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메타 모델링

검색결과 257건 처리시간 0.038초

시맨틱 디지털도서관 서비스를 위한 서지 온톨로지 구축 (Implementing Bibliographic Metadata Model for Social Semantic Digital Libraries)

  • 이유진;양성권;송민아;김홍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15-230
    • /
    • 2009
  • MARC, DC, MODS, MarcOnt 등의 서지 메타데이터 모델과 소셜 시맨틱 디지털도서관 사례인 JeromeDL의 메타데이터 모델 및 서지적 개념모델인 FRBR모델 등의 분석을 통해 국내 디지털도서관의 서지메타데이터에 적용 가능한 온톨로지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는 디지털도서관의 다양한 자원형식과 특성을 고려하고, 기존의 서지메타데이터들을 내포시켜 발전시킴으로써 서지자원에 대한 범용성과 상호운용성이 높은 서지 온톨로지를 구축하여 의미적인 검색과 서비스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XML을 이용한 내용기반 이미지 데이타베이스의 설계 (Design of Content-based Image Database Using XML)

  • 박선영;용환승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9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1)
    • /
    • pp.90-92
    • /
    • 1999
  • 내용기반 이미지 검색을 하기 위해서는 이미지에 대한 메타데이타(metadata)가 필요하며, 이러한 메타데이타 간에는 상호연관성이 존재한다.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은 메타데이타의 상호연관성을 표현하기에 적절하므로 본 논문에서는 이미지 메타데이타를 구조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XML을 사용하였다. 또한 이미지는 객체의 시간적인 특징과 함께 이미지 전체가 내포하는 서술적인 의미도 갖는다. 이러한 이미지의 특성에 따라 메타데이타도 객체의 시각적 특징을 중심으로 한 구조 설계와 의미 중심의 구조 설계로 구분하여 XML 구조를 모델링 하였다. 마지막으로 구조화된 모델들 간의 객체 지향 특성을 이용하여 XML DBMS에 통합하고, 이를 XQL(XML Query Language)에 의하여 질의 해 냄으로서 검색 구간에 제약을 가하고 이를 통하여 더욱 효과적인 검색을 지원하도록 한다.

  • PDF

농축산물 식품 메타데이터 모델링 (Modeling of metadata for agricultural and livestock food product)

  • 조혜은;김대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75-478
    • /
    • 2016
  • 이 논문은 농축산물 식품 메타데이터를 GS1 표준 메타데이터 서비스인 GS1 Source를 적용하여 운용하는 법을 다룬다. 농축산물 식품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GS1 식별자에 대한 정의, 농축산물 식품 메타데이터를 GS1 표준 스키마를 만족하는 문서로 만드는 방법에 대한 가이드라인, GS1 Source에 저장된 메타데이터를 쿼리하는 방법에 대한 가이드라인에 대해 설명한다.

  • PDF

비행 시뮬레이션을 위한 구름 모델링 및 렌더링 (Modeling and Rendering of Clouds for Real-time Flight Simulation)

  • 도주영;백낙훈;이창우;유관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6A권5호
    • /
    • pp.307-318
    • /
    • 2009
  • 컴퓨터 그래픽스에서 구름과 같은 대기 현상을 모델링하고 렌더링하는 것은 그 복잡성과 규모, 편재성 등으로 인해 상당히 까다로운 연구과제들 중의 하나이다. 본 논문은 컴퓨터 게임이나 항공 시뮬레이션 분야에서 요구되는, 실시간에 처리될 수 있는 구름 모델링과 렌더링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직관적이고 대화형 편집 과정을 거쳐 권운, 층운, 적운 등의 다양한 형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메타볼과 계층적 구형 파티클을 사용하여, 세부 묘사를 자동으로 추가할 수 있다. 생성된 파티클들은 다중 순방향 산란과 이방성 산란을 고려하여 빌보드 방식으로 출력함으로써 실시간 처리가 가능하다.

토픽 모델링 기법을 활용한 메타버스 증강현실 연구 동향 분석 (Metaverse Augmented Reality Research Trends Using Topic Modeling Methodology)

  • 안재영;심소연;윤혜정
    • 지식경영연구
    • /
    • 제23권2호
    • /
    • pp.123-142
    • /
    • 2022
  • 코로나19로 가속화된 비대면 환경은 디지털 가상 생태계와 메타버스의 보급을 가속화했다. 메타버스가 지속가능성을 갖기 위해서는 현실 세계와 호환될 수 있는 디지털 트윈이 핵심이며, 이를 위한 핵심 기술은 증강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증강현실에 대한 연구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증강현실 연구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2009년부터 2022년 3월까지 출판된 국내외 증강현실 논문의 11,049편의 초록을 바탕으로 LDA 기반 토픽 모델링을 수행하여 증강현실의 종합적 연구 동향, 국내와 해외 연구 동향 비교, 메타버스 개념 등장 이전과 이후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증강현실 관련 연구의 토픽은 디바이스, 네트워크 통신, 외과/수술, 디지털 트윈, 교육, 시리어스 게임, 카메라/비전, 색채 적용, 테라피, 위치 정확도,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11개로 도출되었다. 메타버스가 화두가 된 이후의 연구에서는 카메라/비전, 교육, 디지털 트윈, 외과/수술, 상호작용 성능, 네트워크 통신의 6개 토픽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다양한 학문 분야의 융합적인 성격을 가진 메타버스 증강현실에 관한 활발한 연구를 독려하고, 실무자들에게 유용한 시사점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

XMI기반 클래스의 메타데이터생성 (Generation of Class MetaData Based on XMI)

