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매장이미지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28초

OpenCV를 활용한 마스크 착용 확인 시스템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ask Wearing Face Detection System by OpenCV)

  • 황서진;문혜정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77-180
    • /
    • 2021
  •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하여 전 세계는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바이러스를 확산을 막기 위해서 실외에서는 마스크를 쓰는 것이 일상이 되었다. 하지만, 이를 따르지 않는 사람이 일반 시설에 방문할 때 이를 감지하고 경고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이 없어, 마스크 미 착용자로 인한 위험성 방지에 취약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OpenCV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마스크 착용 여부를 확인하는 시스템을 설계한다. Haar 특징기반 다단계 분류자를 이용하여 마스크 인식 프로세스를 설계하였으며, 마스크 착용 확인 시스템은 경량 컴퓨터인 라즈베리파이 장치 위에 구현하였다. 또한 확인된 사람의 이미지는 클라우드 시스템에 저장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누구나 손쉽게 해당 마스크 착용 확인 시스템을 중소 매장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코로나바이러스 확산 방지에 기여할 수 있다고 예상한다.

패션전문점에 있어서 벽의 시각적 기능에 관한 연구 (A visual function of wall in the fashion speciality store)

  • 송인호;최미정
    • 디자인학연구
    • /
    • 제12권4호
    • /
    • pp.263-272
    • /
    • 1999
  • 창조적 판매환경은 소비자에게 기업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소비욕구를 증진시키고 신뢰감을 형성하며, 이는 결과적으로 기업의 이윤확대로 이어지게 된다. 따라서 오늘날과 같이 기업간의 경쟁과잉으로 인해 그 차별성이 모호해진 경우 소비자의 개성충족을 위한 매장 디자인은 더욱 중요한 부분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와 무분별해진 상업공간의 이미지 차별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함에 있어서 벽을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였다. 패션전문점에서의 벽을 기존의 구조적이고 단순판매를 위한 진열적 성격의 한계성에서 벗어나 공간에서 시각적 기능을 가진 요소로 해석하였다. 기존 구조벽이 갖는 물리적인 중요성보다 상징적, 시각적 측면에서의 기능성과 구성방법의 측면에서 접근하였다. 또한 구조 내력벽을 중심으로 시지각(視知覺) 빈도가 높은 내벽면과 사인성을 가진 파사드의 상호연관성을 분석하여 패션전문점에서의 벽면 구성에 의한 효과적인 이미지 표현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지방도시에 입점하고 있는 종합슈퍼와 백화점에 대한 점포이미지 비교 분석 (A Study of the Images of General Supers and a Department Store in a Local City)

