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면역 세포 침투

Search Result 23,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Roles of T Lymphocytes in Early Human Reproduction (착상과 임신 초기 면역반응에서 T 림프구의 역할)

  • Yang, Kwang-Moon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v.36 no.3
    • /
    • pp.151-162
    • /
    • 2009
  • 착상, 태반생성 및 임신 유지 등 생식과정에서 semi-allograft인 배아 및 태아가 생존하기 위해서는 모체 면역계의 면역관용이 요구된다. 면역관용은 분자 생물학적으로 염증반응과 항염증반응의 적절한 균형을 유지하는 인식되고 있으며, 생식과정에서 모체 면역계의 T 림프구, 자연살해세포, 수지상 세포, 대식세포 등 여러 면역세포의 유기적인 협조하에 이루어진다. 면역세포들은 특정 항원 및 사이토카인의 자극에 따라 정반대의 성질을 가진 사이토카인을 생산, 분비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각각을 염증성 또는 항염증성 면역세포로 명확히 구분할 수 없으며 면역세포의 이러한 특성에 의해 생산 및 분비되는 사이토카인의 종류에 따라 Th0 형 (Th 0 cell, Tc 0 cell, NK 0 cell), Th1형 (Th 1 cell, Tc 1 cell, NK 1 cell), Th2 형 (Th 2 cell, Tc 2 cell, NK 2 cell), Th3 형 세포 (Th 3 cell, Tc 3 cell, NK 3 cell)로 분류하기도 한다. 즉, 착상 시기에 혈관신생 및 영양막의 자궁 내 침투를 위한 적절한 염증성 사이토카인(inflammatory cytokine)의 분비 및 임신의 지속을 위한 항염증성 (anti-inflammatory) 사이토카인의 분비 등 생식과정에서 수반되는 염증성과 항염증성 면역반응의 적절한 균형을 유지하는 기전은 특정 면역세포만의 작용으로 결론 지을 수 없으며 면역 세포간 network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Figure 5). 면역세포 중 최근 그 존재가 알려진 면역조절 T림프구 (T reg cell)는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면역관용에 관여함이 일관되게 보고되고 있어 자궁 내모체-태아간 접촉면에서 면역세포들 간의 network에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인식되고 있으나 작용기전으로 제시되고 있는 가설들을 뒷받침 할 만한 객관적인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고찰에서는 착상과 임신 유지 등 생식과정에 수반되는 면역세포 및 그 세포들의 작용기전중 T 림프구의 역할에 중점을 두고 그 분류 및 기능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결론적으로 착상과 임신의 유지 등 생식과정에서 T 림프구는 면역관용과 거부에 적극적으로 작용하며 착상부전, 습관성유산 등 면역학적 병인이 유사한 생식장애 (poor reproductive performance)들의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하지만 향후 T 림프구 및 그와 연관된 면역세포들의 작용에 대한 확실한 분자학적 규명이 요구된다.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the Effect of Dexamethasone on the Luteolysis of Corpus Luteum of the Rat (Dexamethasone이 황체용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 Park, Sun-Hee;Ko, Young-Bok;Rhee, Yun-Ee;Noh, Heung-Tae;Kim, Won-Sik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v.35 no.1
    • /
    • pp.61-67
    • /
    • 2008
  • Objective: This study was attempted to look at the effect of dexamethasone on the luteolysis of corpus luteum in rats by immunohistochemical study. Methods: Counting with an optical microscope was conducted to make a comparison on difference in luteolysis and penetration of macrophage into three groups: control group of 30 female rats at 8 weeks of age, dexamethasone 0.1 mg administered group, and dexamethasone 1mg administered group. Results: As a result of TUNEL immunostaining, the percentage of luteolysis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both dexamethasone 0.1 mg administered group and 1 mg administered group, and after ED1 immunostaining, macrophage invasion was reduced in dexamethasone 1 mg administered group. As a consequence of ED1 immunostaining, the immune response of macrophage was much decreased in dexamethasone 1 mg administered group than control group. Conclusion: Dexamethasone works on luteal cell, so it can suppress apoptosis. It can suppress luteolysis by suppression macrophage invasion into corpus luteum or suppress macrophage activation in corpus luteum.

