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메타문화

Search Result 305,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etadata Elements f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Records Based on FRBR (무형문화유산 기록물을 위한 FRBR 기반 메타데이터 요소에 관한 연구)

  • Kim, Soojung;Kim, Y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30 no.2
    • /
    • pp.119-141
    • /
    • 2013
  • This study develops metadata elements based on the FRBR model for effectively managing and retriev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records. Sinc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as a logical layer from its concept to a physical record that realizes the concept and it can be expressed in diverse formats such as video and audio, it is necessary to represent such rich relationship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 set of metadata elements at each of the four levels (work, expression, manifestation, and item) the FRBR Group 1 presents.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Metadata Schema for Traditional Architecture Based on FRBR (FRBR기반의 전통건축물 메타데이터 스키마개발에 관한 연구)

  • Lee, Youn-Yong;Kang, Eun-Bi;Lee, Jae-Na;Kim, Yong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5 no.3
    • /
    • pp.29-57
    • /
    • 2014
  • As one of various cultural heritages created by humanity, traditional architectures are an archival heritage and cultural heritage reflecting social trends and historical facts. These traditional architectures show various features depending on characteristics by local areas and climatic conditions. They can be expressed in diverse formats such as a picture, a floor plan, and a book. For managing and retrieving traditional architecture records, it is necessary to develop metadata schema based on the FRBR model.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ituation and the problem of domestic and foreign metadata schema related to cultural heritage, and proposes the FRBR-based metadata schema for managing the traditional architecture.

The Impact of Metavers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n Industry and Society (메타버스의 발전과 적용이 산업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

  • Moon, Seung Hyeog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8 no.3
    • /
    • pp.515-520
    • /
    • 2022
  • Metaverse is at the center of heated debates in many areas recently. Coupled with real world, metaverse is extending its domain into social and cultural activities in addition to economic value creation as untact activities increase. Global companies are investing in R&D for metaverse. The reason is that metaverse is supposed to create new value by converging virtual and real worlds thanks to technology advancement such as AI, big data, 3D graphic, 5G, cloud computing, etc. Thus, innovative changes are expected in the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areas. However, there are many problems to be solved yet for connecting virtual world and real one. Also, epoch-making development of products and services should be done for realistic experience and profit creation using virtual space in various industries beyond untact social activities against pandemic situation. The essence, present condition, development and its application areas of metaverse will be analyzed, and expected problems researched so that the strategy and methodology for securing global competitiveness will be addressed in coming metaverse era.

메타버스(Metaverse)와 방송 미디어

  • Jeong, Sang-Seop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27 no.1
    • /
    • pp.59-70
    • /
    • 2022
  • 메타버스 서비스란 '가상', '초월' 등을 뜻하는 영어 단어 '메타(Meta)'와 우주를 뜻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다. 현실세계와 같은 사회.경제.문화 활동이 이루어지는 3차원의 가상세계를 의미한다. 코로나 상황 속에서 비대면 소통의 수단 중 하나로 주목받으며 업무, 친목, 각종 행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2022년 신년 사업 계획에서 메타버스 단어가 들어가지 않은 곳이 없다고 한다. 그만큼 핵심 키워드로 떠오르고 있다. 즉, 메타버스는 현실을 초월한 가상의 세계로 스마트폰, 컴퓨터 등 디지털 미디어에 담긴 세계를 뜻한다. 세상은 점차 바뀌어 가고 있다. 글로벌 통계 전문 업체 스태티스타는 2021년 307억 달러(약 35조 3265억 원) 규모이던 메타버스 시장 규모가 2025년에는 약 2969억 달러(약 341조 6428억 원)까지 커질 것으로 예측하였다. 현재 시장에서 통용되고 있는 메타버스에 대한 정의는, '현실세계의 사회·경제·문화적 활동이 유사하게 실현되거나, 현실에서 제공하지 못하는 경험을 제공하는 3차원 디지털 가상공간'으로 요약된다. 2021년의 메타버스는 더 이상 상상의 영역이 아니며, 현실세계 영역으로 침투하고 있는 것이다. 현실세계와 연결되는 가상세계, 실재감을 느낄 수 있는 가상공간이 점점 현실이 되어가고 있다. 1990년대 처음으로 등장한 메타버스 개념이 2020년대에 재부상 하였는데, 과거의 메타버스보다 몰입감과 실재감 있는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XR 기술의 결합에 대한 기대감 때문이다. 지나온 30여 년간 메타버스가 뜨거운 주목을 받게 된 이유는 기술의 발전에 있다. 초고속인터넷 5G 상용화와 더불어 6G 출현, 가상현실, 증강현실이 일상에 스며들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기술 발달은 현실세계의 물리적 객체와 가상의 객체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혼합현실까지 발전시키는 촉매제가 되었다. 여기에 지난 2년 동안 전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온라인 서비스가 확산되면서 메타버스는 개념이 아닌, 우리 일상의 한 부분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현재 우리 사회는 과거에는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던 사회적 거리두기, 재택근무, 온라인 수업 등을 진행하면서 이렇게도 사회가 돌아갈 수 있다는 것을 점차 느껴가고 있다. 더불어 현재 코로나로 인해 멀게만 느껴졌던 메타버스 세계를 반강제적으로 경험하고 있기도 하다. 이처럼 본 고에서는 최근에 나타난 메타버스를 이해하고 방송미디어(계)와 접목된 유형과 기술적, 서비스 사례를 파악하고, 주요 기업들의 추진 방향, 주요 시사점 및 결론으로 도출해보았다.