  • 김창곤
    • 유통과학연구
    • /
    • 제10권6호
    • /
    • pp.17-26
    • /
    • 2012
  • 도농 복합형태인 인구 30만인 순천시에 종합슈퍼와 백화점 등 대규모점포 4개가 운영 중인 것은 대규모점포의 과잉공급이라는 지적이 제기되어 왔다. 그러나 순천시는 전남 동부권의 교통요지로서 광양시, 여수시, 보성군 및 구례군 등 인근 지역에서 1 시간 이내에 점포방문이 가능하다. 4개 점포는 도시와 농촌 지역의 거주자도 고객층으로 간주하여 차별화된 점포이미지 구축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점포이미지 변수를 13개로 세분하여 각 점포의 이미지를 비교하였다. 점포이미지는 진열 상품의 다양성 및 품질, 점포 접근성, 매장 분위기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이러한 이미지는 고객들의 주관적 판단에 따라 각자에게 인지되고, 점포를 선택하는 주요 요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점포이미지 변수를 대분류 5개 소분류 13개로 분류하였다. SPSS Ver. 19를 이용한 요인분석에서는 5개로 대분류된 점포이미지가 3개의 요인으로 구분되어 추출되었다. 5개 대분류에서 편의성, 분위기 및 서비스 이미지로 분류된 이미지들이 첫 번째 공통요인으로 추출되었고 이를 본 연구에서는 부대서비스 요인으로 구분하여 기술하였다. 5개 분류에서 편의성 이미지로 분류되었던 접근성과 상품관련 이미지로 분류되었던 상품다양성과 가격 이미지는 같은 공통요인으로 추출되었다. 이는 점포가 위치하고 있는 지역이 대도시인가 또는 지방 중소도시인가, 설문 조사에 응한 집단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13개 이미지 변수에 대해서 점포간 및 응답자간 점포이미지 비교에서는 접근성, 가격, 브랜드 이미지 및 조명/음향 이미지에서 점포별 및 응답자 집단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두 가지 측면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도농복합형태의 지방 중소도시 거주자만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점포가 소재하고 있는 지역의 교통체증 정도, 응답자 집단의 생활수준 등에 따라 고객이 느끼는 점포이미지는 차이를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대규모점포를 이용하는 고객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지방 도시에는 비교적 규모가 큰 전통시장이 열리고 있으며, 대규모점포와 전통시장은 상품의 종류, 가격 등에서 경쟁을 하고 있다. 대규모점포를 이용하는 고객과 전통시장을 방문하는 고객이 느끼는 점포이미지는 다를 수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대도시 소재 점포와 지방 중소도시 소재 점포와의 동시 조사로 점포이미지에 대한 상대적 비교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동일 지역에서 대규모점포 이용 고객과 준대규모점포 또는 전통시장 이용 고객층에 대한 상대적 비교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커피전문점의 시장세분화와 소비자행동 차이 분석 : 카페베네 사례를 중심으로 (The Market Segmentation of Coffee Shops and the Difference Analysis of Consumer Behavior: A Case based on Caffe Bene)

  • 우종필;윤남수
    • 유통과학연구
    • /
    • 제9권4호
    • /
    • pp.5-13
    • /
    • 2011
  • 본 연구는 커피전문점 중에서 최근 매장 수 기준으로 선두를 유지하고 있는 카페베네를 대상으로 선택속성에 따른 시장을 세분화하고 세분시장에 대한 프로파일(profile)에 바탕을 둔 세분시장 분석, 그리고 세분시장별 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커피전문점 특히, 카페베네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전략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랜차이즈 커피전문점 선택속성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가격', '분위기', '편안함', '맛', '입지' 등 5개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도출된 요인을 이용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3개의 세분시장으로 분류되어, 각각 '분위기 추구집단', '편리함 추구집단', '맛 추구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군집변수에 대한 판별분석 결과, 군집분석에 이용된 변수의 시장세분화 기여도가 매우 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입지요인과 분위기 요인이 군집분석에 대한 기여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세분시장별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분위기 추구집단'의 경우 20대 초반 연령대의 여성으로서 인지경로가 '길을 걷다가'와 '지인을 통해서'인 경우가 많은 주로 옥외광고 및 소개를 통해 매장을 찾는 집단인 것으로 나타났다. '편리함 추구집단'은 여성고객이 많으며 20대 초반의 대학생 또는 전문직 종사자인 경우가 많고, 타 집단에 비해 카페베네의 추천의향이 높게 나타나 충성도가 높은 집단으로 나타났다. '맛 추구집단'은 타 집단과는 달리 20대 후반의 대학졸업 이상의 학력자가 많았으며, 추천의향이 비교적 낮아 충성도가 낮은 집단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세분시장에 대한 만족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one-way ANOVA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메뉴 만족과 전반적 만족 각각에서 세분시장별 유의적인 차이를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선택속성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집단일수록 메뉴 만족이나 전반적 만족을 크게 지각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고객이 커피전문점을 선택할 때 가격, 분위기, 편안함, 맛, 입지 등을 중요하게 고려하며, 세분시장에 따라 인구통계적 특성의 차이를 보이고 있어 세분시장별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 수립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즉, '분위기 추구집단'의 경우 매장의 분위기나 편안함에 대해서는 높은 만족감을 표시하는 한편, 가격에 대해서는 낮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이 집단이 10대 후반 및 20대 초반의 연령대가 많으며, 경제적인 문제로 인해 가격에 부담감을 갖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따라서 일률적인 가격정책 보다는 시즌별 가격차별화, CRM시스템 구축을 통한 개인별 다양한 가격할인 혜택 등의 정책으로 가격부담을 완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편리함 추구집단'은 입지나 매장의 편리함에 대해서는 비교적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으며, 타 집단에 비해 20대 초반의 여성고객이 많고 학생과 전문직 종사자가 많으며 카페베네의 추천의도가 가장 높은 집단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충성고객 집단에 대해서는 봉사 활동 및 사회적 기업으로서의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전달함으로써 기업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를 심어주는 것이 필요하다. '맛 추구집단'의 경우 맛이나 입지에 대한 만족수준이 높은 반면, 추천의향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 집단은 주로 20대 후반으로서 대학 졸업 이상 고학력의 전문직 종사자가 많은 편이다. 따라서 다양한 메뉴 제공이나 커피의 품질 관리를 통해 맛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는 한편, 상대적으로 만족수준이 낮은 가격에 대한 불만요인을 줄일 수 있도록 직장인이나 전문직 종사자에 대한 할인혜택 제도 등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한편, 본 연구는 서울 소재 카페베네 매장 만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이러한 연구 결과를 카페베네의 전체매장 혹은 전체 커피전문점에 그대로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향후에는 다양한 커피전문점, 서울 이외의 지역, 그리고 다양한 직업군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이루어짐으로써 연구의 객관적 타당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된 변수인 메뉴 만족이나 전반적 만족 이외에 신뢰, 고객충성도, 전환비용 등 다양한 변수를 이용한 연구가 이뤄져야 할 것이다.

