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면역조절

검색결과 802건 처리시간 0.025초

Multiple low-dose Streptozotocin 유도 Type I 당뇨병 상태의 면역 기능에 미치는 Brazilin의 영향

  • 문창규;양경미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321-321
    • /
    • 1994
  • 다양하고 복잡한 기전에 의하여 정교히 조절되고 있는 면역 체계의 비정상적인 기능에 비롯된 자가 면역 질환을 개선, 치료하기 위하여 지금까지 많은 면역 조절제가 개발되어 온 바 있으며, 이들의 면역 조절 기전은 약물에 따라 그 효능에 있어 차이가 크고 독성등의 부작용등으로 인해 그 사용이 현저히 제한되고있는 경우가 많아 보다 안전하고 효능있는 새로운 면역 조절제의 개발은 아직도 매우 중요한 의의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실에서는 천연물로부터의 새로운 면역 조절제의 검색을 수행하여 온 바 있으며, 그중 Brazilin이 Low-dose Streptozotocin의 반복 투여에 의해 유도되는 당뇨병 상태의 면역 조절 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검색하고자 하였다. 실험의 결과를 종합하여보면, Brazilin은 외부항원 (SRBC)의 유입시 정상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저하되어 있는 T cell의 기능을 정상 대조군 혹은 그 이상으로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B cell의 기능 역시 활성화 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로부터 Brazilin은 Streptozotocin 유도 당뇨병 상태의 면역기능을 정상화시키는 면역 조절활성을 갖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의 체력증진 및 면역조절효과 (The Regulatory Effect of Angelica gigas Nakai on Immune Enhancement and Cytokine Production in vivo and in vitro)

  • 전용덕;김수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411-416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실험모델을 활용하여 참당귀 추출물의 면역조절 효능을 평가하였다. 특히 강제수영부하실험에서 참당귀 추출물의 경구투여는 부동시간의 감소 및 신장기능 지표인 BUN 및 근육의 피로관련 생화학적 지표인 LDH 활성 조절로 체력증진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T세포를 활용한 참당귀 추출물의 면역조절 효능 평가를 위하여 IL-2, IL-4 및 IFN-𝛾 mRNA 발현 변화에 대한 영향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참당귀 추출물은 IL-2, IL-4 및 IFN-𝛾 세포 활성물질의 생성 조절을 통하여 면역조절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규명된 결과는 참당귀 추출물의 체력증진 및 면역조절을 위한 건강 기능성 제품개발에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신기술 신소재/해외기술 - 천연소재 유래 다당체의 면역조절 기작 (Immunoregulatory Mechanism of Polysaccharides from Natural Plant Resources)

