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멀티빔

Search Result 117,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멀티빔 레이저마킹기 세계 최초 개발 성공-레이저장비 전문업체 (주)이오테크닉스

  • Park, Ji-Yeon
    • The Optical Journal
    • /
    • s.110
    • /
    • pp.36-37
    • /
    • 2007
  • 세계 반도체 레이저마킹기 시장의 50% 이상을 장악하고 있는 이오테크닉스(대표.성규동)가 이번에는 장비 한 대에서 최대 4개의 레이저 빔을 동시 분사할 수 있는 멀티빔 레이저 마킹기를 세계 최초로 개발하며 다시 한번 저력을 유감없이 발휘했다. 이 회사는 1년간의 연구개발 과정을 거쳐 탄생한 멀티빔 레이저마킹기를 통해 반도체 이외에 휴대전화 등 일반소비재로 확대 적용하는 등 기존 반도체 시장에 이어 범용 마킹 분야로 진출할 수 있는 발판으로 삼을 예정이다.

  • PDF

The Research on the Software Development for the Hardware Error Correction of MBES (Mutlibeam Echo Sounder) (멀티빔 음향 측심기에서 하드웨어 오류 보정을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에 관한 연구)

  • Lee, Ji Eun;Oh, Young Suk
    • Smart Media Journal
    • /
    • v.5 no.1
    • /
    • pp.9-14
    • /
    • 2016
  • Although the ocean observation and exploration equipment is necessary for the oceanographical observation and strengthening influence of the nation and the resource preemption, it depended on the oversees adoption rather than the domestic development. The MBESs were developed for seabed topography, sedimentary distribution information and underwater objects exploration, but there is no domestic production. So in this research we try the localization of the marine acoustic sounder. Especially about correcting the error occurred on the hardware, we confirmed it on software.

Filtering & Cridding Algorithms for Multibeam Echo Sounder Data based on Bathymetry (수심에 기반한 멀티빔 음향 측심 필터와 격자 대표값 선정 알고리즘)