  • PDF

매장 문화재 공간 분포 결정을 위한 지하투과레이더 영상 분석 자동화 기법 탐색 (Automated Analyses of Ground-Penetrating Radar Images to Determine Spatial Distribution of Buried Cultural Heritage)

  • 권문희;김승섭
    • 자원환경지질
    • /
    • 제55권5호
    • /
    • pp.551-561
    • /
    • 2022
  • 지구물리탐사기법은 매장 문화재 조사에 필요한 높은 해상도의 지하 구조 영상 생성과 매장 유구의 정확한 위치 결정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 이 연구에서는 경주 신라왕경 중심방의 고해상도 지하투과레이더 영상에서 유구의 규칙적인 배열이나 선형 구조를 자동적으로 구분하기 위하여 영상처리 기법인 영상 특징 추출과 영상분할 기법을 적용하였다. 영상 특징 추출의 대상은 유구의 원형 적심과 선형의 도로 및 담장으로 캐니 윤곽선 검출(Canny edge detection)과 허프 변환(Hough Transform) 알고리듬을 적용하였다. 캐니 윤곽선 검출 알고리듬으로 검출된 윤곽선 이미지에 허프 변환을 적용하여 유구의 위치를 탐사 영상에서 자동 결정하고자 하였으나, 탐사 지역별로 매개변수를 달리해서 적용해야 한다는 제약이 있었다. 영상 분할 기법의 경우 연결요소 분석 알고리듬과 QGIS에서 제공하는 Orfeo Toolbox (OTB)를 이용한 객체기반 영상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결 요소 분석 결과에서, 유구에 의한 신호들이 연결된 요소들로 효과적으로 인식되었지만 하나의 유구가 여러 요소로 분할되어 인식되는 경우도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객체기반 영상분석에서는 평균이동(Large-Scale Mean-Shift, LSMS) 영상 분할을 적용하여 각 분할 영역에 대한 화소 정보가 포함된 벡터 레이어를 우선 생성하였고, 유구를 포함하는 영역과 포함하지 않는 영역을 선별하여 훈련 모델을 생성하였다. 이 훈련모델에 기반한 랜덤포레스트 분류기를 이용해 LSMS 영상분할 벡터 레이어에서 유구를 포함하는 영역과 그렇지 않은 영역이 자동 분류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자동 분류방법을 매장 문화재 지하투과레이더 영상에 적용한다면 유구 발굴 계획에 활용가능한 일관성 있는 결과를 얻을 것으로 기대한다.

