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면역글로불린 G4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18초

가와사끼병에서의 고용량 정주용 면역글로불린 재치료 (High-dose Intravenous Immune Globulin Retreatment in Kawasaki Disease)

  • 심소연;허미영;김혜순;손세정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10호
    • /
    • pp.1273-1277
    • /
    • 2002
  • 목 적 : 가와사끼병에서 고용량 정주용 면역글로불린 1회 투여에 반응을 보인 군과 재투여 한 군간에 임상양상, 혈액 검사 및 관상동맥 병변의 차이를 비교하고, 고용량 면역글로불린 재투여의 효과를 규명하고자 했다. 방 법 : 1999년 3월부터 2001년 7월까지 이화의대 목동병월에 가와사끼병으로 입원한 174명의 입원 및 외래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1회 면역글로불린에 반응을 보인 군을 I군(154명)으로, 재투여를 받은 환아군을 II군(20명)으로 하여 임상양상, 혈액검사 및 관상동맥 병변에 대한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 과 : 1) 고용량 면역글로불린 치료를 받은 174명의 환아 중 20명(11.5%)이 면역글로불린을 재투여 받았고 이 중 2명(1.1%)은 면역글로불린에 저항을 보였다. 2) 두 군간에 성별, 나이 및 임상양상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면역글로불린 재투여군에서 1회 투여군에 비하여 혈중 albumin은 유의하게 낮았고 (3.7 vs 3.4 g/dl, P<0.05) ALT는 유의하게 높았다(118.2 vs 229.3 U/L, P<0.05). CRP도 재투여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8.9 vs 13.3 mg/dL, P<0.05). 4) 관상동맥병변은 면역글로불린 1회 투여군이 13.6% 재투여군이 45%로 면역글로불린 재투여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 고용량 정주용 면역글로불린 투여 후에도 발열이 지속되거나 재발열 되는 가와사끼병의 치료에 면역글로불린 재투여는 안전하고 효과적이었으나, 관상동맥 합병증을 감소시키지는 못하였다.

양측 난소의 악성 종양으로 오인한 난소의 면역글로불린 G4 관련 질환 (Immunoglobulin G4-Related Disease of the Ovary Mimicking Bilateral Ovarian Malignancies)

  • 심용식;정택;정대철;김현수;오영택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1권4호
    • /
    • pp.996-1002
    • /
    • 2020
  • 면역글로불린 G4 관련 질환은 신체 전 장기를 침범할 수 있는 전신적인 섬유-염증성 질환이다. 면역글로불린 G4 관련 질환이 난소를 침범한 경우는 드물어서 현재까지 2건의 증례만이 보고되었다. 컴퓨터단층촬영 및 자기공명영상에서 양측 난소의 악성 종양으로 오인되었으나 병리학적으로 면역글로불린 G4 관련 질환으로 진단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특발성혈소판감소성자반증 환아에서 정주용 면역 글로불린 투여 후 절대 호중구 수치의 변화 (Change of absolute neutrophil count after intravenous immunoglobulin administration for the children with idiopathic thrombocytopenic purpura)

  • 신현정;방인국;최병규;황진복;김준식;김흥식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10호
    • /
    • pp.982-986
    • /
    • 2007
  • 목 적 : 특발성혈소판감소성자반증의 치료로 정주용 면역 글로불린을 사용한 후 절대 중성구치의 변화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방 법 : 내원 당시 발열이나 CRP 증가, 스테로이드 사용 등 백혈구수치에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인자를 가지지 않은 특발성혈소판감소성자반증 환아 26례를 대상으로 사용된 정주용 면역 글로불린의 용량과 사용중 발열 여부 등에 따라 정주용 면역 글로불린을 1일간 사용한 전후의 절대 중성구 수치의 변화를 후향적으로 관찰하였다. 결 과 : 특발성혈소판감소성자반증의 치료로 면역 글로불린을 사용한 후 1일이 지났을 때 절대 호중구 수치는 감소되었던 경우가 많았고 절대 호중구 수치의 감소 정도는 면역 글로불린의 용량과 관계가 있었다. 면역 글로불린 사용 후 절대 호중구 수치가 증가되었던 경우는 면역 글로불린 사용 중 발열을 동반하거나 저용량의 면역 글로불린을 사용하였던 경우들이었다. 절대 호중구 수치가 감소된 경우에도 감염성 합병증이 있었다고 기술되었던 경우는 찾을 수 없었다. 결 론 : 특발성혈소판감소성자반증의 치료에 면역 글로불린을 사용하고 1일 후 절대 호중구 수치가 감소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심각한 감염성 합병증이 있었다는 기록은 찾기 어려웠으나 이러한 현상이 환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앞으로 계속 관찰할 필요가 있겠다.