  • 박요섭;김학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1999.11a
    • /
    • pp.260-265
    • /
    • 1999
  • 멀티빔 음향측심기(Multibeam Echo Sounder)는 기존의 단빔 음향측심기(Singlebeam Echo Sounder)와 달리 탐사선 진행방향의 수직(Crosstrack)으로 해저면을 주사(Swath)하여, 한 번의 송수신(Ping)으로 다중의 빔 자료 - 수심, 후방산란된 음압(Backscattered Amplitude), 사이드 스캔 소나(Side Scan Sonar) 자료 - 를 취득하는 장비이다. 멀티빔 음향 측심기를 이용한 해저면 탐사의 경우, 수심이 변함에 따라 주사폭(Swath width)이 변화하고, 각 빔의 수평 해상도(Footprint)는 수심과 더불어 빔폭(Beam width)에 의하여 동적으로 변화한다. 멀티빔 음향 측심기는 해저면을 전역탐사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속된 음향 탐사를 통하여 이웃한 핑 사이에 발생하는 전방중첩영역(Endlap)과 이웃 측선(Trackline)을 따라 겹쳐지는 측방중첩영역(Sidelap)의 자료들을 이용하여 멀티 뎀 자료들의 전반적인 정확도 및 신뢰도를 평가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수로 측량(Hydrographic Survey)에서 사용되는 멀티빔 음향 측심기를 운영하여 얻어진 측심 자료를 처리하는 알고리즘 개발에 관한 연구이다. 본 논문에서는 L3사의 Sea Beam 2100 벌티빔 음향 측심기를 대상으로, 멀티빔의 측심 원리와 해저 지형에 대한 일반적 이해를 통하여 획득된 측심 자료의 통계적 특성을 파악하고, 오측심된 수심 자료를 제거하는 방법을 제안하며, 측심 구간의 대표격자 크기를 결정하는 기준을 제시한다. 또한, 항공원격탐사에서 고도 추정시 사용되고 있는, 평균보간법, 가중평균 보간법과,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격자 대표값 선정 알고리즘(Gridding Algorithms)의 결과를 비교하고,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해저 수치지형모델(DEM, Digital Elevation Model)과 후방산란 영상을 제시한다. 빠른 한지형잔디들이 지표면을 피복하도록 하고 여름의 고온기와 장마시기에는 뿌리전단력이 우수한 이러한 초종들로 지표면이 피복되도록 하는 것이 이상적이라 생각된다. 4. 혼파처리간의 토사유출량을 비교한 결과 토사 유출 억제효과는 한지형과 나지형잔디들의 혼합형(MixtureIII)과 자생처리구(MixtureV), Italian ryegrass와 자생식물의 혼합형(MixtureIV)등에서 비교적 낮은 수치를 토사유출량을 기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자생식물들이 비록 초기생육속도는 외래도입초종에 떨어지지만 토사유출의 억제효과면에서는 이들 외래초종에 필적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겠다.중량이 약 115kg/$m^2$정도로 나타났다.소 들(환경의 의미, 사람의 목적과 지식)보다 미학적 경험에 주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사람들에게 비슷한 미학적 경험을 발생시키는 것 이 밝혀졌다. 다시 말하면 모든 사람들은 그들의 문화적인 국적과 사회적 인 직업의 차이, 목적의 차이, 또한 환경의 의미의 차이에 상관없이 아름다 운 경관(High-beauty landscape)을 주거지나 나들이 장소로서 선호했으며, 아름답다고 평가했다. 반면에, 사람들이 갖고 있는 문화의 차이, 직업의 차 이, 목적의 차이, 그리고 환경의 의미의 차이에 따라 경관의 미학적 평가가 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corner$적 의도에 의한 경관구성의 일면을 확인할수 있지만 엄밀히 생각하여 보면 이러한 예의 경우도 최락의 총체적인 외형은 마찬가지로 $\ulcorner$순응$\lrcorner$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도 $\ulcorner$순응$\lrcorner$$\ulcorner$표현$\lrcorner$의 성격과 형태를 외형상으로 더욱이 공간상에서는 뚜렷하게 경계

  • PDF

Calibration of Hydrographic Survey Multibeam System Using Terrestrial Laser Scanning and TS Surveying (지상 레이저 스캐닝과 TS 측량을 이용한 멀티빔 시스템의 검·보정)

  • Kim, Jin S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1 no.3
    • /
    • pp.199-207
    • /
    • 2013
  • In hydrographic survey, data surveyed with multibeam system includes various errors due to multiple factors. These are corrected by a calibration called patch test, and if existing method is used, the test needs to be conducted for about 8 times for precise system calibration. For more prompt and precise multibeam system calibration, the exact offset of a ship was determined using terrestrial laser scanning and TS surveying, which was used as the initial input for the patch test. In the result, the error of closure was 0.001 m or less for TS surveying and backsight error was 0.005 m or less for scanning. All the surveying data based on the same local coordinate was converted into vessel reference coordinate during which R-square for all rotation angles was 0.99 or higher and standard deviation was 0.008 m or less. Finally, in a patch test using calculated offset of sensors and motion sensor offset, the offset of MBES transducer satisfied manual on hydrography only with 1-time calibration. With these results, it is thought that terrestrial laser scanning and TS surveying can fully be utilized for multibeam system calibration.

High Directivity Sound Beamforming Algorithm (방향성이 높은 사운드 빔 형성 알고리즘)

  • Kim, Seona-Woo;Hur, Yoo-Mi;Park, Young-Chul;Youn, Dae-Hee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9 no.1
    • /
    • pp.24-33
    • /
    • 2010
  • This paper proposes a technique of sound beamforming that can generate high-directive sound beams, and this paper also presents applications of the proposed algorithm to multi-channel 3D sound systems. The proposed algorithm consists of two phases: first, optimum weights maximizing a sound pressure level ratio between the target and control acoustic regions are designed, and later, the directivity of the pre-designed sound beam is iteratively enhanced by modifying the covariance matrix. The proposed method was evaluated under various situations, and the results showed that it could provide more focused sound beams than the conventional methods.