VMD 구성요소가 점포이미지와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의류매장의 실내색상과 상품수량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VMD Components on Consumers' Store Image and Preference - focused on interior color and product volume of clothing shop-)

  • 이미숙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47-257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terior color and product volume of clothing shop on consumer's store image and preference for a clothing shop. The research methodology was a survey questionnaire and the subjects were 516 university students in Daejeon, Korea. The measuring instruments were stimuli and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 The stimuli were 7 pictures of clothing shop including interior color and product volume variables, and the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 consisted of semantic differential scales for store image, store preference, and subject's demographic attribution.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M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based on SPS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clothing shop's interior colors affecting store image and preference for clothing shop, white color gave a casual, sophisticated, characteristic, and attractive image to the shops, and brown color gave an elegant, sophisticated image, while black color gave a sophisticated, uncomfortable image, and gray color gave a less positive image to them than other colors. Subjects preferred white, brown, and black color in the order. Second, clothing shop's products volume also affected consumers' store image and preference. Its small volume gave a more sophisticated, elegant image than other volume levels, and subjects preferred small and medium volume of clothing products to their large volume. Third, the effects of shop's interior color and clothes' product volume on store image were different depending on subject's sex. The results revealed that clothing shop's interior color and product volume are important VMD components affecting consumer's store image and preference, and consumer's sex has to be considered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VMD components on clothing shop image.

청주 무심천과 남석교에 관한 역사지리적 고찰 (Historical Geography of Mu-Sim River and Nam-Suk Bridge in Chongju City)

  • 예경희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37-460
    • /
    • 2003
  • 통일신라시대의 서원경성의 위치는 청주읍성 지역이 되고 있다. 청주의 매장 문화재인 남석교는 신라 진흥왕 19년 무인년(588년)에 수선했다는 기록으로 보아 남석교의 원조는 그 이전으로 소급될 수 있고 그 후에 수차에 걸쳐 개축되었다는 사실도 알 수 있다. 조선시대 청주읍성의 남북 주축도로는 남문을 통과하고 있고 남문 밖의 시장의 발달로 인하여 남문 밖의 무심천에 위치한 남석교의 역할은 지대할 수밖에 없다. 남석교에서 유래된 대교천의 명칭은 조선 철종 12년(1861년)까지는 대교천으로 불렸고 고종 8년(1871년)에는 무성천으로도 불렸으며 광무 2년(1902년) 이후에는 무심천으로 부르게 되었다고 짐작된다. 청주는 풍수지리와 무심천의 지명유래 등으로 부정적인 이미지를 지니기도 하였지만 점차 긍정적인 이미지로 변화되고 있다. "남석교 사적비"는 1907년까지는 존재하였지만 "표석"과 더불어 유실되었고 "남석교"는 $1931{\sim}1932$년 간의 석교동 제방공사 때문에 매몰되었으며 이러한 문화재들은 가치가 매우 크므로 복원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스포츠 매장의 전회에 따른 정보 탐색과 시각적 이해 특성 - 원-공간과 전회-공간의 이미지 비교를 통해 - (Searching of Information on Reverse left/right Space in Sports-Shop and Features of Its Visual Appreciation - Through Comparison of Original and Reverse left/right Image Space -)

