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멜리틴

Search Result 13,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Bee Venom Inhibits PC-3 Cell Proliferation Through Induction of Apoptosis Via Inactivation of NF-${\kappa}B$ (Bee Venom이 NF-${\kappa}B$의 불활성화에 의한 세포자멸사를 통해 PC-3 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 Oh, Hyun-Jun;Song, Ho-Sueb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v.27 no.3
    • /
    • pp.1-13
    • /
    • 2010
  • 목적 : 이 연구는 봉약침의 봉독과 그 주요성분인 멜리틴이 NF-${\kappa}B$의 활성억제와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질의 발현 조절을 통하여 세포자멸사를 유도함으로써 전립선 암세포주인 PC-3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지를 확인하고 해당 기전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 봉독이나 멜리틴을 처리한 후 PC-3의 성장억제를 관찰하기 위해 WST-1 assay, CCK-8 assay를 시행하였고, 세포자멸사 조절단백질의 변동 관찰에는 western blot analysis를 시행하였고, 세포자멸사와 연관된 NF-${\kappa}B$의 활성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EMSA를 시행하였으며, PC-3에서 봉독이나 멜리틴과 NF-${\kappa}B$의 상호작용을 관찰하기 위해 transient transfection assay를 시행하여 세포생존율과 NF-${\kappa}B$의 활성 변동을 측정하였다. 결과 : PC-3 세포에 봉독이나 멜리틴을 처리한 후, 전립선암세포의 성장, 세포자멸사의 유발,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질의 발현, NF-${\kappa}B$의 활성, NF-${\kappa}B$의 p50, $IKK{\alpha}$, $IKK{\beta}$ 치환 후 NF-${\kappa}B$의 활성과 PC-3 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C-3 세포에서 봉독이나 멜리틴을 처리한 후 세포자멸사가 유도되어 세포성장이 억제되었고,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질 중 분리된 PARP, caspase-3, -9는 유의한 증가를, Bcl-2, XIAP, cXIAP2는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2. PC-3 세포에서 봉독이나 멜리틴을 처리한 후 NF-${\kappa}B$의 활성은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3. PC-3 세포에서 NF-${\kappa}B$의 p50, $IKK{\alpha}$, $IKK{\beta}$를 치환하여 작용기를 없애고 봉독이나 멜리틴을 처리하였을 경우에도 NF-${\kappa}B$의 활성이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는 봉독이나 멜리틴이 NF-${\kappa}B$의 활성 억제를 통하여 인간 전립선암세포주인 PC-3의 세포자멸사를 유발함으로써 증식억제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 것으로, 전립선암의 예방과 치료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제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Melittin Inhibits DU -145 Human Refractory Prostate Cancer Cell Growth Through Induction of Apoptosis Via Inactivation of NF-${\kappa}$B (Melittin이 NF-${\kappa}$B의 불활성화를 통한 DU-145 전립선 암세포의 성장 및 세포자멸사 유도에 미치는 영향)

  • Choi, Chul-Hoon;Song, Ho-Sueb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v.26 no.3
    • /
    • pp.39-48
    • /
    • 2009
  • 목적 : 이 연구는 봉약침의 주요성분인 멜리틴이 NF-${\kappa}$B의 활성억제를 통하여 세포자멸사를 유도하고, 전립선 암세포주인 DU-145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지를 확인하고 멜리틴의 NF-${\kappa}$B 활성억제기전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 멜리틴을 처리한 후 DU-145의 성장억제를 관찰하기 위해 WST-1 assay를 시행하였고, 세포자멸 사의 관찰에는 DAPI stairung assay를 통한 세포형태관찰을 시행하였으며, 염증관련유전자 발현 관찰에는 western blot analysis를 시행하였고, 세포자멸사와 연관된 NF-${\kappa}$B의 활성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EMSA와 luciferase assay를 시행하였으며, DU-145에서 멜리틴과 NF-${\kappa}$B의 상호작용을 관찰하기 위해 transient transfection assay를 시행 시 세포생존율과 NF-${\kappa}$B의 활성 변동을 측정하였다. 결과 : DU-145 세포에 멜리틴을 처리한 후, 전립선암세포의 성장, 세포자멸사의 유발, 염중관련유전자 발현 및 NF-${\kappa}$B의 활성, NF-${\kappa}$B의 p50 치환 후 NF-${\kappa}$B의 활성과 DU-145 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DU-145 세포에서 멜리틴을 처리한 후 세포자멸사가 유도되어 세포성장이 억제되었다. 2. DU-145 세포에서 멜리틴을 처리한 후 염증관련유전자 발현 및 NF-${\kappa}$B의 활성에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3. DU-145 세포에서 NF-${\kappa}$B의 p50와 IKK들을 치환하여 작용기를 없애고 멜리틴을 처리하였을 경우에도 세포활성 및 NF-${\kappa}$B의 활성의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 PDF

Bee Venom Inhibits LNCaP Cell Proliferation Through Induction of Apoptosis Via Inactivation of $NF-{\kappa}B$ (봉독의 세포자멸사를 통한 LNCaP 세포증식 억제)