기관지확장증 환자에서 면역글로불린 G 아강 결핍증의 빈도 및 특성 (Incidence of Immunoglobulin G Subclass Deficiencies in Patients with Bronchiectasis an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Immunoglobulin G Subclass Deficiency and Bronchiectasis)

  • 김창환;김동규;박성훈;최정희;이창률;황용일;신태림;박상면;박용범;이재영;장승훈;김철홍;모은경;이명구;현인규;정기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6권4호
    • /
    • pp.295-299
    • /
    • 2009
  • 연구배경: 기관지확장증의 원인은 체액성 면역결핍증을 포함해 매우 다양하지만 원인이 불분명한 경우도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그러나 면역글로불린 G 아강 결핍이 기관지확장증과 관련이 있는지는 불분명하며, 이에 대한 연구도 매우 드물다. 이에 저자들은 원인이 불분명한 기관지확장증 환자에서 면역글로불린 G아강 결핍증을 포함한 면역글로불린 결핍증의 빈도를 측정하고, 이들 중 면역글로불린 G 아강 결핍을 보이는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 법: 한 대학병원 호흡기내과 외래 방문객 중 흉부 CT에서 기관지확장증이 확인된 환자들에 대해 문진과 검사를 시행하여 기관지확장증의 원인이 불분명한 것으로 판단되는 환자 31명을 선정하였다. 결 과: 대상 환자 31명 중 총면역글로불린 결핍증 환자는 2명이었고, 면역글로불린 G 아강 결핍은 14명(45%)으로 매우 빈도가 높았으며, 면역글로불린 G3 결핍을 보인 환자군과 정상인 환자군을 나누어 비교하였을 때 성, 연령, 부비동염과 천식의 빈도, 폐기능 이상의 빈도에 있어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기관지확장증 환자에서 그 원인이 분명하지 않은 경우 면역글로불린 G 아강의 농도를 측정해 볼 필요가 있으며, 향후 병인과의 관련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진행할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종 조직판막 도관 혹은 판막 이식술 직후 면역 글로불린 항체 G, M의 혈중 농도 변화 (Serum Lmmunoglobulin G and M Level after Xenograft Valve or Valved Conduit Implantation)

