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메인 세일

Search Result 63,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nalysis of flow around on jib and main sails of sailing yacht (세일링 요트의 지브 세일과 메인 세일의 간격 변화에 따른 주위 유동 해석)

  • Choe, Hak-Gyu;Lee, Hui-Beom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4.03a
    • /
    • pp.643-648
    • /
    • 2014
  • 세일링 요트 (sailing yacht)는 세일 (sail)의 양력을 주로 이용하여 추진력을 얻는다. 요트 경주에서와 같이 항주 속도가 중요한 문제에서는 세일의 성능이 좋을수록 빠른 속도를 낼 수 있기 때문에 세일 주변의 유동해석을 통한 성능 추정과 효율의 최적화는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적인 경주요트의 형태로써 지브 세일 (jib sail)과 메인 세일 (main sail) 그리고 한 개의 마스트(mast)로 구성된 슬루프(sloop)형 요트에 대한 유동해석을 하였다. 풍상범주 상태에서의 30ft급 세일링 요트인 KORDY-30의 jib sail과 main sail의 높이에 따른 단면을 모델링하였다. 슬루프형 요트의 경우, 세일링 요트에서 jib sail과 main sail이 각각 단독으로 있는 형태의 요트보다 세일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양력이 증가하지만 항력도 따라서 증가 할 것이라고 가정했다. 따라서 jib sail의 각도를 다양하게 변화시켜 양력계수와, 항력계수의 변화를 살펴보고 그에 따른 양항비의 분석을 통해 최적의 효율을 갖는 jib sail의 각도를 알아보았다.

  • PDF

User experience of responsive web on multi-device environment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 반응형 웹의 사용자 경험)

  • Kang, Jae-Shin;Lee, Young-Ju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6 no.11
    • /
    • pp.465-470
    • /
    • 2018
  • This study investigated how layouts can be arranged to improve the user experience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size of responsive webs in a multi - device environment. The layout elements of the responsive web are largely divided into a header, a main concept image, a main content, a sub-content, and a footer. As the screen becomes smaller, the use of drawers and the menu of the scrolling menus rather than the vertical menus will help improve the user experience. The main concept image should be consistent and not lose readability through the use of system fonts. The main content and the sub content should be prevented from being long in the vertical scroll, and the card UI, the table list and the grid list could be alternatively presented for this purpose. Another problem with vertical scrolling is that the placement of user-selectable menus, such as more or new content corrections, is helpful in improving the user experience.

Turbulent Flow Calculation around Yacht Sails (요트 세일 주위의 난류유동 계산)

  • Chi, Hye-Ryoun;Kim, Wu-Joan;Park, Jong-Hwan
    •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44 no.2 s.152
    • /
    • pp.64-73
    • /
    • 2007
  • Turbulent flows around yacht sails were calculated to access the applicability of CFD for yacht design. Multi-block grid system was generated by using Gridgen package and Fluent was used to calculate flows around two sail system. A 30ft class sailing yacht designed and tested by KRISO was chosen. The interference effect between main and jib sails was analyzed. Pressure distribution on the sails was obtained and the center of effort was estimated. It was found that the jib angle affects the flow phenomena around a main sail due to the change of inflow angle. The location of center of effort is much different from the empirical formula based on a simple geometrical consideration. The calculated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previous numerical and experimental results. Both CFD results are similar, but there are some discrepancies with experimental data. However, it is certain that CFD can be a very useful tool for yacht design.