  • Lee, Hong-Sun;Song, Ho-Sueb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v.25 no.2
    • /
    • pp.59-74
    • /
    • 2008
  • 목적 : 이 연구는 봉약침의 봉독과 그 주요성분인 멜리틴이 $NF-{\kappa}B$의 활성억제와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질의 발현 조절을 통하여 세포자멸사를 유도하고 전립선 암세포주인 LNCaP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지를 확인하고 해당 기전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 봉독이나 멜리틴을 처리한 후 LNCaP의 성장억제를 관찰하기 위해 WST-1 assay, CCK-8 assay를 시행하였고, 세포자멸사의 관찰에는 DAPI, TUNEL staining assay를 시행하였으며, 세포자멸사 조절단백질의 변동 관찰에는 western blot analysis를 시행하였고, 세포자멸사와 연관된 $NF-{\kappa}B$의 활성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EMSA를 시행하였으며, LNCaP에서 봉독이나 멜리틴과 $NF-{\kappa}B$의 상호작용을 관찰하기 위해 transient transfection assay를 시행 시 세포생존율과 $NF-{\kappa}B$의 활성 변동을 측정하였다. 결과 : LNCaP 세포에 봉독이나 멜리틴을 처리한 후, 전립선암세포의 성장, 세포자멸사의 유발,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질의 발현, $NF-{\kappa}B$의 활성, $NF-{\kappa}B$의 p50 치환 후 $NF-{\kappa}B$의 활성과 LNCaP 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LNCaP 세포에서 봉독이나 멜리틴을 처리한 후 세포자멸사가 유도되어 세포성장이 억제되었고,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질 중 분리된 PARP, caspase-9, Bax는 유의한 증가를, Bcl-2, p-Akt, MMP 13, XIAP, cXIAP는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2. LNCaP 세포에서 봉독이나 멜리틴을 처리한 후 $NF-{\kappa}B$의 활성의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3. LNCaP 세포에서 $NF-{\kappa}B$ p50를 치환하여 작용기를 없애고 봉독이나 멜리틴을 처리하였을 경우에도 $NF-{\kappa}B$의 활성의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는 봉독이나 멜리틴이 $NF-{\kappa}B$의 활성 억제를 통하여 인간 전립선암세포주인 LNCaP의 세포자멸사를 유발함으로써 증식억제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 것으로 전립선암의 예방과 치료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제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그 기전에서 봉독이나 멜리틴은 기존연구와 달리 $NF-{\kappa}B$ p50의 작용기와 직접적으로 상호작용을 하지는 않는 것으로 보이므로 심화 연구를 요한다.

  • PDF

Melittin inhibits cell migration and invasion via blocking of the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EMT) in lung cancer cells (EMT 억제를 통한 멜리틴의 폐암세포 이동 및 침투 억제 효과)

  • Cho, Hyun-Ji;Jeong, Yun-Jeong;Kim, Mun-Hyeon;Chung, Il-Kyung;Kang, Dong Wook;Chang, Young-Chae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50 no.1
    • /
    • pp.105-110
    • /
    • 2018
  • Melittin is the main component of apitoxin (bee venom) that has been reported to have anti-inflammatory and anti-cancer effects. Herein, we demonstrated that inhibition of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EMT) by melittin causes suppression of cancer cell migration and invasion. Melittin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epidermal growth factor (EGF)-induced cell migration and invasion in lung cancer cells. Moreover, melittin up-regulated the expression of epithelial marker protein, E-cadherin, and down-regulated the expression of EMT related proteins, vimentin and fibronectin. Mechanistic studies revealed that melittin markedly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EMT mediated transcription factors, ZEB2, Slug, and Snail. The EGF-induced phosphorylation of AKT, mTOR, P70S6K, and 4EBP1 was also inhibited by melittin, but not that of ERK and JNK. Therefore, the inhibitory effect of melittin on migration and invasion of lung cancer cells may be associated with the inhibition of EMT via blocking of the AKT-mTOR-P70S6K-4EBP1 pathway.

Melittin Inhibits DU-145 Cell Proliferation Through Induction of Apoptosis (멜라틴이 세포자멸사 유발에 의해 DU-145 세포증식에 미치는 영향)

