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맹아

검색결과 902건 처리시간 0.023초

물푸레나무속(屬) 수형목(秀型木)의 수심(水沈)에 의(依)한 지조맹아(枝條萌芽) 발생력(發生力)과 이를 이용(利用)한 녹지삽목(綠枝揷木) 증식시험(增殖試驗) (The Production of Adventitious Sprouts by Water-soak and Vegetative Propagation of Plus tree of Ash Species Through Cuttings of Their Sprouts)

  • 한상돈;홍성호;민영택;김영모;김홍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3권2호
    • /
    • pp.148-154
    • /
    • 1994
  • 물푸레나무 및 들메나무는 결실주기(結實週期)가 길고 암수 딴 그루이므로 우수개체(優秀個體)를 유전자(遺傳子) 변화(變化)없이 대량증식(大量增植) 시킬 수 있는 효과적(效果的)인 삽목(揷木) 등(等) 무성긴식법(無性緊植法)이 요구(要求)된다. 이에 전국(全國)에 산재(散在)한 우수개체(優秀個體)인 수형목(秀型木) 지조(枝條)를 채취(採取)하여 water culture로 맹아지(萌芽枝)를 유도(誘導)하고 발생(發生)된 맹아지(萌芽枝)와 포지(圃地)에 식재(植栽)된 2년생(年生) 실생묘(實生苗) 맹아지(萌芽枝)를 이용(利用)하여 녹지삽목(綠枝揷木)을 실시(實施)하였다. 물푸레나무 및 들메나무의 평균(平均) 수령(樹齡)은 각각(各各) 45, 50년생(年生)이었는데 길이 30cm, 직경(直徑) 5-15cm의 가지에서 시료당(試料當) 3.5개(個)의 맹아지(萌芽枝)가 발생(發生)하였고, 맹아지(萌芽枝) shoot길이가 10cm 이상(以上)되어 삽목가능(揷木可能)한 맹아지(萌芽枝)는 시료당(試料當) 0.6개(個)이었다. 수령범위(樹齡範圍) 29-100년생(年生)에서 수령(樹齡)과 맹아지(萌芽枝) 발생수(發生數) 및 삽목가능(揷木可能) 본수간(本數間)에 두 수종(樹種) 모두 상관(相關)을 보이지 않았다. 환경요인별(環境要因別) 삽목시험(揷木試驗)에서는 노지(露地)의 경우 물푸레 65%, 들메 63%의 발근율(發根率)을 보였고 온실(溫室)에서는 물푸레나무 84%, 들메나무 89%의 발근율(發根率)을 나타내어 노지삽목(露地揷木)보다 온실삽목(溫室揷木)이 좋았다. 상토별(床土別) 삽목시험(揷木試驗)에서는 펄라이트와 피트모스를 2 : 1로 혼합(混合)한 상토(床土)에서의 발근율(發根率)이 평균(平均) 80% 로 가장 양호(良好)하였다. 삽목묘(揷木苗)의 뿌리발달(發達)에 있어서 비용기(非容器) 삽목묘(揷木苗)와 용기(容器) 삽목묘(揷木苗)의 발근(發根)된 뿌리수(數)는 3.6개(個), 2.9개(個)였고, 근장(根長)은 18.4cm, 12.3cm으로 비용기(非容器) 삽목묘(揷木苗)의 뿌리발달(發達)이 양호(良好)하였다 또한, 같은 조건(條件)에서는 상토공극(床土空隙)이 큰 상토삽목묘(床土揷木苗)(왕사)가 공극(空隙)이 작은 상토(床土)(펄라이트 : 버미큐라이트 : 피트모스= 1 : 1 : 1) 삽목묘(揷木苗)보다 뿌리발달(發達) 및 이듬해 shoot생장(生長)이 왕성(旺盛)하였다.

  • PDF

건축 공간인지 특성과 경로탐색(Wayfinding)을 고려한 맹학교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 - 한빛맹학교와 서울맹학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lanning Guide of Educational Facilities for the Blind by the Cognition Characteristics and Wayfinding Behavior of the Blind - Focused on the Han-Vit and Seoul Educational Facilities for the Blind -)

  • 정무웅;구양회
    • 교육시설
    • /
    • 제11권1호
    • /
    • pp.25-37
    • /
    • 2004
  • This study is derived from a problem for the blind, how to recognize the space and how to find their way. Unlike ordinary people, the disabled people are closely related with special constructor environment using the other sense. Especially, to find his/her location, each person depends on the wayfinding ability as acquiring specific and various information,(e.g. recognizing figure by tactile sense, space size by auditory sense, direction by light from a window and regular noise, and existence of switch in a specific place.) Those senses help the person's wayfinding to his/her destination. The procedure of wayfinding are location, position, orientation, navigation, and movement. Consequently, construction for the people above mentioned can offer a design-guideline considering following factors, building arrangement considering regular noise, refurbishment, plan configuration of floor and wall-skin changed, circulation stream that maintains right angle by the regular noise in the building, enforcement location character by the inflow of the light into a crossing.

