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먹이 비

검색결과 505건 처리시간 0.026초

부산 동백점 연안에 서식하는 노래미 Agrammus agrammus의 먹이생물 (Diets of the Rock Trout, Agrammus agrammus, in the Shore Area of Tongbaeksom, Pusan)

  • 김종관;강용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411-422
    • /
    • 1986
  • 부산해운대 동백섬 연안천해에 분포하는 노래미 개체군의 식성을 파악하기 위해 노래미의 위내용물을 분석하고 환경생물을 조사했다. 노래미의 주된 먹이 생물은 amphipoda 및 isopoda에 속하는 갑각류였다. 특히, Gammaridae는 모든 계절에서 어느 연령군의 노래미의 위내용물로부터 우점적으로 출현했다. Caprella sp.는 산란직전의 $8{\sim}9$월에 많이 나타났다. Synidotea laevidorsalis는 위내용물에서 개체수로서는 조성비가 낮았지만, 용적으로서는 Gammaridae 다음으로 조성비가 높았다. 저연령어는 크기가 작은 Gammaridae, Caprella sp., Dynamene sp.를 많이 먹었으며, 고연령어는 크기가 큰 S. laevidorsalis, Polychaeta, Reptantia를 많이 먹었다. 노래미 암수 간의 먹이 생물 차는 없었다. 연중 적극적(positive)으로 선택섭식된 먹이 생물은 Caprella sp.였다. Gammaridae는 봄과 가을(10,11월)에는 적극적으로 섭식되었으나, 여름과 9월에는 소극적(negative)으로 섭식되었다. 먹이 생물의 섭식량은 고연령군일수록 많았다. 노래미가 성장할수록 섭식하는 먹이 생물의 종류는 다양했다. 소형의 먹이 생물은 노래미의 어느 연령군의 위내용물에서도 고루 출현하였다. 한편 대형의 먹이 생물의 경우에는 노래미의 나이가 많을수록 위내용물에서 출현하는 크기가 증가했다.

  • PDF

유류 오염에 의한 요각류 Tigriopus japonicus의 섭식반응 (Ingestion Responses of the Copepod Tigriopus japonicus Exposed to the Water Accommodated Fraction (WAF) and Chemically Enhanced WAF (CEWAF) of Crude Oil)

  • 이균우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21-125
    • /
    • 2016
  • 본 연구는 유류오염에 의한 요각류 Tigriopus japonicus의 먹이섭식능력의 감소가 먹이회피에 의한 것인지 오염된 해수의 독성에 의한 것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유류(WAF 또는 CEWAF)에 오염된 먹이에 대한 T. japonicus의 먹이 섭식력을 조사하였다. WAF가 없는 배양수 조건에서는 모든 실험구에서 섭식량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WAF가 배양수에 있는 조건에서는 WAF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섭식량이 줄어드는 경향을 보여 WAF 100% 농도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T. japonicus가 CEWAF에 오염된 환경에서 먹이의 종류에 따른 먹이선택성여부를 조사한 결과, 오염된 먹이를 공급했을 때, 배양수에 CEWAF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먹이로 Tetraselmis suecica를 공급한 실험구가 다른 실험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부착규조류 섭식률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유류오염에 의한 T. japonicus의 먹이 섭식력의 감소는 오염된 먹이회피에 의한 섭식력의 감소가 아니라 해수에 존재하는 유류독성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산-거제만과 자란만 양식굴(Crassostrea gigas)의 비만, 재생산 및 체조성성분의 계절변동 비교

  • 강창근;박미선;이필용;최우정;이원찬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춘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510-511
    • /
    • 2000
  • 이매패류의 비만과 생식활동의 계절 변동은 에너지의 축적과 소모 주기 및 수온과 먹이 유용성 등과 같은 환경요인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따라서 환경변동 특히 먹이 유용성의 변화는 에너지 저장주기와 재생산의 주년 혹은 지역적 변동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어떤 만의 수용능력을 초과하는 높은 패류 양식 밀도를 갖는 해역에서는 먹이유용성의 저하에 의해 양식패류의 성장 저하와 함께 비만과 재생산도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Deslous-Panli and Heral, 1988; Heral, 1993). (중략)

  • PDF

도시공원내 야생조류의 먹이자원 및 인공새집 이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ood Resource and Utilization of Artificial Nest of Wild-birds in Urban Woodland)

  • 김종갑;이성규;민희규;민기철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5권5호
    • /
    • pp.275-282
    • /
    • 2002
  • 먹이식물에 대한 야생조류의 기호성을 조사한 결과 28종 중에서 특히 소나무, 팽나무, 노박덩굴, 찔레꽃, 주목, 사철나무 등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야생조류의 먹이섭식량은 번식기(5∼6월)에는 동물성(섭식률 92.2%)을 식물성(섭식률 32.7%)보다 선호하였으나 비번식기(11∼12월)에는 동·식물성 모두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먹이 종류별 선호도는 식물성은 조, 좁쌀을 동물성은 쇠기름덩이, 번데기를 선호하였다. 공원별 인공새집 이용률은 노산공원 77.5%, 산호공원 50.3%, 진주성지 44.1%, 비봉공원 42.2% 순으로 노산공원에서 인공새집의 의존률이 가장 높았고, 인공새집 구멍 크기별로는 5cm 출입공보다 3cm 출입공을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유생에 대한 3종 부착 규조류의 먹이효율 (Dietary Value of Three Benthic Diatom Species on Haliotis discus hannai Larvae)

