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면굴절력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3초

(-) 구면 렌즈 면의 반사상에 의한 굴절력 측정 (Measurement of Refractive Power by Reflective image on the Negative Spherical Lens)

  • 최운상;김대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417-421
    • /
    • 2004
  • 안경렌즈 면 위에 반사되는 상을 관찰하연 한 물체에 대해 두 개의 상이 나타나 있다. 이것은 렌즈 전면에서 반사되는 상과 렌즈 후면에서 반사되는 상이다. 이 상들은 렌즈 전, 후면의 굴절력에 의해 렌즈 면에서 반사되는 상이며, 렌즈 전체의 굴절력은 렌즈 전, 후면의 굴절력을 이용하면 얻을 수가 있다. 그러므로 렌즈 면 위에서 나타나는 상 크기 측정은 렌즈의 굴절력을 측정하는 기기의 도움 없이 렌즈의 굴절력을 측정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렌즈 면 위에서 측정된 두 개 반사상의 비와 굴절력을 측정하여 계산한 값과 비교하였다.

  • PDF

전면 굴절력과 굴절률이 착락원의 크기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Front Surface Power and the Refraction Index on RMS Spot Diameter)

  • 박성종;신철근;주석희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57-63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안경렌즈의 전면굴절력, 굴절률, 그리고 중심 두께의 변화에 따라 상측정점초점면에 맺는 착락원 직경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Code V와 LOSA 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상측정점굴절력이 -4.00D이고 직경이 70 mm인 근시교정용 안경렌즈를 고려하였다. 또한 안경렌즈의 전면 굴절력은 0~10D, 중심 두께는 1.1~2.0mm 그리고 굴절률은 $n_d$ = 1.498, 1.523, 1.586, 1.60인 경우를 각각 고려하였다. 안경렌즈의 전면굴절력이 증가할수록 상측정점초점면에서 맺는 착락원 직경의 크기는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안경렌즈의 굴절률이 증가한 경우에 상측정점초평면에 맺는 착락원 직경의 크기는 감소하였으며, 전면굴절력의 변화에 따른 착락원 직경의 크기 변화는 작았다. 안경렌즈의 중심 두께가 증가할수록 상측정점초평면에 맺는 착락원 직경 크기에는 거의 영향이 없지만 안경렌즈의 가장자리의 두께는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구면렌즈의 경우에는 전면굴절력이 작고, 굴절률이 클수록 상측정점초평면에서 더 좋은 결상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전면의 conic 계수 변화가 착락원 크기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Variation of Conic Coefficient of the Front Surface on RMS Spot Diameter)

  • 박성종;주석희;심상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77-83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안경렌즈 전면의 conic 계수 변화에 따른 상측정점초점면에서의 착락원 직경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Code V와 LOSA 2.9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이때 상측정점굴절력은 -4.00D이고 직경은 70mm인 근시교정용 안경렌즈를 고려하였으며, 전면 굴절력은 2.00D, 4.00D, 6.00D, 그리고 8.00D인 경우를, 굴절률은 $n_d$=1.498, 1.523, 1.586, 그리고 1.660인 경우를 각각 고려하였다. 최적 conic 계수를 사용한 비구면 렌즈의 경우에 상측정점초점면에서의 착락원 크기가 구면렌즈의 경우 보다 작아졌으며, 가장자리의 두께는 감소하였다. 또한 전면굴절력이 작을수록 상측정점초점면에서의 착락원의 크기가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상측점검초점면에서의 착락원 직격을 최소화하여 광학적 결상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최적 conic 계수를 결정하였다.

  • PDF

자동 시각 굴절력-곡률계의 전자 부문 하드웨어 설계 (The hardware design of Automatic Refractometer-Keratometer)

