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메타카올린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31초

Effect of Meta Kaolin addition to Activation of waste concrete sludge

  • 황규홍;김재준;연상흠
    • 시멘트 심포지엄
    • /
    • 32호
    • /
    • pp.217-221
    • /
    • 2005
  • 메타카올린 형태로 하소된 점토의 활용은 포졸란 반응에 따른 모르타르와 콘크리트에 의해서 최근에 중요시되고 있다. 그래서 시멘트콘크리트강도에서 폐콘크리트 슬러지와 메타카올린에 의한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혼합방법은 메타카올린을 포함하는 폐콘크리트 슬러지의 여러 가지 혼합타입으로 구성되어지며 균형을 잡기 위한 최적의 방법으로 준비하였다. 또한 강도의 증진을 평가하기 위해 메타카올린의 배합 비로 비교하였고, 상대적인 압축강도를 측정하였다. 이 실험은 메타카올린과 슬러지가 활성화 물질로 행동하며 슬러지와 메타카올린의 포졸란 특징 때문에 콘크리트 조절에 의해서 압축강도의 증가를 비교 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슬러지 시멘트 모르타르는 자연 시멘트 모르타르에 90$\%$정도의 압축강도를 보였다.

  • PDF

메타카올린 및 실리카퓸의 혼입이 고강도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와 염소이온 투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통계적 가설검증 (The Statistical Hypothesis Verification to Influence of Addition of Metakaolin and Silica Fume on Compressive Strength and Chloride Ion Penetration of High Strength Concrete)

  • 민정욱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215-225
    • /
    • 2011
  • 메타카올린은 고령토나 카올린으로 알려진 카올린 광물의 풍화물로, 도자기 산업에 주로 사용되는 원료로, 일반적으로 메타카올린의 입자 크기는 시멘트보다는 작지만, 마이크로 실리카퓸보다는 크다.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용 혼화재로 메타카올린을 사용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와 염소이온 투과저항 특성에 관한 영향에 관해 조사하였다. 메타카올린과 실리카퓸의 혼입률이 압축강도와 염소이온 투과저항에 주는 영향을 비교하기 위해 물-결합재비를 30%로 고정하고 각각 0, 5, 10, 15, 20%인 배합수준을 설정하여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메타카올린을 혼입한 콘크리트는 실리카퓸을 혼입한 콘크리트와 유사한 강도특성을 보였지만, 염소이온 투과저항성은 다소 불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강도와 염소이온 투과저항 성능을 동시에 만족하기 위한 메타카올린의 혼입률은 10%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메타카올린을 혼합한 시멘트 페이스트의 유동특성 (Rheological Properties of Cement Pastes Containing Metakaoline)

  • 송종택;최해영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0권12호
    • /
    • pp.1229-1234
    • /
    • 2003
  • 최근 광물 혼합재로서 메타카올린의 이용이 주목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메타카올린을 혼합한 시멘트 페이스트의 유동특성에 관해 조사하였다. 시멘트 페이스트의 레올로지는 실린더형 스핀들을 갖는 회전형 점도계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메타카올린을 혼합한 시멘트 페이스트의 유동성은 물/고체비의 증가와 고성능 감수제의 치환량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다. 또한 메타카올린을 일부 치환한 시멘트 페이스트는 dilatant 거동을 나타내었다. Dilatancy는 물/고체비와 메타카올린의 양에 영향을 받았으며, 실리카 퓸의 경우는 thixotropy를 나타내었다.

메타카올린을 사용한 고성능 경량 콘크리트의 염소이온 확산 특성 (The Chloride Ion Diffusion Characteristics of High Performance Lightweight Concrete Using Metakaolin)

  • 이창수;김영욱;남창식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21-3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실리카흄을 대체하고 경량 콘크리트의 성능 향상을 위하여 메타카올린을 사용한 고성능 경량 콘크리트를 제조하여 기초물성 및 염소이온 확산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메타카올린을 사용한 경량 콘크리트는 압축강도와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이 실리카흄을 사용한 경량 콘크리트보다 낮게 나왔지만, 실리카흄 대비 압축강도는 약 88~95%의 성능을 보였고,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은 약 80~90%의 성능을 보여 만족할 만한 결과가 나왔다. 본 연구에서의 결과를 바탕으로 메타카올린의 적정 치환율은 10~15%가 적절하다고 사료된다. 메타카올린은 실리카흄과 유사한 특성을 갖고 있고, 비슷한 성능을 나타내기 때문에 대체재로의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Metakaolin 혼합 고강도 콘크리트의 내구특성 예측 (Estimation on the Durability of High-Strength Concrete using Metakaolin)

  • 이상호;문한영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173-180
    • /
    • 2005
  • 메타카올린은 고성능 콘크리트를 제조하기 위해 콘크리트에 혼합재로서 사용되는 결합재의 일종이다. 이 재료는 일반적으로 국내에서는 내화벽돌의 재료로 많이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이러한 고성능 콘크리트를 제조하기 위하여 필요한 실리카흄의 대용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실리카흄 및 메타카올린 두 결합재를 콘크리트 중에 일정량 치환하여 몰르타르 및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인장강도, 휨강도와 같은 역학적 시험뿐만 아니라, 염소이온확산시험, 화학침식에 대한 저항성 시험, 동결융해저항성 시험과 같은 내구성시험을 병행 실시하였다. 역학적 시험결과 메타카올린을 결합재전체 대비 10에서 15%정도 치환 사용했을 때 가장 적당한 강도결과를 보였다. 그리고, 메타카올린 및 실리카흄 두 결합재의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염소이온확산이 훨씬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두 결합재의 미세분말에 의한 충전효과에 의해 일반 콘크리트에 비해 화학적침식저항성이 훨씬 뛰어남을 보였다. 다른 내구성 시험에서도 메타카올린을 사용한 콘크리트가 실리카흄을 사용한 콘크리트에 상응하는 상당한 역학적, 내구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들 시험을 통해 우리는 메타카올린이라는 재료가 충분히 고가의 실리카흄을 대체가능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었다.