  • 박세진;허성범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91-96
    • /
    • 2013
  • 북방전복 초기 유생의 사육에 적합한 부착 규조류를 파악하기 위하여 C. californica, Rhaphoneis sp. C. schroederi를 대상으로 veliger 유생의 부착률, 변태율, 생존율 및 성장을 조사하였다. 각 규조류의 단독 먹이 실험구, 3종의 혼합 먹이 실험구 및 먹이를 공급하지 않은 대조구로 구분하여 사육하였다. 유생의 부착률은 C. californica와 Rhaphoneis sp.에서 48시간째에 80-82%로 가장 높았고, C. schroederi의 최고 부착률은 96시간째에 67%로 상대적으로 늦고 낮은 경향을 보였다. 변태율도 C. schroederi는 6일째 37%로 C. californica와 Rhaphoneis sp.의 45-49%에 비하여 낮고 느린 결과를 보였다. 혼합 먹이 실험구는 단독 먹이 실험구에 비하여 낮은 부착률과 변태율을 보였다. 변태 후 10일째 C. californica와 Rhaphoneis sp.는 각각 69%와 61%의 높은 유생 생존율을 보였고, 일간 각장 성장은 각각 33.7 ${\mu}m$과 32.5 ${\mu}m$로 C. schroederi의 29.0 ${\mu}m$, 혼합 먹이 실험구의 21.8 ${\mu}m$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따라서 북방전복 초기 유생 사육을 위한 최적 규조류는 C. californica, Rhaphoneis sp., C. schroederi의 순으로, 이들 규조를 단독으로 공급하는 것이 혼합하여 공급하는 것보다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본 실험은 북방전복 초기 유생단계의 결과이므로 차후 치패를 대상으로 한 장기간의 먹이효율 조사가 필요하다.

Artemia와 진주담치 유생에 대한 효모의 먹이효율 (Dietary value of yeast on nauplius of Artemia and Mytilus edulis)

  • 김해영;김중균;허성범
    • 한국양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양식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요약집
    • /
    • pp.84-85
    • /
    • 2003
  • 조개류의 먹이생물인 미세조류를 대체할 수 있는 효모를 개발하기 위하여 빵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Candida utilis, Klyveromyces fragilis 3종류의 효모를 대상으로 그 먹이효율을 실험하였다. 이들 3종류의 효모를 세포벽을 75, 50, 25% 제거한 것과 세포벽을 제거하지 않은 효모로 구분하여 Artemia를 대상으로 먹이효율을 조사한 후 가장 좋은 먹이효율을 보인 C. utilis를 조개류의 대표적 먹이생물인 Isoch교sis galbana 와 함께 진주담치 유생을 대상으로 먹이효율을 조사하였다. Artemia 실험결과 빵효모보다 C. utilis, K. fragilis가 높은 생존율과 성장을 보였으며 세포벽을 제거한 것이 제거하지 않은 것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Artemia의 생존율은 75%와 50% 세포벽을 제거한 것이 25%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성장은 유의적이지는 않지만 전체적으로 세포벽을 많이 제거할수록 성장과 생존율은 높은 경향이었다. 이와같이 Artemia의 경우는 세포벽을 제거한 C. utilis가 더 좋은 먹이효율을 보인 것은 Artemia는 효모의 세포벽을 소화시키지 못하기 때문으로 판단 할 수 있다. 진주담치 유생의 먹이로 C. utilis를 공급한 경우 성장에 있어서 세포벽을 제거한 효모를 50% 대체한 실험구의 먹이효율이 가장 좋았으며 세포벽을 벗기지 않은 효모의 경우 I. galbana에 비해 낮은 결과를 보였다. 진주담치 유생에 있어서도 세포벽을 제거한 C. utilis를 공급한 것은 대조구인 I. galbana와 생존율에 있어 유의성이 없었다. 그리고 25% 세포벽을 제거한 것을 공급한 실험구는 유의적으로 낮은 생존율을 보였다. 각장 성장의 경우 75% 세포벽을 제거한 것은 대조구인 I. galbana와 유의성이 없었다. 세포벽을 제거한 C. utilis와 I. galbana를 1:1로 혼합하여 공급한 실험의 경우 생존율에 있어서는 세포벽을 50%, 75% 제거한 C. utilis를 50% 첨가한 실험구는 대조구인 I. galbana 100%를 공급한 것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성장의 경우는 I. galbana 에 세모벽을 75% 제거한 C. utilis를 1:1로 혼합한 실험구에서 각장 179.3 $\mu\textrm{m}$, 각고 150.3 $\mu\textrm{m}$로 가장 높았고 대조구인 I. galbana 100%와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 PDF