  • 박춘자;유강민;유대상;박종원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1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3)
    • /
    • pp.49-51
    • /
    • 2001
  • 현재 국내의 시각 관련 전문가들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자동 시각 굴절력-곡률계(Auto Ref-Keratometer)는 대부분 일본 제품들을 포함하는 외국산들이다. 최근 국내에서도 일부 기업에서 시각 측정기 부문에서의 개발을 행하고 있으나 아직 외국 제품들에는 정확도, 성능 등에서 크게 미흡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 이에 좀 더 개선된 성능의 광학 부문, 소프트웨어 부문, 전자 하드웨어 부문등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하드웨어의 변경 없이 전자 부문 소프트웨어의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도록 해 주어 개발 기간을 크게 줄일 수 있고 고객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의 응용 확장도 가능하도록 범용성을 갖추 자동 시각 굴절력 곡률계의 전자 부문 하드웨어를 설계하였다. 본 전자 부문 하드웨어 시스템은 동시 개발 중인 광학 부문, 전자 부문 소프트웨어와 연동되어 외국 제품에 비교시 정확도와 성능면에서 근소하나마 향상된 결과를 낼 수 있게 하였을 뿐 아니라 향후 발전 가능성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었다.

  • PDF

자동 시각 굴절력 곡률계 전자 부문에서의 효과적인 하드웨어 구성 방안 (An Effective Organization Method for Hardware in Automatic Refracto-Keratometer)

  • 유강민;성원;박종원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상)
    • /
    • pp.523-526
    • /
    • 2002
  • 최근 시각 관련 측정기 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국내의 시각 관련 전문가들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자동 시각 굴절력-곡률계(AutoRefracto-Keratometer)는 대부분 일본 제품들을 포함하는 외국산들이다. 최근 국내에서도 일부 기업에서 시각 측정기 부문에서의 개발을 행하고 있으나 아직 외국 제품들에는 정확도, 성능 등에서 크게 미흡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 이에 좀 더 개선된 성능의 광학 부문, 소프트웨어 부문, 전자 하드웨어 부문 등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하드웨어의 변경 없이 전자 부문 소프트웨어의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도록 해 주어 개발 기간을 크게 줄일 수 있고 고객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의 응용 확장도 가능하도록 범용성을 갖춘 자동 시각 굴절력 곡률계의 전자 부문 하드웨어를 설계하였다. 본 전자 부문 하드웨어 시스템은 동시 개발 중인 광학 부문, 전자 부문 소프트웨어와 연동되어 외국 제품에 비교시 정확도와 성능면에서 향상된 결과를 낼 수 있게 하였을 뿐 아니라 향후 발전 가능성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었다.

  • PDF

각막지형과 동공크기에 의한 굴절교정값의 변화 (Changes of Refractive Errors Caused by Corneal Shape and Pupil Size)

  • 노연수;김상엽;문병연;조현국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83-387
    • /
    • 2014
  • 목적: 동공크기가 달라질 때 각막의 고유한 형태가 굴절검사 완전교정값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방법: 평균연령 $23.33{\pm}1.78$세의 30명(60안)을 대상으로 검사실 조도 760 lx와 2 lx에서 각각 자각적굴절검사를 실시하여 단안 완전교정하고, 동공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각막지형을 측정한 후 peak data를 이용하여 각막지형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과: 검사실 조도 760 lx에서 측정된 동공크기는 3.74~4.00 mm, 2 lx에서는 5.52~5.90 mm로 측정되었다. 760 lx에서 2 lx로 조도가 변화될 때 (-)구면굴절력이 증가한 경우는 17안(28.3%), (+)구면굴절력이 증가한 경우는 10안(16.7%), (-)원주굴절력이 증가한 경우는 17안(28.8%), (-)원주굴절력이 감소한 경우는 9안(15.3%), 그리고 난시축이 변화한 경우는 36안(62.1%)이었다. 각막지형측정에서 나타난 peak data 분석 결과 각막 주경선의 변화는 4가지 형태로 분류되었다. 결론: 동공확대에 따른 각막굴절면 확장은 각막의 고유한 형태로 인해 자각적굴절 검사값을 변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므로, 자각적굴절검사는 주된 생활환경에 맞는 조도조건에서 실시하여야 한다.