Autotaxin의 암세포 이동 촉진 활성은 phosphodiesterase catalytic site에 연결 되어있다

  • ;;;Mary L. Strac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6.11a
    • /
    • pp.27-31
    • /
    • 1996
  • 암환자의 생명을 가장 위협하는 암세포의 전이는 숙주와 암세포의 상호작용을 포함하는 여러단계의 연쇄적인 과정이다. 전이의 발생은 하나의 세포나 집단의 암세포가 첫번째 암발생 부위에서 분리되어 국소적으로 침투하고 순환기계에 들어가 다른곳에 흡착 후 다른 장기의 interstitium과 parcnchyma에 입출(extravasate)하게 되며 2차적 colony로서 자라나 stroma나 basement membrine과 같은 생물학적 울타리를 파괴한다. 전이의 각단계에서 암세포는 면역세포의 공격을 피하여야만 한다. 세포의 이동은 태아의 생성(embryonic events), 성장세포의 재조함(remodeling), 상처 치유(wound healing), 맥관형성 (angiogenesis), 면역 방어 (immune defence)의 경우에 아주 중요한 역활을 한다. 정상적인 경우에 세포의 이동은 잘 통제가 되지만 암세포의 이동은 비정상적으로 통제가 되거나 자체내에서 통제가 된다. 암세포는 숙주에서 생산되는 scatter factors, growth factor, extracellular matrix components, 그리고 암세포에서 발생되는 autocrine utility factors를 포함한 여러가지 인자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 PDF

Distinct cell subtype composition using gene expression data in oral cancer (유전자 발현 데이터 기반 구강암에서의 세포 조성 차이 분석)

  • Rhee, Je-Keu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0 no.8
    • /
    • pp.59-65
    • /
    • 2019
  • There are various subtypes of cells in cancer tissues, but it is hard to confirm their composition experimentally. Here, we estimated the cell composition of each sample from gene expression data by using statistical machine learning approaches, two different regression models and investigated whether the cell composition was different between cancer and normal tissue. As a result, we found that CD8 T cell and Neutrophil were increased in oral cancer tissues compared to normal tissues. In addition, we applied t-SNE, which is one of the unsupervised learning, to verify whether normal tissue and oral cancer tissue can be clustered by the derived cell composition. Moreover, we showed that it is possible to predict oral cancer and normal tissue by several supervised classification algorithms. The study would help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immune cell infiltration at oral cancer.

Purification of Recombinant CTP-Conjugated Human prostatic acid phosphatase for activation of Dendritic Cell (수지상세포 활성화를 위한 세포투과 펩타이드가 결합된 재조합 전립성 산성 인산분해효소의 정제)

  • Yi, Ki-Wan;Ryu, Kang
    • KSBB Journal
    • /
    • v.24 no.1
    • /
    • pp.80-88
    • /
    • 2009
  • Human prostatic acid phosphatase (PAP), with comprehensive homology to glandular kallikrein, are representative serum biomarkers of prostate cancer. Dendritic cell (DC), which is the potent antigen-presenting cells(APC) in the immune system, can induce strong T cell responses against viruses, microbial pathogens, and tumors. Therefore, the immunization using DC loaded with tumor-associated antigens is a powerful method for inducing anti-tumor immunity. The CTP (Cytoplasmic Transduction Peptide) technology developed by Creagene which can transport attached bio-polymers like nucleic acids or proteins into the cell with high permeation efficiency. As the active forms of PAP can mediate apoptotic processing, we used multimer forms of PAP as an inactive form for antigen pulsing of DCs. In this study, multimeric forms of CTP-rhPAP was obtained according to the advanced purification process and subsequently confirmed by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 western blot and Dynamic Light Scattering. Therefore, CTP-conjugated PA multimers transduced into the cytoplasm were efficiently presented on the cell surface without any harm effect on cells via MHC class I molecules and result in induction of a large number of effector cell.