  • 곽재건;유재석;윤선희;김웅한;김경환;김용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2호
    • /
    • pp.223-228
    • /
    • 2008
  • 배경: 동물조직의 생체조직이식시 이종항원 물질인 알파-갈(${\alpha}$-Galactose) 항원결정인자에 대한 환자의 면역반응에 많은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이종 판막 이식 후 체내에서 ${\alpha}$-Galactose에 대하여 면역반응이 발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면역글로불린 G, M (IgG, IgM)의 변화를 일반적인 혈액 검사에 의한 혈중 농도를 측정하여 면역반응의 정도를 예측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3월부터 2007년 1월까지, 개심술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이종 판막 이식 환자 (실험군, 10명), 이종 장기가 이식되지 않은 환자(대조군, 9명))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환자의 나이는 $10.3{\pm}9.1$세, 체중은 $31.4{\pm}20.3kg$이었다. 환자들에게서 수술 전, 수술 후 2일째, 수술 후 10일째에 일반적인 혈액 채취를 통하여 IgM, G의 혈중 농도를 측정하였다. 수술 이전에 이종 장기가 이식되어있던 환자들과 그렇지 않았던 환자들을 비교하여 면역 글로불린의 수술 전 기저치에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이전의 상태가 수술 후 면역 글로불린의 혈중 농도 변화에 영향을 주었는지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얻어진 혈중 농도로 두 군 간에 수술 후 면역 글로불린의 혈중 농도 변화와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술전 이종 장기가 이식되어 있던 환자들과 그렇지 않은 환자들 사이에 면역글로불린의 혈중 농도에는 차이가 없었다(IgG; p-value=1.00, IgM; p-value=0.898). IgG, M 모두 실험군과 대조군 각 군 내에서 수술 전에 비하여 수술 후 2일째 혈중 농도가 감소하였다가 이후 다시 증가하는 일정한 변화의 경향을 보였고, 그 변화 정도가 시간에 따라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달라졌다. 그러나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에는 그 변화의 정도, 경향에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IgG; p-value=0.393, IgM; p-value=0.193). 결론: 이종조직 판막이식 후 혈액 채취를 통해 얻은 혈중 농도 변화는 이종조직판막 이식을 하지 않는 수술을 받은 환자와 차이가 없었다. 이것은 면역 글로불린의 혈중 농도 변화 정도가 술 후 양 군 간에 차이가 없다기보다는, 일상적인 혈액 채취를 통한 면역 글로불린의 혈중 농도 측정으로는 면역 반응에 의한 면역 글로불린의 변화를 측정하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이종조직판막이식 후의 이종동물항원에 대한 면역반응의 체내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서는 직접적인 ${\alpha}$-Galactose에 대한 항체의 측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유산소 운동과 단백식이가 흰쥐의 혈중지질, 간기능 및 면역글로불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erobic Exercise and a Protein Diet on Serum Lipid Profiles, Liver Function, and Immunoglobulin in Rats)

  • 성기동;손원목;백영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92-97
    • /
    • 2012
  • 본 연구는 4주간의 유산소운동과 단백질 섭취가 흰쥐의 혈중지질, 간기능 및 면역글로불린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실험동물은 총 24마리를 대상으로 4주간 20-30분씩 14~17 m/min의 속도로 트레드밀을 이용하여 유산소 운동을 실시하였으며, 운동단백식이군(A, n=6), 단백식이군(B, n=6), 운동군(C, n=6), 대조군(D, n=6)으로 분류하였고, 유산소 운동 4주후 혈중지질, 간기능 및 면역글로불린 농도를 측청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유산소 운동과 단백질식이를 실시 후 총콜레스테롤(TC)는 운동단백식이군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성지방(TG)는 운동군이 유의하게 낮았다.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HDL-C)는 운동단백식이군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LDL-C)는 운동단백식이군과 운동군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간기능에서는 운동단백식이군과 단백식이군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GPT는 차이가 없었다. 면역글로불린 IgG는 운동단백식이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나, IgA, IgM은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유산소 운동과 단백섭취는 혈중지질 개선과 간기능 및 면역글로불린 IgG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심혈관 질환을 예방하고 항체 형성 인자에 영향을 주어 인체의 면역항체 형성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두경부에 국한된 표현형으로 발생한 면역글로불린 G4와 연관된 질환: 증례 보고 (Immunoglobulin G4-Related Disease Involving Various Head and Neck Regions: A Case Report)

  • 임준용;선우미옥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4호
    • /
    • pp.910-917
    • /
    • 2022
  • 면역글로불린 G4 (immunoglobulin G4; 이하 IgG4) 관련 질병은 한때는 장기별 별개의 질환으로 진단되었던 질환들을 근래에 공통적인 병리학적, 혈액학적 및 임상적 특징을 가지는 면역 매개 질환을 일컫는다. 이 분류의 질환은 다양한 장기를 침범할 수 있으며, 두경부 역시 침범할 수 있다. 두경부를 침범하였을 경우, 주로 눈물샘, 안와, 갑상선, 뇌하수체 및 뇌수막 등을 주로 침범한다. 이에, 초기 급성중이염과 유양돌기염으로 증상으로 내원한 65세 여자환자에서 안면신경, 뇌경막, 비인강과 경부임파절에 동시에 발생하여 자기공명영상과 조직검사로 진단된 IgG4 연관 질환에 대하여 증례 보고를 하고자 한다.