메타카올린 사용에 따른 콘크리트의 강도 및 염화물 저항성 (A Study on Strength and Chloride Resistance of Concrete Using the Metakaolin)

  • 김명유;양은익;양주경;박해균;전상은;이명섭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제20권1호
    • /
    • pp.521-524
    • /
    • 2008
  • 최근 고층 구조물이 많이 건설되면서 콘크리트의 내구성 향상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고성능 콘크리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 실리카 흄과 같은 수준의 강도나 내구성을 확보하면서 경제적 측면에서 좀 더 유리한 메타카올린이 새로운 혼화재로 가치를 높게 평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메타카올린과 실리카 흄의 시공성, 강도 및 염화물 저항성, 50${\mu}m$이상의 거대공극 구조를 비교 평가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메타카올린은 실리카 흄과 동일한 수준의 시공특성을 보인다. 강도 특성의 경우 메타카올린의 대체가 가장 높은 강도를 보였다. 장 단기 염화물 저항성에서도 메타카올린의 대체가 뛰어난 성능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메타카올린 10%의 대체는 강도 및 염화물 저항성 측면에서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인다.

  • PDF

메타카올린을 사용한 콘크리트의 공극구조와 압축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re Structure and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using Metakaolin)

  • 여동구;김남욱;송준호;배주성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5A호
    • /
    • pp.927-934
    • /
    • 2006
  • 콘크리트 구조물의 고성능화가 요구됨에 따라 고성능 콘크리트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으며, 특히 고강도 콘크리트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고강도 콘크리트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혼화재료의 첨가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으며, 지금까지는 실리카 퓸을 주로 사용하여 왔으나, 최근에는 실리카 퓸과 대등한 성능을 가지면서 실리카 퓸보다 저가인 메타카올린을 사용한 고강도 콘크리트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메타카올린을 사용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시멘트 페이스트 시험체의 XRD 및 SEM 분석을 통하여 메타카올린의 포졸란 반응을 고찰하였고, 콘크리트 시험체를 제작하여 수은압입법으로 공극구조를 분석하여 압축강도와의 상관성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메타카올린의 대체율이 증가할수록 평균 공극직경은 작아지고 압축강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연구에서는 $10nm{\sim}10{\mu}m$의 모세관 공극량과 압축강도와의 회귀분석 결과 이들 사이의 결정계수는 약 0.93 정도의 높은 상관성이 있었고, 메타카올린의 적정 대체율은 10~15%로 판단된다.

메타카올린을 혼합한 재생골재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 및 동결융해 저항성 (Mechanical Properties and Resistance to Freezing and Thawing of the Recycled Aggregate Concrete with Metakaolin)

  • 문한영;김양배;문대중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270-278
    • /
    • 2005
  • 재생골재 콘크리트의 강도 및 내구성은 천연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에 비하여 저하되므로 메타카올린을 사용하여 재생골재 콘크리트의 성질을 개선하였다.메타카올린의 주성분은 $SiO_2$$Al_2O_3$이며, 비표면적은 보통시멘트보다 약 9배 정도 크다. 실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얻어진 재생골재(DRA)는 KS F 2573의 1종을 만족하였으나, 콘크리트를 제작하여 얻어진 재생골재(SRA)는 KS F 2573의 2종을 만족하지 않았다. 메타카올린을 시멘트 중량에 20% 대체한 경우, SRA 및 DRA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기준콘크리트에 비하여 약 40~64% 정도 크게 나타났다. 메타카올린을 20% 혼합하므로써 재생골재 콘크리트의 흡수율은 메타카올린을 혼합하지 않은 콘크리트에 비하여 약 2% 감소하였다. 또한, DRA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동결 융해 저항성은 메타카올린의 역할로 현저히 향상되었다. 그러나, 메타카올린을 20% 혼합하고 SRA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상대동탄성계수는 동결융해 싸이클 수 210에서 60% 이하로 나타났다.

물결합재비를 달리하여 제작한 메타카올린 혼입 콘크리트의 내구성능 평가 (Estimation on the Durability of Metakaolin Concrete According to the W/B Ratio)

  • 김춘호;김남욱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84-9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 향상을 위하여 혼입하고 있는 메타카올린의 내구성능 향상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염화물이온 확산계수 및 단열온도상승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메타카올린의 혼입으로 인하여 염화물이온 확산계수가 작아짐이 확인되었으며 플라이 애쉬의 첨가를 통하여 유동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었다. 따라서 염분침투저항성을 확보하면서 물결합재비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메타카올린의 혼입으로 발생되는 단열온도상승량을 억제할 수 있어 콘크리트의 내구성능이 향상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경량골재기포콘크리트에서의 메타카올린 강도 증가 효과 (Effect of Metakaolin on the Strength Properties of Lightweight Aggregate Cellular Concrete)

  • 황은아;이행기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1권1호
    • /
    • pp.489-490
    • /
    • 2009
  • 본 연구는 최근 구조물의 고층화 및 대형화에 요구되는 고성능 콘크리트의 개발의 단계로 메타카올린 치환에 따른 경량골재기포콘크리트의 강도성능 평가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메타카올린을 중량비 0%, 5%, 10%, 15%, 20% 로 치환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