T 임파구와 세포성면역

  • 최철순
    • Journal of the kore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 /
    • v.25 no.10
    • /
    • pp.595-606
    • /
    • 1989
  • 항원제시세포(APC)와 보조T세포 간의 협력작용에 의하여 활성화된 작동세포(NK세포, CTL, K세포, 대식세포, 과립구 등)의 종양세포, 이식장기 및 세포내기생세균에 감염된 각종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작용은 생체방어를 위한 중요한 세포성면역기전이다. 지난 몇 년간 세포성면역기전에 관한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T림파구매개성 세포독성작용의 면역생물학적기전은 확실히 밝혀있지 않다. 지금까지 알려진 중요한 연구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세포독성작용을 나타내는 작동세포로는 NK세포, CTL, K세포, 대식세포/단핵구 및 과립구가 있다. 2. T세포의 세포표면항원분자군(CD)으로는 $CD_{2},\;CD_{3},\;CD_{4}[Ly_{3}T_{4}],\;CD_{5}[=Ly_{1}],\;CD_{7},\;CD_{8}[Ly_{2,3}]$가 있으며 $CD_{4}$는 보조Ttpvhdml 특이마커이고 $CD_{8}$는 세포독성 T세포 및 억압T세포의 특이마커이다. 주요 T세포수용체(TCR)는 $CD_{4}$ 또는 $CD_{8}$ 분자와 가까이 연합된 이향체($TCR-{\alpha}{\beta}/TCR-{\gamma}{\delta}$이며 보조 T세포 $CD_{4}$(마우스 $L_{3}T_{4}$)는 수용체와 연합되어 있는반면 억압 T세포 $CD_{8}(Ly+_{2,3})$는 항원수용체와 연합되어 있다. 3. T세포는 Ti-$CD_{3}$(항원/MHC) 복합체를 통한 '항원가교'에 의한 자극(항원인식)과 $CD_{2}$를 통한 비특이경로에 의하여 활성화(분화증식)된다. 비특이경로를 통한 활성경로에서 T세포($CD_{4}$$CD_{8}$)가 활성화되기 위하여는 보조T세포가 생산하는 IL-2을 요구하며 IL-2의 자극으로 분화증식된 $CD_{8}$는 세포독성능을 나타내지만 $CD_{4}^{+}$는 여전히 세포독성능을 나타내지 못한다. 4. 보조T세포는 class II MHC분자와 연합된 항원을 식별하는 반면 세포독성T세포는 class I MHC 분자와 연합된 항원을 식별한다. 5. 림파구 매개성 세포독성은 접촉(conjugati-on), 탈분극(depolarization), 용해계획(progra-mming), 용해(lysis) 및 재순환(recycling)의 단계를 거쳐 진행된다. 6. 표적세포살해매체로는 perforin / PFP / cy-tolysin, lymphopores, lymphotoxins, protone, cytolytic enzymes가 알려졌으며 세포독성작용은 이들 이외에도 여러 가지 매체를 통한 복합작용으로 추정된다. 7. CTL 매개성 표적세포의 주요 대사변화는 actomyocin ATPase의 증가, phosphocreatine과 ATPase의 소모, ATP 의존성 $Na^{+}/K^{+}$ 펌프작용의 중지, ATP 의존성 $Ca^{2+}$ 유출감소 및 세포내 축적이 관찰된다. 8. $Ca^{2+}$의 축적으로 세포막 교질 침투손상을 주어 수분의 유입을 증가시킴으로써 수포형성, 핵붕괴, 사립체팽화 및 정상세포 구조상실(Zeiosis)이 있다. 결론적으로 CTL 매개성 세포독성작용은 PFP, LT, TNF, 유사 TNF / LT 및 기타 매체를 통한 복합작용이며 세포살해기전은 지속적 대사소모와 정형적 세포구조(핵 및 세포질)의 파괴에 의한 것이다.

