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매장이미지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36초

패밀리레스토랑의 선택속성이 브랜드이미지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Family restaurant's selection attributes are brand image, Effect on revisit intention)

  • 서경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111-117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패밀리레스토랑에 대한 고객들의 선택속성 요인과 브랜드 이미지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패밀리레스토랑의 하위요인인 브랜드, 매장, 가격이 고객들의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가격, 매장/서비스가치, 브랜드가치, 음식이 미치는 영향과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브랜드 이미지와 패밀리레스토랑 선택속성 4가지(가격 속성,매장/서비스 속성, 브랜드 속성 음식 속성)중 중요도에 가장 유의한 관계에 있는 선택속성은 패밀리레스토랑 매장의 청결 및 위생 상태와 패밀리레스토랑 매장의 음식의 메뉴와 질로 나타났고, 패밀리레스토랑 선택속성 4가지 중 필요도에 가장 유의한 관계에 있는 선택속성은 패밀리레스토랑 매장의 영양이 풍부한 음식의 인식, 패밀리레스토랑 매장의 음식의 맛과 영양성, 패밀리레스토랑 매장의 음식의 메뉴와 질로 나왔다. 따라서 패밀리레스토랑을 선택속성 중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가격속성과 매장/서비스 속성이라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향후 패밀리레스토랑 경영의 전략적인 방안을 통한 발전방안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브랜드 이미지 향상을 위한 색채계획 기초연구 (Basic Research on Color Planning for Enhancing Brand Image)

  • 김수정
    • 감성과학
    • /
    • 제9권1호
    • /
    • pp.63-75
    • /
    • 2006
  • 본 연구는 브랜드 커피의 온 오프라인 매장의 색채 이미지 통일을 통하여 브랜드 이미지 향상을 이루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된 기초연구이다. 소비자에게 비춰진 색채 이미지와 브랜드 자체의 고유 색채전략과의 일치성 측정하기 위해 온 오프라인 매장의 색채 이미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브랜드 선호도 조사를 통하여 브랜드 선호도와 온 오프라인 매장의 색채 이미지 통일 간의 관계를 밝히려했다. 브랜드 고유의 색채전략에 기초하여 오프라인 매장의 색채 이미지와 통일성을 가진 웹 색채계획을 통해서 효과적인 색채전략을 수립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둔다. '브랜드 커피의 색채전략에 관한 연구'를 선행연구로 하여 선행연구에서 논의된 온 오프라인의 통합색채전략의 필요성에 인식을 같이하여 구체적 해결과제로 시작된 연구로 웹 사이트 설계 시 색채계획의 차원으로 접근하였다. 색채 이미지의 분석을 위해 사용한 두 가지 기준으로는 색채의 감성적 측면과 색채의 기능적 측면인데 이를 측정하기 위한 기준으로 I.R.I.의 색이미지 척도와 사또루후지의 색채정보전달의 5가지 요인을 사용했다. 오프라인의 자극물을 인쇄물로만 제한했던 선행연구의 제한점을 보완하여 오프라인 매장을 직접 방문하여 조사하는 방법의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오프라인 매장의 전반적인 색채 이미지 조사를 가능하게 하였으며, 웹 사이트 색채 계획 시 유의해야 할 사항들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실제적인 가이드라인으로 제공하려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브랜드 고유의 색채전략 을 기초로 한 온 오프라인의 색채 이미지 통일을 이루며 이를 통한 총체적인 브랜드 이미지 향상에 본 연구가 기여되길 기대한다.

  • PDF

통신회사의 SI(Store Identity)가 소비자의 브랜드 이미지 정보전달에 관한 연구(한국통신회사 SI와 해외의 유명 통신회사SI 비교를 통하여) (A Study on the delivery of brand image information to consumers by telecom companies' SI(Store Identity) (through comparing SI between Korea telecom companies and foreign famous telecom companies))

  • 김종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2639-2644
    • /
    • 2013
  • 휴대폰 사용자의 폭발적인 증가와 제품의 빠른 교체주기로 인하여 이동통신사 간의 마케팅 경쟁이 매장으로 확산되면서 매장을 새롭게 단장하는 리뉴얼 주기가 짧아지고 있다, 주요 이동통신사가 간판을 포함한 매장 리뉴얼은 소비자에게 자사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강하게 심기 위한 목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소비자들은 매장이 단순히 값싸고 질 좋은 제품을 판매만 하는 것이 아니라, 매장, 제품, 서비스에 대해 느끼고 수용할 수 있도록 고객 체험을 제공할 것을 바라고 있다. 특히 이동통신사 대리점의 경쟁이 치열해 매장수가 많이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고 최근에는 리뉴얼 시 단순 CI(Corporate Identity) 교체에 의미를 두기보다 매장의 인테리어에서 익스테리어까지 통합된 이미지로 바꾸는 SI(Store Identity) 개념을 적용해 매장들을 바꾸고 있다. 인테리어,Sign 등의 비주얼 요소를 일관성 있게 설계 및 디자인하여 매장 내, 외부에 적용하여 소비자에게 호의적인 매장 이미지를 심어주고 궁극적으로 매출액 증대에 큰 영향을 미치게 하는 요소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활동은 기업이 Identity관리를 통해 이미지를 컨트롤 할 수 있으며 마케팅 측면에 매우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이동통신사와 해외 이동통신사의 SI를 비교분석하고 효과적인 SI의 방향을 제언하는데 목적을 둔다.

