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growth Patterns of the Perennial Weeds Treated with Sulfonylureas and Starch Degradation in the Rhizome

Sulfonylurea계 제초제가 처리된 다년생 잡초의 재생양상과 저장전분량의 변화

  • Hwang, I.T.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
  • Lee, K.H.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
  • Hong, K.S.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
  • Kim, J.S.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
  • Lee, B.H.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
  • Cho, K.Y.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 황인택 (한국화학연구원 생물화학연구부) ;
  • 이관휘 (한국화학연구원 생물화학연구부) ;
  • 홍경식 (한국화학연구원 생물화학연구부) ;
  • 김진석 (한국화학연구원 생물화학연구부) ;
  • 이병회 (한국화학연구원 생물화학연구부) ;
  • 조광연 (한국화학연구원 생물화학연구부)
  • Published : 2002.03.30

Abstract

Characteristics of regrowth and starch degradation in perennial weed rhizomes were investigated in a greenhouse. Cyperus serotinus started regrowth at 24 days after treatment of 1.25 g ai/ha of pyrazosulfuron-ethyl. The regrowth of Sagittaria trifolia, Eleocharis kuroguwai, and S. pygmaea required $30{\sim}39$ days, and Potamogeton distinctus regrew at 55 days after treatment of 1.25 g ai/ha of pyrazosulfuron-ethyl. However, all of 5 perennial weeds hardly regrew until 45 days after treatment more than 5 g ai/ha of pyrazosulfuron-ethyl. Regrowth of C. serotinus 4-node rhizomes was 2 times higher than 2-node rhizomes, and $1{\sim}1.5g$ of E. kuroguwai large tubers regrew faster than $0.3{\sim}0.5g$ of small tubers treated with bensulfuron-methyl. Regrowth of C. serotinus was enhanced with delayed application of bensulfuron-methyl, however, 2-leaf stage of E. kuroguwai plants regrew better than 3 leaf stage of plants when treated with equal volume of bensulfuron-methyl. The critical periods of S. trifolia and E. kuroguwai growth depending upon the rhizome detachment were 12 and 18 days after sprouting, respectively. The starch stacked in the S. trifolia and E. kuroguwai tubers were exhausted at 18 and 27 days after sprouting, respectively. The highest level of sugar contents was showed at 9 days after sprouting in S. trifolia, and 18 days after sprouting in E. kuroguwai.

Sulfonylurea계 제초제 pyrazosulfuron-ethyl과 bensulfuron-methyl을 대상으로 다년생 잡초의 재생특성과 저장전분의 변화 양상을 조사하였다. Pyrazosulfuron-ethyl을 처리하였을 때 너도방동사니가 24일 후 재생되어 5가지 다년생 잡초 중 가장 빠르게 재생하였으며, 올방개, 올미, 벗풀 등이 각각 $30{\sim}39$일 이후부터 재생하였고, 가래는 55일 이후 재생되었다. 너도방동사니의 마디의 수와 엽기별 처리에 따른 재생력의 차이에서는 bensulfuron-methyl에 대하여 4마디 식물체가 2마디 식물체보다 약 2배의 재생력을 보였고, 처리시기가 2엽기, 3엽기, 4엽기로 늦어질수록 재생력이 증가하였다. 크기에 따른 올방개의 재생력은 $0.3{\sim}0.5g$ 크기의 올방개보다 $1{\sim}1.5g$ 크기의 올방개가 bensulfuron-methyl에 대하여 재생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처리시기에 따른 올방개의 재생력은 2엽기 처리보다 3엽기 처리에서 재생율이 감소되었다. 모경에 대한 의존기간은 벗풀의 경우 맹아된 후 12일이며, 올방개는 18일로 나타났다. 정상적으로 생장할 경우 영양번식체 내의 전분이 고갈되는 시기는 벗풀의 경우 맹아 후 18일, 올방개의 경우 27일로 나타났으며, 유리당의 최고치는 벗풀의 경우 맹아 후 9일, 올방개의 경우 18일로 나타났다. 올방개 괴경은 벗풀 괴경보다 1.5배 많은 전분을 함유하고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Caroline, S. (1991) Sulfonylurea Herbicides. 179p. AGROW, Richmond, UK
  2. Chun J.C and H.S. Shin (1994) Effect of Depth of Tuber Burial, Soil Temperature, and Soil Moisture on Tuber Sprouting of Eleocharis kuroguwai Ohwi. KJWS 14(1):49-55
  3. Fedtke, C. (1982) 'Biochemistry and physiology of herbicide action. 320p, 'Springer-Verlag, Berlin and New York
  4. Goldberg, A.L. and A.C John (1976) Intracellular protein degradation in mammalian and bacterial cells. Part 2. Annu. Rev. Biochem. 45:747-755
  5. Klingman, G.C. and F.M. Ashton (1975) Weed Science: principles and practices. 431p. Wiley-Interscience, New York
  6. Kreuz, K. (1993) Herbicide safeners: Recent advances and biochemical aspects of their mode of action. Brighton Crop Protection Conference (Weeds), 9A-1: 1249-1258
  7. Levitt, G. (1991) Sulfonylureas: New high potency herbicides. In 'Pesticide Cemistry: Human welfare and the environment' (J. Miyamoto and P.C. Kerney, Eds.), Vol. 1. pp.243-250, Pergamon, Oxford, UK
  8. Smith, D. (1981) Removing and analyzing total nonstructural carbohydrates from plant tissue. pp.13. Wise. Agric. Exp. Stn. Research Report. R2107
  9. Yoshida, S., D.A. Forno, J.H. Cock, and K.A. Gomez. (1976) Laboratory manual for physiological studies of rice. p.78. IRRl
  10. 武田俊司 (1987) スルホ二ルウレア系除草の第一次作用點と選擇性機構. 日本雜草學會誌 12:759-768
  11. 服部金次郞, 草顧得一 (1977) 水田多年生雜草に對するベンタゾン粒劑の作用性とくに水管理の差異と處理效果について. 日本雜草學會誌. 22(別):83-85
  12. 권오연 (2000) 올방개(Eleocharis kuroguwai Ohwi)의 지상부 및 뿌리의 생육특성과 제초제 처리에 대한 생존반응.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3. 김순철 (1992) 벼 직파재배의 잡초발생생태와 효과적인 방제법. 한잡초지 12(3):230-260
  14. 김희동, 박중수, 서광기, 문미화, 조영철, 박경열, 최영진, 유창재, 심상우, 노영득 (1997) 경기지역의 논 잡초 분포 및 군락변화에 관한 연구. 한잡초지 17(1):1-9
  15. 신현승, 박재읍, 이한규. 유갑희, 이정운, 전재철 (1994) Sulfonylurea계와 pyrazol계 제초제의 벗풀에 대한 살초기작. 한잡초지, 14(2):112-119
  16. 신현승, 전재철, 이철규 (1992) 올방개 괴경의 萌芽와 재생후 생육에 미치는 Bensufluron-methyl의 영향. 한잡초지, 1291):1-7
  17. 이한규, 이인용, 유갑희, 이정운, 이은종 (1994) 올방개 방제용 제초제 benfuresate와 cinosulfuron의 생물적 특성 비교. 한잡초지 14(4):272-279
  18. 張暎熙, 草藤得一 (1982) 畓 多年生雜草 올미 및 올방개에 대한 除草劑 作用性에 관한 硏究. 한잡초지, 2(1):41-46
  19. 홍경식 (1998) 벗풀괴경의 저장양분 변화와 초기생육과의 관계 및 생육조절.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