  • PDF

Beta-4 Integrin Transfection, Cloning and Functional Assay in Squamous Cell Carcinoma (Beta-4 Integrin 유전자 주입, 클로닝과 편평상피암에서의 Beta-4 Integrin 기능에 관한 연구)

  • Kim Young-Min;Carey Tomas E.
    •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
    • /
    • v.13 no.2
    • /
    • pp.169-179
    • /
    • 1997
  • 서론 : Laminin의 수용기로 알려진 Integrin $\alpha6\beta4$의 세포내 표현 정도는 편평상피암을 위시한 여러 악성종양의 전이능력 및 예후와 밀접한 상관관계가 없다고 알려져 있다. 이 Integrin은 Laminin과 같은 세포와 리간드와 결합하면 상피세포의 기저막 지주 구조물인 hemidesmosome의 세포체질 요소(cytoskeletal element)와 연관되어 그 결과 세포의 기저막과 세포내 케라틴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Integrin $\alpha6\beta4$는 구조적으로 다른 많은 integrin들과 달리 $\beta$4의 세포질내 영역(cytoplasmic domain)이 특징적으로 크다. 이 세포질내 영역 $\beta$4 integrin의 기능은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으나 아마 세포 성장의 신호전달 및 악성종양의 특징인 침윤 전이에 관련할 것으로 보아지고 있다. 재료 및 방법: 저자들은 우선 $\beta$4 integrin의 wild type s-DNA와 $\beta$4 세포질내 영역(cytoplasmic domain) 및 $\beta$4의 tyrosine 인산화 반응 부위가 각각 결손된 c-DNA를 PCR을 통하여 합성하여 pRc/CMV 벡터에 삽입한 후 원래 $\beta$4 integrin의 발현이 결집된 인간 방광암 세포에 Calcium phosphate precipitation 방법으로 주입(transfection)시켜 형질변환된 세포를 면역형광법, Flow cytometry 및 Immunoprecipitation 방법으로 클로닝하여 wild type $\beta$4-full length(Clone FL), truncated $\beta$4-cytoplasmic domain(C1one CD), 및 mutated $\beta$4-tyrosine phosphorylation site (Clone M)을 얻었다. 암 세포의 부착 및 침투 능력의 기능적 연구로 모노 클로날 항체와 fibronectin, laminin, Matrigel을 단백질 기질로 사용하였으며 결과 비교를 위하여 pRc/CMV 벡터만 주입시켰던 클로운과 방광암 세포주를 $\beta$4 integrin 음성 대조군으로 또한 이 Integrin의 높은 발현을 보이는 두경부 편평상피암 세포주를 양성 대조군으로 이용하였다. 결과 : 세포부착능력에 있어서 온전한 $\beta$4 cytoplasmic domain이 존재하는 클로운이 laminin에 강한 부착능력을 보였으나 fibronectin의 부착정도는 $\beta$4 integrin의 표현정도와 관계없이 모든 클로운에서 비슷하였다. Matrigel을 투과하는 암세포 침윤 능력에서는 $\beta$4 integrin의 표현이 존재하는 클로운들이 투과 능력이 높았으나 세포외 리간드가 없는 control membrane을 사용하였을 때와 비교하여 투과능력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유전자 주입(transfection) 방법으로 integrin의 다양한 클로운의 합성이 가능하여 이 Integrin의 암 세포의 부착 및 침투 능력에서의 기능을 규명 할 수 있게 한다. $\beta$4 integrin은 편평상피 암세포의 부착에 있어서 세포외 리간드 laminin과 특이 결합하여 부착 능력을 높이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편평상피 암세포의 침투에 있어서는 $\beta$4 integrin의 표현이 침투 능력을 높이는 역할을 하나 이때에는 laminin과 같은 리간드와의 특이 결합에 의존하지는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Preparation of Poly(glycolic acid) Nano-particles by Electro-spray for Gene Carrier (Electro-spray를 이용한 유전자 전달용 Poly(glycolic acid) 나노 입자의 제조)