  • 이상식;최한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572-581
    • /
    • 2009
  • XMI 메타모델과 XML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클래스에 대한 연구는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XML 메타데이터의 생성과 상당한 차이점이 있다. 대부분의 XML 시스템은 에디터기능과 데이터베이스 연동, 등 마크업언어의 생성부분에 많은 비중을 두고 개발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이와 달리 XMI 메타모델에서 추출되는 클래스 메타데이터의 마크업언어를 생성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또한 클래스내의 단위 엘리먼트의 속성부여와 모델내의 클래스 관계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마크업언어의 생성에서는 XML 스키마를 이용하여 세부적인 데이터타입의 선언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공공 메타버스 거버넌스에 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for Metaverse Governance in the Public Sector)

  • 윤혜정;안재영;박상철
    • 지능정보연구
    • /
    • 제29권1호
    • /
    • pp.353-376
    • /
    • 2023
  • 글로벌 팬데믹과 가상·증강 현실 기술의 발달은 가상세계에서 다양한 상호작용이 가능한 메타버스 열풍을 일으켰으며, 기업, 정부,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처럼 메타버스에 대한 관심은 점점 높아지고 있지만, 그 범위와 정의가 불분명하고 개념이 계속 진화하고 있기 때문에 역할 설정, 운영과 관리, 즉 거버넌스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정부와 지자체에서도 공공 메타버스로 공익적 가치 창출과 국민 복리 증진을 위해 많은 투자를 하고 있지만, 거버넌스 부재로 활용도가 낮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공 메타버스 거버넌스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 그 요인의 상대적 중요도를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공공 메타버스에서는 원하는 사람은 모두 이용가능해야 하므로, 그림자노동의 요인을 탐색해서 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사회-기술 체계 이론을 바탕으로 선행 문헌과 토픽 모델링을 통해 공공 메타버스 거버넌스 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23개의 요인으로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였다. 그 다음 계층화 분석법으로 공공 메타버스 프레임워크 요인의 상대적 우선순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상위 5개 종합순위로 역할과 책임, 표준화/모듈화, 협업과 소통, 법과 정책, 가용성/접근성 순서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학술적 시사점으로는 현재까지 부재하였던 공공 메타버스 거버넌스의 통합적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는 것이 있으며, 실무적으로는 공공 부문에서 메타버스 운영에서 우선적으로 고려할 점과 함께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시한 점이다.

MOF 메타모델을 이용한 EDOC 다이어그램 생성 (Generating Diagram for EDOC Using MOF-Meta Model)

  • 정양재;신규상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 (2)
    • /
    • pp.307-309
    • /
    • 2003
  • 모델을 중심으로 하는 MDA 개발 환경에서는 많은 모델링이 필요하다. 기본적으로 MDA의 기본 단계인 CIM, PIM, PSM 단계의 모델링이 필요하며, 각 단계에서 추상화 수준, 뷰포인트 등에 따라 다양한 다이어그램이 필요하다. 현재 MDA 의 PIM과 PSM 을 상대적인 개념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MDA의 단계는 더욱 확대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분산 환경에서 컴포넌트 기반 엔터프라이즈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EDOC 프로파일을 중심으로 MOF 기반 모델링을 수행하는 방법과 프로토타입을 기술한다. OMG 의 제안한 메타모델 표준인 MOF를 이용하므로 JMI, MOF XMI, MOF IDL 매핑을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 PDF

정보검색시스템의 모델링 및 정형 검증 (Formal Modeling and Verification of an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 김종환;박혜숙;방기석;장성호;백두권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1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1)
    • /
    • pp.457-459
    • /
    • 2001
  • 정보검색시스템은 지역적으로 분산된 이기종의 컴퓨터들 간의 데이터 교환과 다양한 종류의 DB에 대한접근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기업에게 공급망 관리에 대한 통합된 정보를 제공한다. 정보검색시스템은 X3.285에 기반한 데이터 레지스트리 모델을 이용하여 모델링되었고, 모델링이 주어진 가정 하에서 요구사항을 만족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핵심 부분인 메타데이터 레지스트리 관리기(MDR Manager) 부분 만을 SMV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 PDF

모델링을 통한 과학영재 학생들의 메타모델링 지식 발달 단계 분석 (Analysis of Progression Levels for Meta-modeling Knowledge of Science Gifted Students through Modeling)

  • 김성기;김정은;박세희;백성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457-464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모델링을 통해 드러난 학생의 과학 메타모델링 지식 발달 단계를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5명의 영재학생들에게 양초연소와 관련된 모델링을 요구하였으며, 모델링의 모든 과정은 관찰되어지고 이후 개별 면담이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2명의 학생이 1단계로 분류되었으며, 3명의 학생은 2단계로 분류되었다. 1단계 학생들은 모델의 생성, 모델을 이용한 예측 활동이 전혀 수행되지 않았으며, 그들에게는 관찰이 가장 의미가 있는 활동이었으며 이러한 관찰을 통해 모델을 생성하였다. 반면, 2단계의 학생들은 모델의 생성, 모델을 이용한 예측, 실험 수행 및 관찰, 예측과 자료의 비교를 모두 수행하였다. 하지만 모델의 생성과 이를 이용한 예측에서 상대적으로 강한 수행을 보였다. 그들은 실험에서 얻는 자료를 절대적인 모델을 확인하는 용도로만 인식하였다. 3, 4단계에 해당하는 학생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현재 영재학생들이 모델을 객관적 실체로 인식하는 단계에 머물러 있으며, 이들을 진정한 과학자로 양성하기 위해서는 영재학생들이 모델의 주관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이 필요함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