야생 산마늘의 휴면 생리 및 연화 재배 (Dormancy Physiology, softening culture and evaluation of nutrition value in the Ulrung-native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 최상태;이준탁;박우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6호
    • /
    • pp.495-501
    • /
    • 1993
  • 산마늘의 휴면 생리를 밝혀, 휴면 타파 및 연화 재배법을 개발하는 동시에 생육 단계별로 영양가를 비교 분석하여 shoot의 채취 적기를 구명코져 실시하였다. 3월 상순경부터 신구가 생성되기 시작하여 인경과 shoot가 형성 및 신장되다가 8월 하순에는 완전히 휴면에 들어갔다. 산마늘의 인경은 매년 신구로 갱신되며, shoot가 인경 상부에 $1{\sim}2\;cm$정도로 맹아하면 모인편의 연한 조직은 완전히 소실되고 섬유질만 남는 것이 타 구근류와 다른 점이다. 인편에는 생장억제 물질의 활성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것이 산마늘의 휴면에 관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5월과 6월에 채취한 미숙구는 90일간 저온 처리$(5^{\circ}C)$ 하더라도 인경으로부터 맹아하지 않았으나, 7월이후에 채취한 어느정도 성숙한 구는 60일간 저온처리 하면 1 cm 이상 맹아 하였다. Shoot의 신장은 굴취 시기가 늦을수록, 저온처리 기간이 길어질수록 촉진되었다. 산마늘의 섬유소 함량은 잎이 전개 될수록 빛의 조도가 높을수록 증가 되었으나 암조건에서는 그 생성이 억제되었다. 산마늘의 알맞은 채취 시기로는 shoot가 식품으로서의 영양가가 높고 섬유질의 함량이 낮은 맹아기로부터 잎 전개기 사이가 좋다고 생각된다.

  • PDF

Sulfonylurea계 제초제가 처리된 다년생 잡초의 재생양상과 저장전분량의 변화 (Regrowth Patterns of the Perennial Weeds Treated with Sulfonylureas and Starch Degradation in the Rhizome)

  • 황인택;이관휘;홍경식;김진석;이병회;조광연
    • 농약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6-41
    • /
    • 2002
  • Sulfonylurea계 제초제 pyrazosulfuron-ethyl과 bensulfuron-methyl을 대상으로 다년생 잡초의 재생특성과 저장전분의 변화 양상을 조사하였다. Pyrazosulfuron-ethyl을 처리하였을 때 너도방동사니가 24일 후 재생되어 5가지 다년생 잡초 중 가장 빠르게 재생하였으며, 올방개, 올미, 벗풀 등이 각각 $30{\sim}39$일 이후부터 재생하였고, 가래는 55일 이후 재생되었다. 너도방동사니의 마디의 수와 엽기별 처리에 따른 재생력의 차이에서는 bensulfuron-methyl에 대하여 4마디 식물체가 2마디 식물체보다 약 2배의 재생력을 보였고, 처리시기가 2엽기, 3엽기, 4엽기로 늦어질수록 재생력이 증가하였다. 크기에 따른 올방개의 재생력은 $0.3{\sim}0.5g$ 크기의 올방개보다 $1{\sim}1.5g$ 크기의 올방개가 bensulfuron-methyl에 대하여 재생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처리시기에 따른 올방개의 재생력은 2엽기 처리보다 3엽기 처리에서 재생율이 감소되었다. 모경에 대한 의존기간은 벗풀의 경우 맹아된 후 12일이며, 올방개는 18일로 나타났다. 정상적으로 생장할 경우 영양번식체 내의 전분이 고갈되는 시기는 벗풀의 경우 맹아 후 18일, 올방개의 경우 27일로 나타났으며, 유리당의 최고치는 벗풀의 경우 맹아 후 9일, 올방개의 경우 18일로 나타났다. 올방개 괴경은 벗풀 괴경보다 1.5배 많은 전분을 함유하고있었다.

