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Pore Structure and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using Metakaolin

메타카올린을 사용한 콘크리트의 공극구조와 압축강도에 관한 연구

  • 여동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 김남욱 (신성대학 도시건설과) ;
  • 송준호 (전북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배주성 (전북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공업기술연구센터)
  • Received : 2006.04.26
  • Accepted : 2006.06.21
  • Published : 2006.09.30

Abstract

According to the high demand of concrete structures with high performance, various studies have examined on the high performance concrete, especially high strength concrete. Various admixtures are required to produce high strength concrete and silica fume has been the most popular admixture. Recently, however, metakaolin, which is similar to silica fume in properties but cheaper, has been introduced to high strength concrete. This study conducted XRD and SEM analyses on a cement paste specimens to clarify metakaolin's performance in pozzolan. Additionally, a concrete specimens were fabricated to analyze its pore structure using Mercury Intrusion Porosimetry and its correlation to the compressive strength. In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diameter of pore reduced and compressive strength increased as more metakaolin content was added. In addition, a regression analysis of $10nm{\sim}10{\mu}m$ pore and compression strength revealed that these two factors had a high correlation of about 0.93 and 10~15% of metakaolin replacement was most appropriate.

콘크리트 구조물의 고성능화가 요구됨에 따라 고성능 콘크리트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으며, 특히 고강도 콘크리트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고강도 콘크리트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혼화재료의 첨가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으며, 지금까지는 실리카 퓸을 주로 사용하여 왔으나, 최근에는 실리카 퓸과 대등한 성능을 가지면서 실리카 퓸보다 저가인 메타카올린을 사용한 고강도 콘크리트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메타카올린을 사용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시멘트 페이스트 시험체의 XRD 및 SEM 분석을 통하여 메타카올린의 포졸란 반응을 고찰하였고, 콘크리트 시험체를 제작하여 수은압입법으로 공극구조를 분석하여 압축강도와의 상관성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메타카올린의 대체율이 증가할수록 평균 공극직경은 작아지고 압축강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연구에서는 $10nm{\sim}10{\mu}m$의 모세관 공극량과 압축강도와의 회귀분석 결과 이들 사이의 결정계수는 약 0.93 정도의 높은 상관성이 있었고, 메타카올린의 적정 대체율은 10~15%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용태, 안태호, 강범구, 이정율, 김병기(2001) 콘크리트 혼화재료로서의 메타카올린의 기초적인 특성 연구, 한국콘크리트학회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pp. 281-286
  2. 문한영, 김홍삼, 최두선(2003) 콘크리트 종류별 모세관공극 특성과 전위차 염소이온 확산계수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3권 제5A호, pp. 969-976
  3. 안태호, 김용태, 김병기(2002) [문헌조사] 시벤트 콘크리트 혼화 재료로서의 메타카올린 응용 가능성, 한국콘크리트학회지, 한국콘크리트학회, Vol. 14, No. 4, pp. 118-127
  4. 원종필, 권연성, 이존자(2002) 고반응성 메타카올린을 사용한 고성능 콘크리트의 특성, 한국콘크리트학회 논문집, 한국콘크리트학회, 제14권 제3호, pp. 349-356
  5. 이상호, 문한영(2005) Metakaolin 혼합 고강도 콘크리트의 내구 특성 예측, 한국구조물진단학회 논문집, 한국구조물진단학회, 제9권 제2호, pp. 173-180
  6. Yang, C.C., Cho, S.W., and Wang, L.C.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pore structure and chloride diffusivity from ponding test in cement-based materials, Materials Chemistry and Physics
  7. Curcio, F., DeAngelis, B.A., and Pagliolico, S. (1998) Metakaolin as a pozzolanic microfilter for high-performance mortars,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29, pp. 997-1004 https://doi.org/10.1016/S0008-8846(99)00074-5
  8. Daimon, M. (1991) Journal of American Ceramic Society, Vol. 60, No. 3-4, pp. 110-114 https://doi.org/10.1111/j.1151-2916.1977.tb15483.x
  9. Moulin, E., Blanc, P., and Sorrentino, D. (2001) Influence of key cement chemical parameters on the properties of metakaolin blended cements, Cement Concrete Composites, 23, pp. 463-469 https://doi.org/10.1016/S0958-9465(00)00093-7
  10. Saikia, N.J., Sengupta, P., Gogoi, P.K., and Borthakur, P.C. (2002) Cementitious of metakaolin-normal Portland cement mixture in the presence of petroleum effluent treatment plant sludge,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32, pp. 1717-1724 https://doi.org/10.1016/S0008-8846(02)00865-7
  11. Metha, P. K. and Moteiro, P. J. M. (1993) Concrete; structure, properties, and materials, 2nd Ed. Prentice Hall
  12. Mindess, S., Young, J.F. and Darwin, D. (2003) concrete, Prentice Hall, New Jersey
  13. Uchikawa, H (1990) Gypsum and Lime, No. 229, pp. 497-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