Tile Mosaics Preserving Details - 2 Layered Tile Mosaics (세부 묘사를 유지하는 타일 모자이크 - 두 층 타일 모자이크)

  • Kang, Dong-Wann;Yoon, Kyung-Hyu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800-806
    • /
    • 2006
  • 최근, 컴퓨터 사이언스 분야에서 모자이크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이뤄지고 있지만, 세부 묘사를 유지하려는 관점에서의 접근은 부족한 편이다. 본 논문은 원 영상의 세부 묘사를 유지하는 타일 모자이크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타일간의 빈 공간을 제거하기 위한 겹쳐진 타일의 사용을 통해 구현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방법은 다음 세 단계로 구성된다. 첫째, 에지 회피 기법이 적용된 무게중심 보로노이 다이어그램(CVD:Centroidal Voronoi Diagram)을 통해 메인 타일의 위치를 얻는다. 둘째, 메인 타일들의 위치에 딜로니 삼각형화(Delaunay Triangulation)를 적용해 서브 타일의 위치를 계산한다. 셋째, 타일간의 관계를 고려해 타일의 크기와 방향성을 구한다. 위의 과정을 통해 타일 간의 빈 공간이 최소화되어 세부 묘사가 강화된 모자이크 영상을 얻는다.

  • PDF

Supporting Sliding Windows of Trigger for Continuous Query Processing System (연속질의 처리 시스템을 위한 트리거의 슬라이딩 윈도우 지원)

  • Lee, Keun-Joo;Jin, S.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c
    • /
    • pp.171-176
    • /
    • 2006
  • 데이터 스트림(data stream)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질의 대상이 되는 슬라이딩 윈도우에 대한 지원과 이에 대한 연속질의를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기존의 관계형 DBMS는 성능 문제로 인하여 데이터 스트림 처리에 한계가 있었으나 고성능 메인메모리 DBMS의 등장으로 빈번히 발생하는 스트림에 대한 충분한 질의 처리 능력을 갖추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메인메모리 DBMS기반에서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연속질의 처리를 위해서 새로운 접근방법을 제공한다. 즉. 고성능 메인 메모리 DBMS의 높은 삽입과 갱신 성능을 전제로 트리거를 통한 슬라이딩 윈도우의 지원방법을 제시하고. 윈도우에 대한 연속질의는 응용에서 지원하되 효율적인 질의처리를 위해 저장프로시저를 적용한다. 이러한 메커니즘의 연속질의 처리 시스템은 CQL에서 정의한 세 가지 윈도우 유형을 모두 지원할 수 있다.

  • PDF

Visualization of Anomaly Detection in Hadoop System Information (하둡 시스템 정보의 이상탐지를 위한 시각화)

  • Yang, Seokwoo;Son, Siwoon;Gil, Myeong-Seon;Moon, Yang-Sae;Won, Hee-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04a
    • /
    • pp.702-705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하듐 환경에서 시스템 정보의 이상탐지를 위한 시각화 기능을 설계 및 구현한다. 제안한 이상탐지 시각화 기능은 크게 세 단계로 구분된다. 먼저, 각 노드로부터 시스템 로그 데이터(캐시 및 메인 메모리)를 수집하여 하이브(Hive) 저장한다. 그리고 저장한 데이터에 3-시그마 규칙을 적용하여 이상탐지를 수행한 후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적합하도록 재가공한다. 마지막으로, 스쿱(Sqoop)을 통해 RDBMS(MariaDB)에 이상탕지 결과를 저장하고, DHTMLX 차트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이를 시각화한다. 시각화 결과, 로그 데이터의 이상탐지와 데이터간의 상관관계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Analysis of Technical Standards for Hacking Mail (해킹메일 대응을 위한 기술 표준 분석)

  • Byun, Ye-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0.05a
    • /
    • pp.235-237
    • /
    • 2020
  • 해킹메일로 인한 피해는 꾸준히 발생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정부나 공공기관을 사칭하는 메일로 인한 피해 사례가 증가하고 있어 정부에서는 사칭메일을 대응하기 위한 기술을 적용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2017년부터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는 이메일 주소를 사칭하는 메일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SPF(Sender Policy Framework) 기술을 적용해야 한다고 밝혔으며, 2019년에 정부에서는 SPF 뿐만 아니라 DKIM(Domain Keys Identified Mail)과 DMARC(Domain-based Message Authentication, Reporting, and Conformance)까지 적용을 확대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해킹메일 대응을 위해 적용하고 있는 세 가지 기술의 기술 표준을 분석함으로써 해당 기술을 적용하여 나가기 위한 발판을 마련하고자 한다.