  • 조장원
    • 식품기술
    • /
    • 제26권3호
    • /
    • pp.178-187
    • /
    • 2013
  • 분자단계에서 천연소재 유래 다당체는 면역 세포 표면(예, 대식세포)에 있는 한가지 또는 여러가지 수용체(${\beta}$-glucan 수용체, mannose 수용체, complement 수용체 3, Toll-like 수용체, scavenger 수용체)와 면역 반응을 시작하기 위하여 결합할 수 있고, 그 후에 신호전달을 위하여 cytokine과 second messenger($Ca^{2+}$, cAMP, cGMP, NO 등등)들을 생성한다. 그 결과로 선천면역과 적응면역을 유도하여 다양한 질환에 영향을 미친다. 추가적으로 다당체들의 면역조절은 신경내분비 체계의 조절과도 연관되어 있다. 최근 수많은 천연소재유래 다당체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다양한 연구를 통해 정확한 약효, 낮은 독성과 부작용을 가진 일단의 다당체가 발견되어 현재 임상에서 암 치료에도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사실들은 면역증진 다당체들이 항 종양치료를 위한 새로운 치료제로서 큰 시장을 개척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사실에도 불구하고 현재 다당체에 대한 연구는 다음과 같은 취약점을 내포하고 있다. 첫째 다당체의 생리활성에 대한 정해진 비교기준이 없다. 특별히 임상 환경에서는 이러한 연구들이 중국, 일본, 한국과 일부 다른 동양국가들에 국한되어 있어 유럽이나 미국에서의 연구 자료가 결여되어있다. 둘째 현재 연구에 사용되고 있는 대다수의 천연소재 유래 다당체는 순수한 다당체가 아닌 천연 그대로의 것을 사용하고 있어 소재로부터 유래하는 다른 활성성분에 의해 쉽게 영향을 받을 수 있어 순수 다당체가 면역체계에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는지 진단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셋째 면역조절 경로에서 다당체의 정확한 신호전달 경로가 아직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고, 또한 동물과 임상실험에서 다당체가 작용하는 수용체 및 신호전달 경로에 대한 상반되는 결과가 발표되고 있기도 하다. 따라서 다당체의 면역조절활성에 대한 연구에 있어 다음과 같은 점들에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 첫째 다당체의 구조와 활성간의 상관관계를 밝혀야 할 것이다. 특히 다당체의 세부 구조 및 활성 부위를 밝혀낸다면 분자수준의 면역조절 기작을 명확히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정보를 확보할 수 있다면 다당체의 구조를 변형시켜 활성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며, 또한 활성이 증가된 다당체를 합성하는 일도 가능해 질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beta}$-glucan과 lentinan과 같은 정제된 다당체의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효과적인 동물실험 및 임상실험 protocol을 확보하고 연구결과들에 대한 database를 구축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노력들이 성공적으로 수행된다면 천연소재유래 다당체들이 가까운 장래에 암 치료를 포함한 다양한 질병에 적용 가능한 새로운 면역조절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Immunomodulatory Effects of Dietary Safflower Leaf in Chickens

  • Lee, Sung-Hyen;Lillehoj, Hyun S.;Cho, Soo-Muk;Park, Dong-Woon;Hong, Yeong-Ho;Chun, Hye-Kyung;Lillehoj, Erik P.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715-724
    • /
    • 2007
  • 홍화 (Carthamus tinctorius)는 오래 전부터 각종 감염성 질환이나 암을 치료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최근 각종 천연산물에 사람과 동물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 밝혀지면서, 홍화의 면역조절 효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이에 대한 과학적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홍화의 면역 조절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면역능 실험을 위해 주로 이용되는 실험용 닭(White Leghorn chickens)에게 홍화잎을 첨가한 실험식이를 3주간 급여한 후 관련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홍화잎을 섭취한 실험동물에서 비장 면역세포의 증식이 많았고, $Y{\delta}$-TCR+ 세포의 비율이 높아졌으며, 십이지장에서는 IFN-Y, IL-8, IL-10, IL-15 및 NK-lysin 같은 사이토카인의 발현이 높아졌다. 따라서, 홍화잎은 식이와 함께 급여하였을 때 면역 증강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홍화잎을 이용한 각종 제품 개발이 기대된다.

  • PDF

림프절 스트로마 유래 Fibroblastic Reticular Cell의 면역학적 위치 (The Immunological Position of Fibroblastic Reticular Cells Derived From Lymph Node Stroma)

  • 이종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356-364
    • /
    • 2024
  • 림프절은 인체에 침입한 감염원에 대하여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곳이다. 림프절은 스트로마세포에 의해 뚜렷하게 구획화되어 있다. 스트로마세포들은 면역세포의 이동, 활성화, 분화를 야기하기 위해 상호작용을 위해 미세환경을 제공한다. FRC는 림프절의 T zone에서 3차원 구조물을 형성하여 면역세포의 통로를 제공한다. FRC는 림프절 구조, 면역세포 리쿠르트, 면역세포와의 상호작용, 항원제시 등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염증반응 동안, FRC는 면역세포들의 면역반응을 조절하기 위해 국부적이며 분비성 물질을 통해 면역반응을 조절하고 있다. 본문 면역반응 조절을 위해 FRC가 면역반응의 setup, support 그리고 suppress 단계로 3부분에 관여하여 면역반응을 조절하고 있는 것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전체적으로 FRC는 T 세포생물학적 효율성 증대를 위해 기능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FRC는 식작용을 통해 선천성 면역반응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FRC는 림프절에서 면역반응의 immune gate-keepers로써 위치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전체적으로 FRC는 선천성면역과 적응면역의 조절기능에 대한 내용으로 설명하다. 이러한 협력적 피드백 루프는 염증반응 동안 림프절의 기능을 유지하는데 기여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추출조건에 따른 작약의 대식세포 활성화 유도 (Induction of Macrophage Activation of Paeonia lactiflora according to Extraction Conditions)