멀티빔 자료를 이용한 웹기반의 3차원 해저 지형 가시화

  • 노대훈;박요섭;김학일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0.04a
    • /
    • pp.166-171
    • /
    • 2000
  • 밀티빔 음향 측심기 (Multibeam Echo Sounder)는 탐사선에 수직방향으로 해저면을 주사(Swath)하여, 한번의 송수신(Ping)으로 다중의 빔자료를 얻을 수 있는 측심기로, 해저면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음파의 음압을 기록하고, 사이드 스캔 소나 자료도 동시에 취득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측심된 해저 지형(Bathymetry)과 해저 지형을 덮고 있는 해저면의 퇴적 상황(Sediment Environment)도 동시에 얻을 수 있는 다목적 측심기이다. 본 논문에서는 L3사의 Sea Beam 2100 멀티빔 음향 측심기를 통해 얻은 자료를 처리하여, 3차원 공간 데이터인 DEM(Digital Elevation Model)을 생성하고, VRML을 이용한 웹상에서의 해저 지형 가시화를 통해, 세계 어느 곳에서나 웹을 통하여 쉽게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3차원 해저 지리 정보 시스템의 구현을 목적으로 한다. 멀티빔 음향 측심기를 통해 얻어진 자료는 항해 자료 보정, 음속 보정, 빔 좌표 계산과 분리, 오측심 자료 제거, 조석 보정 등의 단계를 거쳐 측심자료의 정확도 및 신뢰도를 높이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보정된 멀티빔 음향 측심자료는 무작위 점 사상(Point Topology)으로 산재 되어 있는 빔 자료를 임의의 단위영역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이 과정을 격자화라고 한다. 자료의 격자화를 통해 3차원 공강 데이터인 DEM 파일을 제작하고, 이 DEM 파일과 음압 영상을 이용해 웹상에서의 3차원 해저 지형의 가시화를 실현한다. 웹상에서의 3차원 지형 가시화에서 방대한 양의 지형 데이터는 데이터 전송 시간과 렌더링 시간에 치명적인 문제이다. 따라서, 렌더링 시간과 데이터 전송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한, 지형 자료의 LOD(Level of Detail)를 통해, VRML을 이용한 보다 효과적인 웹상에서의 3차원 해저 지형의 가시화를 실현한다.면 기업은 고객으로 공간적인 제약으로 인한 불신을 불식시키는 신뢰감을 주게 된다. 이러한 고객서비스 향상과 물류비용 절감은 사이버 쇼핑몰이 전국 어디서나 우리의 안방에서 자연스럽게 점할 수 있는 상황을 만들 것이다.SP가 도입되어, 설계업무를 지원하기위한 기본적인 시스템 구조를 구상하게 된다. 이와 함께 IT Model을 구성하게 되는데, 객체지향적 접근 방법으로 Model을 생성하고 UML(Unified Modeling Language)을 Tool로 사용한다. 단계 4)는 Software Engineering 관점으로 접근한다. 이는 최종산물이라고 볼 수 있는 설계업무 지원 시스템을 Design하는 과정으로, 시스템에 사용될 데이터를 Design하는 과정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기능을 Design하는 과정으로 나눈다. 이를 통해 생성된 Model에 따라 최종적으로 Coding을 통하여 실제 시스템을 구축하게 된다.the making. program and policy decision making, The objectives of the study are to develop the methodology of modeling the socioeconomic evaluation, and build up the practical socioeconomic evaluation model of the HAN projects including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effects. Since the HAN projects consists of 18 subprograms, it is difficult In evaluate all the subprograms simultaneously. Despite, each program is being performed under the category of HAN projects, so the common soci

  • PDF

Multiple Electron Beam Lithography for High Throughput (생산성 향상을 위한 멀티빔 리소그라피)