  • 김종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5권5호
    • /
    • pp.71-81
    • /
    • 2016
  • This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with the objects of sporting goods shops to find out what structure of those shops raises more interest from customers. The tracking eyes on the objects which are the same but seen to have different structures has revealed the followings. Customers' visual appreciation of Reverse left/right Images (11.1)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at of Original Images (10.6). Furthermore, the reverse left/right image of the space also was found to attract more interest from customers, which led them to have longer observation. The below is about the interpretation of the spatial exploration by observation time and the appreciation of its visual content in line with the experiment objects of selling spaces. The longer the space was observed, (1)the higher the expansive searching of space was, (2)the more spots were observed as if they did not know what to see after they first observed at early hours, (3)later (in the time range of 64~73 seconds) they came to look at the spots in which they got interested, (4)and then again they suddenly got lost what to see. When the change of observation characteristics by time range is reviewed, it can be seen that the searching of original images is changed from Divergent Feature to Convergent Feature when the observation time increases from the early stage of observation to the later. On the contrary, the reverse left/right images were found to have the opposite searching features, that is, from convergent exploration to divergent exploration. These findings show that the reverse left/right images of the sporting goods shops, which were the experiment objects, have more factors attracting customers' attention and interest and that it is the very shop-structure which makes customers have better visual appreciation of those shops.

커피전문점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특성이 고객 재구매 의사 결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pplication Attributes of Coffee Chains on Consumer's Repurchase Decision-Making Processes)

  • 장항;김효은;김병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9호
    • /
    • pp.137-14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커피전문점의 애플리케이션 특성이 고객들의 재구매 의사 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커피품질, 서비스 품질, 물리적 환경을 커피 전문점의 주요 서비스 품질로 고려하였고, 개인화, 유용성, 경제성, 편리함을 애플리케이션의 주요 특성으로 고려하였다. 이 애플리케이션 특성은 고객 만족과 재구매 의도 사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커피 전문점에 자주 방문하면서 관련 매장 애플리케이션을 가지고 있는 382명 을 대상으로 연구 모형을 검증하였으며, PLS를 활용하여 연구 모형을 분석하였다. 제안한 연구 모형은 고객 만족 분산의 48.1%를 설명하였고, 재구매 의도 분산의 41.6%를 설명하였다. 분석 결과, 개인화와 편리함은 고객들의 재구매 의사 결정에 유의한 조절 효과를 보였다. 커피 품질과 물리적 환경은 고객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지만, 서비스 품질은 고객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브랜드 이미지는 고객 만족과 재구매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패션소매점포 매장 인테리어 색상의 친환경 점포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및 소비자 환경인식 조절 효과 연구 (A study of the effect of interior colors of fashion retail stores on green store image and moderation of environmental concern)

  • 이은정
    • 복식문화연구
    • /
    • 제26권3호
    • /
    • pp.377-389
    • /
    • 2018
  • Consumer interest in eco-friendly fashion products has been consistent. While most relevant research emphasizes individual morals and environmental concern as the most crucial determinants to eco-friendly consumption behavior, more recent studies point out that in so doing there has been somewhat a neglectance on the importance of fundamental marketing strategies. More specifically, the crucial role of interior colors in fashion retail stores has been managerially considered something certain yet no empirical results have been found to support such a strong managerial assumption. For instance, colors such as green, blue, and brown are believed to represent natural images and are more appropriate to the eco-friendly marketing and the relevant research has been lacking.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effect of in-store interior design colors (green versus non-green) on consumer perception of green store images. A total of 382 respondents were gathered for an online survey using differing store images as the stimulus and used for testing hypotheses. In the results, respondents exposed to store images using green interior colors reported a higher evaluation of green store image of the store. The effect is found to be significantly moderated by respondent's environmental concern: to explain, respondents of high environmental concern are less influenced by green color interiors when they evaluate the brand's eco-friendly image. In sum, the positive influence of green interior colors on green store image is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its stronger effect for consumers of low concern. Managerial and academic discussions are provi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