  • Shim, Yoon-Seop;Song, Ho-Sueb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v.26 no.3
    • /
    • pp.49-58
    • /
    • 2009
  • 목적 : 본 연구는 봉약침의 주요성분인 멜리틴이 전립선 암세포주인 DU-145 세포성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방법 : 멜리틴이 DU-145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cell viability 측정으로는 WST-1 assay를, 세포자멸사의 관찰에는 DAPI(4,6-diamidino-2-phenylindole)와 TUNEL staining assay를 시행하였으며, 세포자멸사 조절단백질(calpain, Bax, caspase-3, -9, cleaved caspase-3, cleavaged PARP, cleaved caspase-9, Bcl-2, XIAP, cIAP2, Akt, p-Akt, MMP-2, MMP-13)의 관찰을 위하여 western blot analysis를 시행하였다. 결과 : 1. DU-145 세포에서 멜리틴을 처리한 후 세포자멸사가 유도되어 세포성장이 억제되었다. 2.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질 중 분리된 caspase-3, caspase-9은 유의한 증가를, Bcl-2, p-Akt, XIAP, cXIAP는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는 멜리틴이 인간 전립선암세포주인 DU-145의 세포자멸사를 유발함으로써 증식억제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 것으로, 전립선암의 예방과 치료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제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he stability comparison of purified bee venom and bee venom melittin in aqueous solution (수용액에서 정제봉독 (PBV)과 봉독멜리틴 (BVM)의 안정성 비교)

  • Park, Jung Keun;Shen, Chang Zhe;Kim, Choul Goo;Kim, Il Kwang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29 no.4
    • /
    • pp.194-201
    • /
    • 2016
  • The stability comparison tests on purified bee venom (PBV) and bee venom melittin (BVM) in different conditions of temperature, solvent, and concentration were studied. High purity BVM (98.2 %) was separated from PBV by prep-HPLC (column, C4) and used to stability tests in aqueous phase. The stability of the PBV has been increased in the saline solution, while BVM was reduced. In distilled water, the stability of PBV has been reduced, while BVM showed an increasing result. As a result, the appropriate conditions for maintaining the long term stability of BVM were found to be the low temperature (4 ℃), distilled water, and concentration (1.0 mg/mL).

Components According to Different Collecting Time and Location in Bee Venom (채취 시기 및 지역에 따른 봉독의 성분 분석)

  • Han, Sang-Mi;Yoon, Hyung-Joo;Baek, Ha-Ju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51 no.3
    • /
    • pp.299-303
    • /
    • 2012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geographical variation affects the antibacterial component properties of honeybee (Apis mellifera L.) venom in Korea. Honeybee venom samples were collected from May to September, during 2010 and 2011, from 35 different sites, and were analyzed for major components, including melittin, apamin and phospholipase A2 were determined by a liquid chromatography using ammonium formate, acetonitrile, trifluoracetic acid. On average, melittin, apamin and phospholipase A2 were determined $55.2{\pm}2.07%$, $22.57{\pm}0.103%$, and $12.51{\pm}0.37%$, respectively. The ratio of the major components, including melittin, apamin and phospholipase A2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ccording to flower or temperature during collections (One way-ANOVA, Duncan's test (${\alpha}$=0.05)).

Stability of main compon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bee venom treated with pH (산도에 따른 봉독의 성분 및 생리활성에 대한 안정성)

  • Cho, Miran;Han, Sangmi;Kim, Jungmin;Yeo, Joohong;Hong, InPhyo;Woo, Soonok;Lee, Kwanggill
    • Journal of Sericultural and Entomological Science
    • /
    • v.52 no.1
    • /
    • pp.6-9
    • /
    • 2014
  • This study was for the investigation of the stability of purified bee venom (PBV) during the treatment in the pH range from pH2 to pH9 for 24 hours, respectively. Changes of components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in PBV were by evaluated silver staining, and melittin contents were measured by liquid chromatography. The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bacteria by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and effect of the cell regeneration were measured by 3-[4,5-dimethyl-2-thiazol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using human dermal fibroblast (HDF) cell. The main proteins such as melittin and phospholipase $A_2$ showed no characteristic changes. The antimicrobial activity and effect of cell regeneration showed no difference from pH2 to pH9. From this study, we suggest that components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of PBV against treated pH were kept stability at from pH2 to pH9.

Production of the melittin antimicrobial peptide in transgenic silkworm (멜리틴 항균펩타이드를 생산하는 형질전환누에)

  • Kim, Seong Wan;Goo, Tae Won;Kim, Seong Ryul;Park, Seung Won;Choi, Kwang-Ho
    • Journal of Sericultural and Entomological Science
    • /
    • v.53 no.1
    • /
    • pp.55-60
    • /
    • 2015
  • Melittin is the main component of Bee Venom and has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several bacteria. To produce the melittin antimicrobial peptide, we constructed transgenic silkworm that expressed melittin gene under the control BmA3 promoter using piggyBac vector. The use of the 3xP3-driven EGFP cDNA as a marker allowed us to rapidly distinguish transgenic silkworm. Mixtures of the donor vector and helper vector were micro-injected into 300 eggs of bivoltin silkworms, Baegokjam. In total, 131 larvae (G0) were hatched and allowed to develop into moths. The resulting G1 generation consisted of 36 broods, and we selected 4 broods containing at least 1 EGFP-positive embryo. The rate of successful transgenesis for the G1 broods was 11%. We identified 12 EGFP-positive G1 moths and these were backcrossed with wild-type moths. With the aim of identifying a melittin as antimicrobial peptide, we investigated the Radical diffusion Assay (RDA) and then demonstrated that melittin possesses high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gramnegative bacter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