싸리류(類)의 재생능력(再生能力) (제(第)1보(報)) (Reproductive Capacity of the Genus Lespedeza(1))

  • 한영창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5-38
    • /
    • 1974
  • 싸리류(類)에 대(對)하여 매년(每年) 베어서 이용(利用) 하였을 때 재생능력(再生能力)을 조사(調査)검토 하고저 싸리 조록싸리, 풀싸리, 늦싸리, 참싸리 종자(種子)를 1969년(年) 봄 $m^2$당 4g씩 난괴법에 의하여 6반복 파종하고 당년 10월말(月末) 성적을 조사(調査)한 후 지상부(地上部)를 베어 주고 1970년(年) 봄에 $m^2$당 6주(株)씩 난괴법에 의하여 6반복 식재(植栽)하였다. 1970년(年)부터 1972년(年)까지 10월말(月末) 건장(乾長) 근원경(根元徑) 및 맹아본수(萌芽本數)를 조사(調査)하고 매년(每年) 11월(月) 지상부(地上部)를 베어 주고 근주(根株)만 남겨 놓았다. 1. 건장(乾長) 근원경(根元徑)의 재생능력(再生能力)은 품종별(品種別) 주령별(株齡別) 1%가 넘는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이 있었으며 싸리, 풀싸리, 참싸리, 조록싸리, 늦싸리의 순위로 좋았다. 2. 맹아본수(萌芽本數)의 재생력(再生力)은 조록싸리, 늦싸리, 풀싸리, 싸리, 참싸리의 순위로 나타났으며 특(特)히 참싸리가 저조한 맹아력(萌芽力)을 나타내고 있음은 건장(乾長) 근원경(根元徑)의 순위(順位)와 차이(差異)가 있었다. 3. 싸리류(類)는 주령(株齡) 4년(年)까지는 매년(每年)베어서 이용(利用) 하드라도 퇴화하지 않고 재생력(再生力)을 가지고 주령(株齡)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건장(乾長) 근원경(根元徑) 주당(株當) 맹아(萌芽) 본수(本數)가 증가(增加)하였다.

  • PDF

올방개 괴경(塊莖)의 맹아(萌芽)에 미치는 매몰심(埋沒深), 토양온도(土壤溫度) 및 수분조건(水分條件)의 영향(影響) (Effect of Depth of Tuber Burial, Soil Temperature, and Soil Moisture on Tuber Sprouting of Eleocharis Kuroguwai Ohwi)

  • 전재철;신현승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9-55
    • /
    • 1994
  • 올방개 괴경(塊莖) 형성(形成)과 휴면(休眠) 각성(覺醒)에 각성 미치는 매몰심(埋沒深), 토양온도(士壞溫度)및 수분조건(水分條件)의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였다. 새로 형성(形成)되는 괴경(塊莖)은 토양표층(土壤表層)으로 부터 30cm 이내(以內)에 고루 분포(分布)하였다. 괴경(塊莖)의 크기는 형성심도(形成深度)가 깊어질수록 커지는 경향(傾向)이었다. 새로 형성(形成)되는 괴경(塊莖)은 휴면성(休眠性)이 없지만, 성숙(成熟) 괴경(塊莖)은 휴면성(休眠性)을 보였다. 신괴경(新塊莖)을 $5^{\circ}C$ 정온(定溫) 또는 $20^{\circ}C$로부터 $1^{\circ}C$로 하강(下降)되는 변온조건(變溫條件)에서 30일간 처리(處理)할 때는 비휴면성(非休眠性)이 유지(維持)되었다. 괴경(塊莖)의 생존력(生存力)은 건조(乾燥) 및 습윤(濕潤) 토양조건(士壞條件)에서 5cm 깊이로 매몰(埋沒)시키면 감소(減少)되었지만, 25cm 매몰심(理沒深)에서는 토양(土壞) 수분조건(水分條件)에 관계없이 감소(減少)되지 않았다. 25cm 깊이로 매몰(埋沒)시킨 괴경(塊莖)의 맹아율(萌芽率)은 토양수분조건(土壤水分條件)에 관계없이 매몰(埋沒) 기간(期間)이 길어질수록 증가(增加)한 반면, 건조(乾燥) 및 습윤(濕潤) 조건(條件)의 5cm 매몰(埋沒)에서는 60일 동안 맹아율(萌芽率)이 증가(增加)하다가 그 이후(以後)부터 감소(減少)되었다. 담수조건(湛水條件)에서의 맹아율(萌芽率)은 25cm 보다 5cm 매몰심(埋沒深)에서 높았으며, 두 매몰심(埋沒深) 모두 매몰(埋沒) 기간(期間)이 길어질수록 증가(增加)되는 경향(傾向)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