안면 마비와 난청으로 진단된 면역글로불린 G4 연관질환 동반 육아종성 다발 혈관염 1예 (A Case of Granulomatosis with Polyangiitis with IgG4-Related Disease Expressed by Facial Paralysis and Hearing Loss)

  • 김형식;두전강;여승근;김상훈
    • 임상이비인후과
    • /
    • 제29권2호
    • /
    • pp.240-244
    • /
    • 2018
  • Granulomatosis with polyangiitis (GPA) and Immunoglobulin (Ig) $G_4$-related disease ($IgG_4$-RD) are rare diseases and early diagnosis and proper management are imperative to prevent multi-organ damage. The authors present a case of a 60 years old woman who had facial paralysis and hearing loss. Lt intact canal wall tympanomastoidectomy, Lt facial nerve decompression and ossiculoplasty with partial ossicular replacement prosthesis (PORP) was done. During operation, middle ear tissue was biopsied and GPA with $IgG_4$-RD was diagnosed. After methyl prednisolone (MPD) pulse therapy and azathioprine therapy, the severity of paralysis was improved. We present this case because common otologic symptoms like facial palsy and hearing loss could be initial symptoms of rare systemic disease.

면역글로불린 G4 연관 질환과 유사한 담관 침범을 보이는 Erdheim-Chester 병: 증례 보고 (Erdheim-Chester Disease Involving the Biliary System and Mimicking Immunoglobulin G4-Related Disease: A Case Report)

  • 홍혁기;정용은;박준;김여은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3호
    • /
    • pp.757-762
    • /
    • 2023
  • Erdheim-Chester 병은 희귀한 조직구증으로, 백혈구의 아형인 조직구의 과잉 생산으로 인한 질병 중 하나이며, 1930년에 처음 기술되었다. Erdheim-Chester 병은 가장 흔하게는 뼈를 침범하고, 복부의 다른 모든 기관을 침범할 수 있지만 담도 침범의 증례는 매우 드물게 보고된다. 이에 저자는 영상의학적으로 면역글로불린 G4 연관 질환과 구별하기 어려웠던 Erdheim-Chester 질환의 담도 침범 사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소도구를 활용한 융복합 필라테스 매트운동이 중년여성의 면역글로블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Using Prop for Con vergence Pilates Met Exercise on the Immunoglobulin in Middle-aged Women)

  • 백순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5호
    • /
    • pp.329-336
    • /
    • 2015
  • 본 연구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소도구 필라테스 매트 운동 프로그램을 8주간 주 3회의 빈도로 준비운동 10분, 주 운동 40분, 정리운동 10분을 실시하였다. 필라테스 운동프로그램 수행 시 운동강도는 ACSM(2010)의 지침을 기준으로 삼아 1-4주는 50-60%HRR, 5-8주는 61-70%HRR로 50-70%의 강도로 유지 시켰고, 4주마다 소도구 필라테스 운동 프로그램의 강도를 증가시켰으며 무선심박수 측정기(Polar Analyzer, Polar Electro of Finland)를 이용하여 Karvonen(1979) 방법으로 얻어진 개인별 목표 심박수와 운동자각도를 이용하여 운동강도를 체크하였다. 8주간 소도구 필라테스 매트 운동을 통해 면역글로불린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과 절차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8주간 소도구 필라테스 매트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면역글로불린 IgA에서 증가하였으며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8주간 소도구 필라테스 매트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면역글로불린 IgG에서 증가하였으며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8주간 소도구 필라테스 매트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면역글로불린 IgM에서 증가하였으며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실시한 소도구를 이용한 필라테스 매트 운동이 면역기능에 긍정적인 호르몬 변화를 보였으며 대사적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운동방법이라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