  • 이상욱;김학용;이덕래;길명섭;이호근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235-237
    • /
    • 2001
  • 유전자 전달체에는 바이러스성 유전자 전달체와 비바이러스성 유전자 전달체의 두 종류가 있다. 바이러스성 유전자 전달체의 장점은 바이러스가 인체의 여러 세포에 침투가 용이하므로 유전자 전달의 효과가 크다는 것이다. 반면 바이러스에 의한 부작용과 인체의 면역 작용에 바이러스의 퇴치가 빠르게 진행되어 목적하는 효과가 반감된다는 단점이 있다. (중략)

  • PDF

GENE EXPRESSION OF HUMAN CORONARY ARTERY ENDOTHELIAL CELLS IN RESPONSE TO PORPHYROMONAS ENDODONTALIS INVASION (Porphyromonas endodontalis의 침투에 따른 혈관 내피세포의 유전자 발현)

  • Kong, Hee-Joung;Choi, Kyoung-Kyu;Park, Sang-Hyuk;Lee, Jin-Yong;Choi, Gi-Woon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34 no.6
    • /
    • pp.537-550
    • /
    • 2009
  • During the last two decades,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interest in the impact of oral health on atherosclerosis and subsequent cardiovascular disease (CVD). To date, some periodontal pathogens including Porphyromonas gingivalis (P. gingivalis) have been reported to be relevant to CVD. Porphyromonas endodontalis (P. endodontalis), which shares approximately 87% sequence homology with P. gingivalis, is mostly found within infected root canals. However, recent studies reveal that this pathogen also resides in the dental plaque or periodontal pocket in patients with periodontitis. It has been shown that P. endodontalis invades human coronary artery endothelial cells (HCAEC) and coronary artery smooth muscle cells (CASMC). To evaluate whether P. endodontalis can participate in the progression of atherosclerosis and CVD, we examined the changes in transcriptional gene expression profiles of HCAEC responding to invaion by P. endodontalis in this stud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Porphyromonas endodontalis was invasive of HCAEC. 2. According to the microarray analysis, there were 625 genes upregulated more than two-folds, while there were 154 genes downregulated by half. 3. Upregulated genes were relevant to inflammatory cytokines, apoptosis, coagulation and immune response. Enhanced expression of MMP-1 was also noticeable. 4. The transcription profiles of the 10 selected genes examined by real-time PCR agreed well with those observed in the microarray analysis. Thus, these results show that P. endodontalis presents the potential to trigger and augment atherosclerosis leading to CVD.

The Effects of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on Allergic contact dermatitis induced by DNCB in Mice (황금(黃芩) 추출물(抽出物)이 DNCB로 유발(誘發)된 생쥐의 Allergy성(性) 접촉피부염(接觸皮膚炎)에 미치는 영향(影響))

  • Jun, Jae-Hong;Kang, Yoon-Ho
    • The Journal of Dong Guk Oriental Medicine
    • /
    • v.7 no.1
    • /
    • pp.119-133
    • /
    • 1998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n immunosuppression and a mitigation of inflammation of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on Allergic contact dermatitis. In order to study,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extract, contact hypersensitivity assay, general morphologic change of skin, sulfated acid mucosubstance, mast cell, IL-2R, ICAM-1 and CD11b were observed in BALB/C mouse induced allergic contact dermatitis by the contact sensitizing DNCB. Ear swelling in contact hypersensitivity assay was decreased in the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extracts administered(HEGT) group, compared with DNCB painted group. In the general morphologic change of skin, hyperplasia of keratinocytes, increase of lymphocytes and inflammatory cell, increase of vasculogenesis and epidermal lymphocytes infiltration, increase of cell damage in epidermal basal layer and prickle layer were decreased in the HEGT group, compared with DNCB painted group. Increase of sulfated acid mucosubstance, mast cell, IL-2R positive cell, ICAM-1 positive cell, CD11b positive cell were decreased in the HEGT group, compared with DNCB painted group.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