꼬마 손님을 신나게 하는 매장 소품 ‘인형’

  • 대한제과협회
    • 베이커리
    • /
    • 12호통권413호
    • /
    • pp.74-76
    • /
    • 2002
  • 크리스마스다. 제품 준비하랴, 이벤트거리 챙기랴, 제과점에서는 일년 중 가장 분주한 시기이기도 한다. 크리스마스의 이미지에 맞춰 ㅂ매장 데코레이션을 새롭게 손보는 것 또한 매출 증대를 위해 점주가 빼놓지 않고 해야 할 일 중 하나다. 크리스마스가 되면 누구보다 신이 나는 것은 아이들. 이번 겨울에는 아기자기하고 따뜻한 느낌의 인형을 매장 소품으로 활용해 보자. 매대에 하나씩 놓아주기만 해도 꼬마 손님들의 기분을 더욱 신나게 할 수 있다. 올해 크리스마스 유행 컬러인 ‘화이트’를 기본으로 한 인형 소품을 소개해본다.

  • PDF

구매심리의 단계와 가중치에 따른 VMD 감성평가 -의류브랜드를 중심으로- (Evaluation of VMD Sensibility according to Purchasing Psychological Steps and Weights)

  • 나영주;이은희;황진숙;고선주
    • 감성과학
    • /
    • 제10권2호
    • /
    • pp.187-198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판매매장별 구매심리에 따른 디스플레이 항목 에 대한 전문가 평가와 매장 방문 고객을 대상으로 한 반응 설문조사를 병행하여 실제 판매환경에서의 VMD에 대한 통합적 분석을 행하고, 브랜드 감성과의 일치성, 브랜드 감성 형성 요인 등을 조사하여 판매 매장별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거리숍이 백화점내 매장보다 고객의 시선을 사로잡고 구매자극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각적 만족과 매장 방문 만족도는 고객의 구매의지와 비례관계에 있었으며 전문가에 의한 감성평가와 고객의 제품구매의지는 상관이 있었다 구매심리단계별 VMD 요소의 부족한 점과 이행이 잘 되는 점을 상호보완하면 각 판매 환경에서 VMD로 인한 즐거운 쇼핑문화를 이룩하고 또한 구매효과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고객반응을 바탕으로 한 소비자 조사를 통하여 매장 VMD 효과를 분석하고 상품구매 욕구와의 연관성을 이끌어냄으로써 소비자 조사 결과가 유용한 방법이다. VMD가 이뤄지는 곳은 실제 판매환경인 매장이므로 VMD의 효과와 고객반응에 대한 조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이동통신 회사 매장의 V.M.D(Visual Merchandising Design) 환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M.D(Visual Merchandising Design) Environment of Mobile Telecommunication Company Store)

  • 김종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1589-1594
    • /
    • 2013
  • V.M.D는 모든 공간과 환경 및 시각적 자극요인을 다루며 건축물의 외관뿐만 아니라 인테리어, 그래픽 사인물, 윈도우 디스플레이, 레이아웃, 매장내의 집기, 조명, 판매원의 외모 접객 태도까지 포함된다. 좋은 품질과 디자인이 훌륭한 상품을 매장에 진열 했으나 고객이 매장에 방문하지 않는다면 상품 판매는 이뤄지지 않는다. V.M.D는 상품을 고객이 매장 안으로 이끌 수 있게 진열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출을 하여 브랜드 이미지를 높이며 지속적으로 고객 유치를 위한 모적을 두었다. 과거 화려하고 고급스런 인테리어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만 강조하던 개념에서 탈피하여 상품을 논리적이고 체계화된 방식으로 진열하여 소비자에게 구매를 유도하며 정보를 제공하고 매장의 환경을 디자인함으로 고객의 머릿속에 브랜드 이미지를 심어주는 것이다. 본 연구는 매장 내에 설치된 V.M.D소비자 선호도를 분석하여 향후 지속적으로 전개될 통신업계 대리점 디스플레이의 바람직한 매장 V.M.D조건을 제시하고자 한다.