Study on Factors Affecting Perceived Value and Intention to Use the Metaverse: Focusing on Differences between Metaverse Experienced and Non-Experienced (메타버스의 지각된 가치와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메타버스 유경험자와 무경험자의 차이를 중심으로)

  • Mina Lee;Minjung Kim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9 no.1
    • /
    • pp.587-594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use the Metaverse from various angles based on the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Value-based Adoption Model. Specifically, we examine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perception of the Metaverse and in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the Metaverse between the Metaverse experienced and non-experienced. For this purpose, the variables were classified into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Metaverse (interactivity, content quality), perceived benefit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njoyment), and perceived sacrifices (perceived risk, perceived complexity) and a survey was conducted with university studen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perceived interactivity, usefulness, and enjoyment of the Metaverse had a major impact on the intention to use the Metaverse for those without Metaverse experience, whereas enjoyment of the Metaverse had the greatest impact on the intention to use the Metaverse for those with Metaverse experience. Based on the study results, we provided marketing strategy implications for continuous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Metaverse industry.

Protocol analysis study in metaverse environment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프로토콜 분석 연구)

  • Choi, Hwa-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7a
    • /
    • pp.617-619
    • /
    • 2022
  • 코로나 시기를 거치며 사회 전반적으로 메타버스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였으며, 각 기업, 공공기관 등에서 속속 각각의 플랫폼들이 출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메타버스와 관련된 여러 표준화 동향을 살펴보고 메타버스 전용 프로토콜의 제정 그리고 메타버스의 방향성에 대해 제안한다.

  • PDF

A Study on the connection between Metaverse and Generative AI (메타버스와 생성형 AI의 연계성에 대한 연구)

  • Yuchul Sh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117-118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메타버스 플랫폼과 생성형 AI와의 관련성과 상호작용을 살펴보고 생성형 AI가 메타버스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의 특징과 메타버스와의 연계성을 기반으로 메타버스와 생성형 AI의 관계에 대한 방향성을 찾는 연구에 대한 기준을 제시한다.

  • PDF

Developing a Methodology for Designing Metadata Application Profiles: Applied to Korea Art and Culture Education Service (메타데이터 응용프로파일 개발방법론 연구 - 문화예술 교육 분야의 적용 -)

  • Oh, Sam G.;Park, Ok-Nam;Won, Sun-Min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39 no.4
    • /
    • pp.353-376
    • /
    • 2008
  •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methodology for designing metadata application profiles(AP) and to design a comprehensive AP for Korea Art and Education Service(KACES), The process of developing a methodology is divided into three steps, analysis of standard metadata schema, analysis of user needs, and content analyses. Metadata principles and guidelines were utilized in designing a KACES AP along with the developed methodology in this study. This paper describes what role the methodology developed here plays in devising metadata elements. The paper also discusses the benefits of three methods for AP design. The study has values in that it provides implications for designing APs for other domains.

  • PDF

An Implementation of Metaverse Virtual Fitting Technology using a Posture extraction based on Deep Learning. (딥러닝 기반 자세 추출을 통한 메타버스 가상 피팅 기술 구현)

  • Lee, Bum-Ro;Lee, Sang-Won;Shin, Soo-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1a
    • /
    • pp.73-76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메타버스 공간에서 패션 아이템 판매에 있어서 필수적이라 할 수 있는 온라인 가상 피팅 기술을 동작 인식 전용 디바이스가 아닌 일반 스마트폰 카메라를 활용하여 구현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가상 피팅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딥러닝 기법을 활용하여 입력 영상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인체의 전체 자세를 추정하며, 인체 사이즈의 근사값을 추출하는 과정들이 수행되어야 하는데, 현재의 스마트폰 컴퓨팅 환경은 이를 수행하기에 충분한 연산 성능을 가지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높은 비용이 요구되는 고부하 연산을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수행하는 서버 기반 프레임워크를 도입하여, 낮은 성능의 스마트폰으로도 고성능 연산이 가능한 서비스 구조를 확보하고 이를 통해 휴대성 높은 증강현실 기반의 가상 피팅 기술을 구현한다. 본 논문의 성과를 통해 메타버스 상거래의 활성화와 메타버스 본연의 의미에 충실한 가상 월드 구축에 기여할 것이라 기대한다.

  • PDF

A Case Study of PBL for Game Production using Metaverse Platform in non-face-to-face Learning Environment (비대면 학습 환경에서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게임제작프로젝트 PBL(Poject-Based Learning) 교수법 사례연구)

  • Kang, Myung-Ju;Park, Chan-Il;Kim, Do-Kyung;Son, Byung-Hy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1a
    • /
    • pp.67-68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 비대면 교육환경에서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게임제작프로젝트의 PBL(Project-Based Learning) 교수법 운영방법을 예시를 통해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C 대학교 게임전공의 2, 3학년 학생들이 수강한 게임제작프로젝트 관련 수업에 게더타운 메타버스 픝랫폼을 활용한 비대면 PBL 교수법을 적용하였다. 이 수업을 위해 게더타운 플랫폼에 실제 실습실 및 작업공간과 유사한 환경을 2D 디지털 가상세계를 구축하였고, 이 플랫폼에서 오리엔테이션, 팀빌딩, 프로젝트 진행 및 피드백 등 PBL 교수법을 적용하였다. 게더타운 플랫폼을 활용한 PBL 교수법 적용 결과 최종 산출물의 퀄러티는 기존 대면으로 진행했을 때와 크게 다르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