  • Choi, Sang-Kook;Yi, Cheon-Hee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16 no.3
    • /
    • pp.235-238
    • /
    • 2005
  • A Multiple electron beam lithography system with arrayed microcolumns has been developed for high throughput applications. The small size of the microcolumn opens the possibility for arrayed operation on a scale commensurate. The arrayed microcolumns based on of Single Column Module (SCM) concept has been fabricated and successfully demonstrated. Low energy microcolumn lithography has been operated in the energy range from 250 eV to 300 eV for the generation of nano patterns. Probe beam current at the sample was measured about >1 nA at a total beam current of $0.5\;{\mu}A$ and a working distance of $\~1\;mm$. The magnitude of probe beam current is strong enough for the low energy lithography. The thin layers of PMMA resist have been employed. The results of nano-patterning by low energy microcolumn lithography will be discussed.

Establishment Error Calibration Method on MBES (멀티빔(MBES)의 오차보정에 관한 연구)

  • Roh, Jeong-Sig;Choi, Yun-Soo;Yoon, Ha-Su;Lee, Yoo-Jung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7 no.3
    • /
    • pp.351-359
    • /
    • 2009
  • Nowadays, a precision multiple-beam epoch sounder is a depth-sounding apparatus, which is widely used especially for the mapping of bottom of the sea in the coastal area and the bed of river. However, there has been no attempt to verify the accuracy of the depth-sounding apparatus with the data obtained through the actual measurement. As a consequence, the efficient and systematic evaluation of the survey results cannot be performed. In this paper, the accuracy of the multiple beam echo sounder is analyzed by comparing the in-situ measurements and reference data. The test results show that the highest level of accuracy, indicated by IHO, can be achieved even though the magnitude of error increases with the depth of water.

  • PDF

Correlation of Simrad EM950(95kHz) Multibeam Backscatter Strength with Surficial Sediment Properties in the Sand Ridge of the Eastern Yellow Sea (황해 동부 사퇴분포지역의 표층퇴적물 특성과 Simrad EM950(95 kHz)멀티빔 후방산란 음압간 상관관계)

  • Kong, Gee-Soo;Kim, Seong-Pil;Park, Yo-Seop;Min, Gun-Hong;Kim, Ji-Uk;Park, Soo-Chul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39 no.6 s.181
    • /
    • pp.719-738
    • /
    • 2006
  • Simrad EM950 multibeam data and surficial sediment grab samples were acquired to correlate backscatter strength with surficial sediment properties in the eastern Yellow Sea which tidal sand ridges are dominantly developed. The study area is divided into the western sand ridge zone characterized by well sorted, fine sandy sediment, and the eastern non-sand ridge zone characterized by poorly sorted, medium sand with some gravels and shell fragments. In spite of minor difference in grain size between two zones, the variations of backscatter strength between two zones are distinct. Multibeam backscatter strength of study area shows good correlation with the grain size of surface sediment as well as the carbonate contents. High occurrence of carbonate shell fragments can increase grain size and bottom roughness. The dominance of higher backscatter strength in the eastern non-sand ridge zone may reflect the effects of coarse grain size and high shell fragments contents.

Seafloor Features around the Hupo Bank on the East Sea (동해 후포퇴(Hupo Bank) 주변의 정밀 해저지형 연구)

  • Choi, Sung-Ho;Ahn, Young-Kil;Han, Hyuk-Soo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10a
    • /
    • pp.93-96
    • /
    • 2008
  • We analyze a precise seabed feature around the Hupo Bank by using Multi-beam echosounder. Multi-beam echosounder system can observe the topography undulation according to the navigation of the survey ship by shooting wide beam. It is possible to embody a precision seabed feature because it can be make high density of incompletion depth sounding between survey lines. Through this survey, there is the Hupo Bank which is 84 km long, 1-15 km wide, 5.3-160 m deep in the center, at the west is moat, at the east is scarp and submarine canyon. The top of the Hupo Bank is the Wangdol reef that has 5.3 m in depth of water at least. Moat in survey area is 30 m long, and 30-40 m wide and has a depressed channel. The gap of depth of water in scarp is approximately 60 m and shows a characteristic of cuttig plane. Submarine canyon is 3.5 - 13.5 km wid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