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visual function of wall in the fashion speciality store

패션전문점에 있어서 벽의 시각적 기능에 관한 연구

  • 송인호 (성균관대학교 예술학부 디자인학전공) ;
  • 최미정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디자인전공)
  • Published : 1999.11.01

Abstract

Creative environment for sales that a company's image can be effectively delivered to consumers increases consumption desirability and puts confidence in products. Thus, it can be resulted in increasing company's profit. However, nowadays commercial spaces do not show their differences from others due to an excessive competition. Therefore, groping a differentiated composition for commercial spaces should be importantly considered because consumers wants to meet their own individuality in the fashion speciality st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in present the way of differentiating images for commercial spac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ole of a wall in commercial spaces should be reconsidered. The concept of a wall in fashion store in the past was understood as one of the structures in the building and a place that displays commodities for sales. However, this paper introduces a new concept of a wall as an important visual function in the fashion store. In other words, the new concept emphasized functions and compositions of a wall in the perspective of symbolic and visual sides, instead of a physical side. Moreover, this paper pres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nal side of a wall which has a high frequency of visually and the external side of a wall which has a signaling effect to the consumers. Finally, this paper shows effective way of expressing company's image in the fashion store by adopting the new concept of a wall composition.

창조적 판매환경은 소비자에게 기업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소비욕구를 증진시키고 신뢰감을 형성하며, 이는 결과적으로 기업의 이윤확대로 이어지게 된다. 따라서 오늘날과 같이 기업간의 경쟁과잉으로 인해 그 차별성이 모호해진 경우 소비자의 개성충족을 위한 매장 디자인은 더욱 중요한 부분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와 무분별해진 상업공간의 이미지 차별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함에 있어서 벽을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였다. 패션전문점에서의 벽을 기존의 구조적이고 단순판매를 위한 진열적 성격의 한계성에서 벗어나 공간에서 시각적 기능을 가진 요소로 해석하였다. 기존 구조벽이 갖는 물리적인 중요성보다 상징적, 시각적 측면에서의 기능성과 구성방법의 측면에서 접근하였다. 또한 구조 내력벽을 중심으로 시지각(視知覺) 빈도가 높은 내벽면과 사인성을 가진 파사드의 상호연관성을 분석하여 패션전문점에서의 벽면 구성에 의한 효과적인 이미지 표현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