파면굴절력 교정을 위한 자유형상 누진가입도렌즈 개발 (Development of Free-form PALs for Correcting Wavefront Refraction)

  • 박상배;정미숙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50-59
    • /
    • 2010
  • In this paper, two kind of free-form progressive addition lenses (PALs) were designed with Zernike polynomial surface and anatomically accurate finite presbyopic schematic eyes which have aspheric cornea, aspheric GRIN crystalline lens, aspheric retina, and Gaussian apodization factor. Geometrical and diffraction MTFs were used for the optimization process in sequence. 5th orders of Zernike polynomials were used for the evaluation of progression zones of the two examples. The target MTF was set as 0.22 at 100 lp/mm which satisfies the standard visual resolution. These examples were fabricated with a CNC diamond turning machine controlled by slow tool servo (STS). After polishing process, the wavefront aberrations were measured with a laser interferometer on the ten test points across the progression zones and then compared with three current commercially available PALs on the optical performance. Astigmatic aberrations of the examples are very lower than the three selected PALs and have more increased stabilized progressive intermediate zones and near zones. It is expected to give better clear and comfortable distance, intermediate and near visions than other conventional PALs and to improve the adaptability of presbyopic patients to PALs.

형상 분석에 의한 안경렌즈의 비구면 계수 추출 방법 (A method to extract the aspherical surface equation from the unknown ophthalmic lens)

  • 이호철;이남영;김건희;송창규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30-433
    • /
    • 2004
  • The ophthalmic lens manufacturing processes need to extract the aspherical surface equation from the unknown surface since its real profile can be adjusted by the process variables to make the ideal curve without the optical aberration. This paper presents a procedure to get the aspherical surface equation of an aspherical ophthalmic lens. Aspherical form generally consists of the Schulz formula to describe its profile. Therefore, the base curvature, conic constant, and high-order polynomial coefficient should be set to the original design equation. To find an estimated aspherical profile, firstly lens profile is measured by a contact profiler, which has a sub-micrometer measurement resolution. A mathematical tool is based on the minimization of the error function to get the estimated aspherical surface equation from the scanned aspherical profile. Error minimization step uses the Nelder-Mead simplex (direct search) method. The result of the refractive power measurement is compared with the curvature distribution on the estimated aspherical surface equation

  • PDF

단면 형상 측정을 이용한 비구면 안경 렌즈의 최적 근사화된 설계 계수의 추정 방법 (Estimation Method of the Best-Approximated Form Factor Using the Profile Measurement of the Aspherical Ophthalmic Lens)

  • 이호철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5-62
    • /
    • 2005
  • This paper presents mainly a procedure to get the mathematical form of the manufactured aspherical lens. Generally Schulz formula describes the aspherical lens profile. Therefore, the base curvature, conic constant. and high-order polynomial coefficient should be set to get the approximated design equation. To find the best-approximated aspherical form, lens profile is measured by a commercial stylus profiler, which has a sub-micrometer measurement resolution. The optimization tool is based on the minimization of the root mean square of error sum to get the estimated aspherical surface equation from the scanned aspherical profile. Error minimization step uses the Nelder-Mead simplex (direct search) method. The result of the lens refractive power measurement shows the experimental consistency with the curvature distribution of the best-approximated aspherical surface equation

Navarro 모형안에 기반을 둔 조절을 고려한 모형안의 설계 및 분석 (Analysis and Design of an Accommodation-Dependent Eye Model Based on Navarro Model)

  • 강은경;박성찬;김진주;황보창권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35-240
    • /
    • 2010
  • 목적: 본 연구에서는 조절작용에 있어 유일한 굴절기관인 수정체에 대한 최근의 측정결과들을 고려하여 조절이 포함된 모형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제안된 수정체는 2개의 비구면으로 구성되었으며, 2개의 면이 만나는 점들은 수직으로 이은 선을 직경이라 하고 광축과 만나는 점을 원점으로 전면부와 후면부로 나누었다. 조절이 진행되는 동안, 굴절률은 균질하고 변화가 없도록 간략화하였으며, 수정체 전면부의 부피와 후면부의 부피는 각각 변화가 없다고 가정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는 조절자극량이 커질수록 수정체의 직경이 감소하면서 전면과 후면의 곡률반경이 감소하고 두께는 증가한다. 각 조절단계에서의 곡률반경과 두께를 구할 수 있으며, 계산된 값들로 굴절력 변화를 구하여 조절반응량으로 나타낼 수 있다. 조절자극량에 따른 매개변수 변화량들은 실안의 측정결과와 유사한 움직임을 보였다. 결론: 이와 같은 결과들은 각 조절단계에서 수정체의 부피와 굴절률이 변하지 않는 가정 아래 동적 매개변수의 변화량을 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