  • 유주형;박소정;우진희;신나래;정진부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1-91
    • /
    • 2022
  • 작약은 염증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어 온 전통 약용식물이다. 최근 작약은 대식세포에서 면역조절인자의 분비를 증가시키고 포식작용을 증가시킨다고 보고되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 추출조건별 작약의 대식세포 활성화 유도를 비교하였다. 온도조건 별 작약추출물은 4℃에서 60℃까지는 면역조절인자의 분비를 증가시켰지만, 80℃에서는 면역조절인자의 분비가 다소 감소하였다. 60℃에서 시간별 추출조건에서는 1시간에 24시간까지 면역조절인자의 분비가 유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작약은 60℃에서 1시간 추출하는 것이 대식세포 활성화를 위한 최적 조건이라고 판단된다.

  • PDF

김치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sakei proBio65의 면역 조절 특성 (Characteristics of immunomodulation by a Lactobacillus sakei proBio65 isolated from Kimchi)

  • 임정희;서병주;김정은;채창석;임신혁;한윤수;박용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313-316
    • /
    • 2011
  • 김치로부터 새로운 프로바이오틱균주인 Lactobacillus sakei proBio65를 분리하고 명명하였다. 형질전환 생쥐(Foxp3-GFP KI 생쥐)를 이용하여 L. sakei proBio65의 면역조절 메커니즘 규명 및 면역 조절능을 확인하고 in vivo 적용 질환제어 응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조절 T 세포의 master 전사조절인자로 알려진 $Foxp3^+$를 선정하고, L. sakei가 $Foxp3^+$ 전사조절인자를 증가시키는지 확인하기 위해 확립된 세포기반 screening system을 이용하였다. 항 염증성 사이토카인 전사조질인자의 증가에 이어 $Foxp3^+$ 전자조절인자발현의 상당한 증가를 확인하였다. L. sakei proBio65는 염증성면역 장애의 조절에 치료적으로 유용할 것이다.

세포성장 조절물질 탐색

  • 최인성
    • 미생물과산업
    • /
    • 제19권1호
    • /
    • pp.33-36
    • /
    • 1993
  • 세포성장 조절물질 탐색기술 개발 분야의 연구는 학문적으로는 세포성장 조절물질의 작용기작 규명에 의한 유전병의 병리기전, 암의 병리학적인 원인규명과 면역현상의 이해를 통한 생명과학의 기초연구 증진을 이룩할 것이며 세포성장 조절인자의 유전자를 분리하여 유전자 치료법(gene therapy)에 이용하거나 이들 유전자를 발현벡타를 이용해 과발현시켜 난치성 유전병의 치료에 이용하는 등의 임상실험에 활용할 수 있다. 산업적으로는 이들 연구결과를 활용한 신규 항암제 및 면역 조절제 개발기술의 수준 향상에 따른 생물 신의약 개발 분야에서 국제경재력을 제고시키는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피부노화와 면역 (Cutaneous Aging and Immunity)

  • 최진규
    • 대한화장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화장품학회 1994년도 피부노화
    • /
    • pp.54-66
    • /
    • 1994
  • 외부 환경에 대한 장벽으로서 피부기능의 고전적인 개념은 중요한 신진대사와 면역학적 작용이 일어나는 것을 인식함으로써 확장 되었다. 피부의 면역학적 역할은 면역적 상해의 단순한 표적 이라는 것에서 피부와 연관된 피부와 면역반응의 개시와 조절에서 활발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확대되었다. 본 총설은 면역계의 토대가 되는 중요한 기작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Langerhans cells와 keratinocytes 뿐만아니라 항산화제, 자와선, 지방산 등이 피부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