Design of Delayed Triple-Core Lock-Step Processor with Memory Rollback for Automotive Applications (메모리 롤백 기능을 가진 차량 어플리케이션용 삼중 코어 지연 락스텝 프로세서 설계)

  • Seonghyun, Yang;Ji-Woong, Choi;Seongsoo, Lee
    • Journal of IKEEE
    • /
    • v.26 no.4
    • /
    • pp.628-632
    • /
    • 2022
  • In this paper, a triple-core delayed lock-step processor is proposed for automotive applications. It performs same operations in three different cores independently, and votes their results to get final values. Therefore its operations are safe even if errors occur in one core. Its three cores operate in a delayed manner to prevent simultaneous errors in multiple cores due to radiative ray or electromagnetic wave. When an error occurs in main core connected to the memory, wrong values can be stored in the memory, so the proposed processor performs memory rollback to restore correct values.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processor successfully compensates various errors.

Two Layered Image Tile Mosaics (두 층 이미지 타일 모자이크)

  • Kang, Dong-Wann;Park, Young-Sup;Seo, Sang-Hyun;Yoon, Kyung-Hyun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12 no.2
    • /
    • pp.9-11
    • /
    • 2006
  • 본 논문은 원 영상의 세부 묘사를 유지하는 사진 타일 모자이크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타일 내부의 세부 묘사를 위한 사진 타일의 사용과 타일간의 빈 공간을 제거하기 위한 겹쳐진 타일의 사용을 통해 구현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방법은 다음 세 단계로 구성된다. 첫째, 에지 회피 기법이 적용된 CVD를 통해 메인 타일의 위치를 얻고, 딜로니 삼각형화를 이용해 서브 타일의 위치를 계산한다. 둘째, 타일간의 관계를 고려해 타일의 크기와 방향성을 구한다. 셋째, 사진 타일을 사용하기 위해 포토 모자이크 기법을 사용한다. 이때, 다단계 인덱싱기법을 통해 사진 검색의 속도를 높인다. 위의 과정을 통해 타일 간의 빈공간이 최소화되고 타일 내부의 세부 묘사가 극대화된 모자이크 영상을 얻는다.

  • PDF

A Study on Methodology for developing Color Design Concepts for the Case of Cosmetic Brand 'Primera' (화장품 브랜드의 색체 디자인 컨셉 개발에 관한 방법론적 연구: 자연성 화장품 '프리메라'의 사례를 중심으로)

  • 권은숙;김유진;김종일;송경석;최유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417-425
    • /
    • 2000
  • 시각적 의미의 개발에 바탕을 둔 색채 디자인 연구는 인간의 감성을 중시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맞이하여, 보다 확장적이고 다양한 연구로 발전되고 있다. 특히 화장품 브랜드의 개발과정에서 색채연구의 기능과 역할은 보다 새로운 차원으로 확대, 발전될 수 있는 가능성이 많다. 본 연구의 목적은 허브 식물이 가진 치료 효과와 심신을 편안하게 해주는 감성적 요인을 이용하여, 다차원적 감성을 활용한 색채 연구 방법론을 개발하고 이를 통한 자연성 화장품 브랜드의 이미지 전략을 수립하는데 있다. 허브 식물과 사용자 간의 감성적 교류에 대한 다차원적 특성은 '프리메라'라는 자연성 화장품 브랜드를 위한 감성적 이미지 개발 전략의 사례연구를 통하여 연구되었다. 본 사례 연구에서는 여성의 피부 특성에 따른 세 종류의 시각적/촉각적 색채 이미지 접근 방법을 분석하고, 이를 통한 활용 색체 팔레트를 개발함으로써 프리메라가 갖고 있는 브랜드의 이미지를 확고히 전달할 수 있는 감성 언어 체계를 개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