먹이 종류에 따른 금개구리 (Rana plancyi chosenica)유생의 성장 (Growth of Golden Frog Larvae, Rana plzancyi chosenica by Different Food Types)

  • 라남용;이정현;박대식
    • 환경생물
    • /
    • 제25권1호
    • /
    • pp.8-15
    • /
    • 2007
  • 본 연구는 금개구리(Rana plancyi chosenica)유생의 성장에 효율적인 먹이를 개발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네가지 형의 먹이를 공급하고 그에 따른 성장을 비교한 것이다. 금개구리 유생에게 식물성 먹이를 공급한 군과 식물성과 동물성 배합 먹이를 공급한 실험군이 습지에서 수거한 유기물과 식물성 먹이 만을 공급한 대조군보다 더 빠른 성장을 보였다. 나아가, 식물성과 동물성 먹이를 혼합하여 공급한 먹이군이 순수하게 식물성 먹이 만을 공급한 실험군보다 더 높은 성장을 보였다. 식물성먹이에 동물성 먹이로서 열대어 사료를 혼합하여 공급한 실험군의 유생들이 대조군이나, 식물성 먹이 실험군, 식물성에 뱀장어 사료를 혼합하여 공급한 실험군 모두에 비하여 빠른 시간 안에 변태에 이르렀다. 이러한 결과는 식물성 먹이와 동물성 먹이를 적절하게 배합한 먹이가 금개구리 유생의 빠른 성장과 변태에 가장 효율적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양식장용 자동 먹이공급시스템 설계 (Design of Auto Feed Supply System for Fish Farm)

  • 오진석;조관준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3권10호
    • /
    • pp.709-713
    • /
    • 2009
  • 근해의 수질오염은 수산양식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해에서 외해로 양식장이 이동하고 있다. 외해 양식장의 구축을 위해서는 자동먹이 공급장치 및 원격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해상의 양식장에서의 자동 먹이 공급 시스템에 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어류는 수온 및 어체 중량에 따라 먹이를 먹는 양이 변화하며, 해상 양식장의 경우 육상에 비하여 온도 변화가 크게 일어난다. 본 논문은 수온 및 어체 중량에 따라 먹이량을 계산하고 자동으로 먹이를 공급하는 시스템을 연구하였으며 모형 실험을 통하여 먹이 공급 장치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외해 가두리 양식장용 먹이공급시스템 (Feed supply system for Fish farm in Ocean Sea)

  • 오진석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4권10호
    • /
    • pp.793-797
    • /
    • 2010
  • 근해의 어족자원 고갈 및 수질오염은 수산양식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해에서 외해로 양식장이 이동하고 있다. 외해 양식장은 근해보다 해상환경에 강인하게 개발되어야 하며, 안정적인 양식장 운영을 위해 원격 자동먹이 공급장치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해상의 양식장에 적합한 원격 먹이공급시스템에 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어류는 수온 및 어체 중량에 따라 먹이를 먹는 양이 변화한다. 해상 양식장의 경우 육상에 비하여 온도 변화가 크게 일어난다. 본 논문은 수온 및 어체 중량에 따라 먹이량을 계산하고 자동으로 먹이를 공급하는 시스템을 연구하였다. 모형을 활용한 먹이 공급 장치의 성능을 실험하였다.

까나리, Ammodytes personatus의 식성 (Food habits of Sand eel, Ammodytes personatus)

  • 김영혜;강용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89-98
    • /
    • 1991
  • 까나리의 주요 먹이 생물은 요각류이었으며, 주된 섭식종은 Ca. sinicus이었다. 까나리는 성장함에 따라 먹이 생물의 종류는 다양해지지만 Ca. sinicus를 우점적으로 섭식하였다. 까나리의 위내용물중 먹이 생물로서의 가치는 저연령에서는 P. parvus와 Co. latus가 높았고, 고연령에서는 S. crassa와 Gammaridae가 높았으며, Ca. sinicus는 모든 연령에서 매우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까나리는 1.5개월 이상이 되면 소화 기관의 구조가 거의 완벽하게 발달되므로 0.5개월군을 제외한 모든 연령군의 먹이 생물은 같았다. 까나리의 먹이 생물에 따른 연령군별 특징은 다음과 같다. 제 1군은 0.5개월 군으로 구성되었으며, 먹이 생물이 가장 다양하게 출현하였다. 제 2군은 2.5개월군, 15.2개월군, 15.8개월군, 26.7개월군, 27.2개월군으로 구성되었고, Ca. sinicus를 가장 많이 출현함으로써, 우점도지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우점 먹이 생물로서 다른 군은 모든 요각류인데 비해 S. crassa가 출현한 것이 특이하다. 제 3군은 1.5개월군, 3.5개월군, 4.5개월군, 11.7개월군, 12.2개월군, 12.8개월군, 13.0개월군, 13.3개월군, 14.0개월군, 14.7개월군, 16.0개월군, 16.3개월군, 17.0개월군으로 구성되었고, 먹이 생물종은 13종이지만 Ca. sinicus가 가장 많이 출현하였기 때문에 다양도지수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