Kano 모델 및 잠재적 고객만족 개선 지수를 이용한 화장품 매장 서비스 품질 개선 우선순위 (Quality Improvement Priorities for Cosmetic Store Service Using Kano Model and Potential Customer Satisfaction Improvement Index)

  • 송지안;장성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342-353
    • /
    • 2020
  • 본 연구는 Kano 모델의 이원적 품질분류와 잠재적 고객만족 개선 지수(PCSI Index)를 기반으로 드럭스토어와 백화점 내 화장품 매장의 서비스 품질을 비교, 분석하여 서비스 품질 개선 우선순위 요소들을 파악하고, 제시함으로써 화장품 매장의 서비스 품질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Kano 모델 분석의 평가이원 표에 대입하여 품질 특성을 분류하고, 고객만족 계수(CSC)와 PCSI 지수를 이용해 화장품 서비스 품질 요소들의 개선 우선순위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Kano 모델을 활용한 분석에서 드럭스토어와 백화점 화장품 매장 서비스 품질 요소에 대한 대부분의 항목이 매력적 품질 요소로 평가되었다. PCSI 지수 비교 결과, 드럭스토어 화장품 매장의 경우 '신뢰성', '반응성', '공감성' 항목이, 백화점 내 화장품 매장의 경우 '공감성', '신뢰성' 항목의 품질 요소들이 개선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해당 요소가 개선될 경우 고객 만족도가 향상될 잠재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드럭스토어와 백화점 화장품 매장의 서비스 품질 분류 및 고객 만족도 향상을 위한 개선 우선순위가 파악됨으로써 실무적인 시사점이 제공되어, 향후 고객 만족도 향상을 위한 지침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점포개성 척도를 이용한 커피전문점 브랜드 이미지 포지셔닝 (A Study on Coffee Shop Brands Image Positioning by Store Personality Scale)

  • 이동한;이창주;이형근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4권1호
    • /
    • pp.25-53
    • /
    • 2013
  • 국내 커피전문점 시장은 지난 1999년 스타벅스가 매장을 개설한 시점으로부터 10여년 이상의 시간이 경과하면서 양적으로도 급격한 성장을 지속하여 왔다. 최근에는 각 커피전문점 브랜드별로 경쟁이 가속화되면서 맛이나 서비스의 차이가 줄어드는 경향을 보이는 등 성숙기 시장의 특성을 보이고 있다. 경쟁이 매우 치열해지는 성숙기 시장에서는 제품 및 서비스 차별화와 가격 프리미엄의 확보를 위해서는 차별적인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성숙기에 진입한 국내 커피전문점 시장의 주요 5개 브랜드에 대해 점포개성 척도를 사용하여 현재의 포지셔닝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 소비자들은 커피전문점 브랜드를 국내 중소기업 전문브랜드와 외국 전문브랜드로 나누거나, 매장의 규모가 큰 매장이 다수인 브랜드와 소규모 매장이 많은 브랜드로 구분하여 인식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소비자들이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브랜드의 점포개성은 신뢰, 세련, 매력이라는 점을 발견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파악된 각 커피전문점의 점포개성 이미지 강약점을 토대로 강점은 강화하고 약점을 보완하기 위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해야 할 것이다.

럭셔리 패션 브랜드 팝업매장에서의 소비자 체험, 이미지 인식, 구전의도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독립형과 백화점 입점형 팝업매장을 중심으로 -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experience, image perception, and word-of-mouth intention in standalone pop-up stores and pop-ups within department stores)

  • 박주영;박인형;오예우;정재은
    • 복식문화연구
    • /
    • 제32권2호
    • /
    • pp.260-286
    • /
    • 2024
  • This study investigates consumer experiences and word-of-mouth (WOM) intentions in luxury brand pop-up stores, including standalone and department store setups. Grounded in experience economy theory, this study examines the experiential elements based on the types of pop-up stores and the relationships among consumer experience, pop-up store image, and WOM intentions for each type. Data were collected from 300 visitors to luxury brand pop-up stores between January and July 2023 and analyzed using Smart PLS 4.0. The findings reveal several key insights. First, standalone pop-up stores offer educational and escapist experiences, while pop-ups within department stores have a single identified factor of consumer experience. Second, regardless of the store type, luxury pop-up store experiences significantly influence pop-up image perceptions. Third, luxury pop-up store image drives WOM intentions for both standalone and department store pop-ups. Notably, the unique image significantly impacts solely department store pop-ups and does not influence standalone pop-ups. Moreover, image perceptions in both pop-up store types do not significantly affect brand WOM intentions. Finally, WOM intentions for pop-up stores significantly influence WOM intentions for brand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consumer experiences in luxury pop-up stores, providing practical insights for stakeholders in the luxury brand industry to enhance pop-up store image perceptions and WOM inten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