동으로 변환하여 C 코드를 생성해주는 도구인 TransPI 를 함께 제시한다.

  • PDF

Research on the Classification and Success Factors of GIS-based Business Model (GIS 기반 비즈니스모델 분류 및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 장지용;한재민
    • Proceedings of the Korea Database Soci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599-608
    • /
    • 2001
  • 기존의 GIS는 유무선 인터넷의 급속한 확산과 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해 새로운 모습으로 탈바꿈하고 있으며, GIS 는 무한한 성장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GIS 기반 비즈니스는 오프라인 기업의 지원을 위한 비즈니스모델과 지도판매와 지도 ASP 에만 편중되어 있으며, 인터넷의 4개 영역 (4C: Communication, Commerce, Contents, Community)중 Commerce 영역으로 확대되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GIS 산업과 비즈니스모델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GIS 기반 비즈니스모델의 성공 요인과, 문헌고찰과 실무 인터뷰를 통하여 GIS 기반 비즈니스모델 분류체계를 도출하였고, 실제 타당성이 있는지 사례연구를 통해서 알아보았다. 사례연구결과, 실질적인 GIS 기반 비즈니스모델 체계를 탐색적인 수준에서 분류하였으며, 향후 실증연구를 위해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

State-based Peridynamic Modeling for Dynamic Fracture of Plane Stress (평면응력 문제의 상태 기반 페리다이나믹 동적파괴 해석 모델링)

  • Ha, Youn Doh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28 no.3
    • /
    • pp.301-307
    • /
    • 2015
  • A bond-based peridynamic model has been shown to be capable of analyzing many of dynamic brittle fracture phenomena. However, there have been issued limitations on handling constitutive models of various materials. Especially, it assumes bonds act independently of each other, so that Poisson's ratio for 3D model is fixed as 1/4 as well as taking only account the bond stretching results in a volume change not a shear change. In this paper a state-based peridynamic model of dynamic brittle fracture is presented. The state-based peridynamic model is a generalized peridynamic model that is able to directly use a constitutive model from the standard theory. It permits the response of a material at a point to depend collectively on the deformation of all bonds connected to the point. Thus, the volume and shear changes of the material can be reproduced by the state-based peridynamic theory. For a linearly elastic solid, a plane stress model is introduced and the damage model suitable for the state-based peridynamic model is discussed. Through a convergence study under decreasing the peridynamic nonlocal region($\delta$-convergence), the dynamic fracture model is verified. It is also shown that the state-based peridynamic model is reliable for modeling dynamic crack propagatoin.

A Study on Load Modeling of Industrial Area Based on DFR measurements (DFR 측정 기반 산업단지 부하모델링 구현 연구)

  • Son, Seo-Eun;Lee, Soo-Hyung;Park, Jung-Wook;Song, Kyung-Bin;Lee, Sung-Moo;Jo, Jong-Ma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82-183
    • /
    • 2011
  • 본 논문은 DFR 측정기반 산업단지 부하모델링에 관한 연구이다. 기존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개별 부하모델의 단점을 보완하고 국내 산업단지 부하의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측정기반 접근법에 의한 부하모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부하모델은 정적 부하모델과 동적 부하모델을 결합한 복합 부하모델로, 이러한 부하모델을 구축하기 위하여 국내 산업단지 A 변전소에 고장기록계(DFR)을 설치하였다. DFR 측정 데이터 기반 부하모델 구축에 앞서, 계통 해석 프로그램인 PSS/E로 DFR이 설치된 A 변전소를 모델링하여 취득된 데이터로 선정된 부하모델을 검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