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매미목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3초

남부지방의 잡초천적곤충 조사 (Phtophagous Insects Associated with Weeds in Southern Part of Korea)

  • 추호렬;우건석;;이영인;문수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47-54
    • /
    • 1988
  • 남부지방의 산야에 분포하는 잡초가해곤충의 자원조사를 하기 위하여 1987년 4월부터 7월에 걸쳐 소백산, 지리산, 와룡산, 경남각지에서 채집한 결과 딱정벌레목은 12과 52속 61종 노린재목은 7과 18속 20종, 매미목은 4과 16속 21종, 벌목은 2과 2속 3종, 메뚜기목은 2과 6속 6종등이 58종의 잡초에 기록되었다. 그중에서 잎벌레류와 메뚜기류는 잡초방제의 중요한 생물인자임이 밝혀졌다.

  • PDF

한국산 인도볼록진딧물속 Indomegoura (매미목, 진딧물과)의 분류학적 연구 (Taxonomy of the Genus Indomegoura (Hemiptera, Aphididae) in Korea)

  • Lee, Seung-Hwa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7권1호
    • /
    • pp.21-28
    • /
    • 2001
  • 한국산 인도볼록진딧물속 (Indomegoura)을 정리하여 2종을 확인하였으며, 이 중 꼬마볼록진딧물 (I. nigrotibiae)을 한반도에서 처음으로 보고한다. 각 종에 대한 형태적 기술과 더불어 종 검색표를 작성하고, 기주식물 및 생활사에 대하여 논하였다.

  • PDF

국내 매미나방(나비목: 태극나방과) 천적 및 매미나방 핵다각체병바이러스의 유전적 다양성 조사 (Natural Enemies of the Asian Gypsy Moth, Lymantria dispar asiatica (Lepidoptera: Erebidae) and the Genetic Variation Analysis of L. dispar Multiple Nucleopolyhedrovirus)

  • 황활수;이영수;이희아;최덕수;이경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0권4호
    • /
    • pp.379-386
    • /
    • 2021
  • 아시아계통의 매미나방(Lymantria dispar asiatica) (나비목: 태극나방과)은 국내 토착해충으로서 지역에 따라 돌발적으로 대발생한 사례가 있으며, 다양한 수목 및 농작물에 피해를 끼치는 광식성 해충이다. 특히 2019년 이후로 경기도, 충청도, 경북 북부지역에서 대발생하여 산림 및 인근지역 도심에 발생하여 산림 및 도시민들의 정서적 피해를 끼치기도 했다. 본 연구에서는 2020-2021년 경북 예천지역에서 알집을 채집하여 사육한 결과, 매미나방 핵다각체병바이러스(LdMNPV) 감염에 의해 79.65% (321/403마리)는 사육중 사망하였다. 염기서열 분석은 2021년 국내 12 지역에서 매미나방 유충을 36마리를 조사한 결과, LdMNPV의 late expression factor-8 (lef-8), polyhedrin (polh) 유전자의 종내변이율이 0.80%, 0.86%로 확인됐다. NCBI database 자료와 비교 분석한 결과 일본의 LdMNPV와 가장 유사했으며, 터키의 LdMNPV와 가장 큰 차이를 나타냈다. 본 조사를 통하여 LdMNPV는 높은 감염율을 나타냈고 매미나방 중요한 개체군 조절인자중 한가지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북한산국립공원 산림해충의 분포 (Distribution of Forest Insect Pests in Bukhansan National Park, Korea)

  • 이총규;조현서;류동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75-82
    • /
    • 2008
  • 북한산 국립공원의 도봉산지역에서 채집된 산림해충은 5목 29과 76종이었다. 이들 중에 나비목은 9과 24종, 딱정벌레목 9과 23종, 매미목 4과 20종, 노린재목 5과 6종, 벌목은 2과 3종으로 확인되었다. 송추 골이 5목 28과 66종, 회룡 골이 5목 19과 41종이었다. 중점관리해충으로 광릉긴나무좀(Platypus koryoensis), 암청색줄무니밤나방(Arcte coerulea), 참나무겨울가지나방(Erannis golda)이 확인되었고, 왕침노린재(Isyndus obscurus)이 포식성 천적으로 분류 되었다.

매미나방(Lymantria dispar) 발육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 (Effects of Temperature on the Development of Gypsy moth (Lymantria dispar))

  • 조아해;김효정;이진희;김지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2권4호
    • /
    • pp.385-388
    • /
    • 2023
  • 매미나방(Lymantria dispar)은 나비목(Lepidoptera) 독나방과(Lymantriidae)에 속하는 해충으로 매미나방은 한국, 일본, 시베리아, 유럽, 북아메리카 등에 분포하며, 주로 배나무, 사과나무, 블루베리 등의 식물을 가해하는 광식성 해충이다. 매미나방은 수목해충으로 관리되어 왔으나 최근 산림 발생지 인접 농경지로 유입 빈도가 높아지면서 방제 대책이 수립되지 않은 농작물에 피해가 심하다. 본 연구는 매미나방(L. dispar)의 방제기술의 일환으로 매미나방 발육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2021년 전라남도 장흥군 황금측백나무에서 채집한 알집을 이용해 18, 21, 24, 27, 30, 33℃ (14L:10D, 상대습도 60±5%) 항온조건에서 온도별, 발육단계별 발육기간을 조사하였다. 매미나방 유충의 발육속도는 온도가 높을수록 빨라졌으나, 매미나방 유충의 생존율이 33℃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발육적온은 30℃였으며, 30℃에서 총 발육기간은 암컷 43.8일, 수컷 42.5일 소요되었다. 암컷과 수컷 발육영점온도는 각각 13.1℃, 12.5℃, 유효적산온도는 각각 641.1 DD, 657.8 DD였다.

무궁화 해충의 천적과 종류 (Insect Pests and Natural Enemies of Hibiscus syriacus in Korea)

  • 박형순;정헌관;조윤진;김세현;김형환;김지수
    • 한국토양동물학회지
    • /
    • 제9권1_2호
    • /
    • pp.1-5
    • /
    • 2004
  • 2002년에서 2004년까지 3월에서 11월 사이에 무궁화를 가해하는 해충과 천적에 관해 조사한 결과 해충은 5목 9과 12종, 비곤충류 2목과 2과 2종이 조사되었다. 목별로는 매미목(Homoptera) 5종과, 나비목(Lepidoptera) 3종, 딱정벌레목(Coleoptera) 2종, 메뚜기목(Orthoptera) 1종, 노린재목(Hemiptera) 1종, 응애목(Acarina) 1종, 병안목(Stylommato-phora) 1종이 조사되었다. 무궁화 해충 중 목화진딧물, 무궁화잎밤나방 그리고 점박이응애등이 피해가 심하여 방제를 요하는 주요해충이었다. 목화진딧물은 5월~6월, 무궁화잎 밤나방은 7월~8월, 점박이응애는 6월~8월에 밀도가 높았다. 무궁화에서 발견된 천적 및 병원성 미생물은 세균 1종, 병원성 곰팡이 3종, 노린재목 1종, 딱정벌레목 1종, 벌목 1종 파리목 2종, 응애강 1종 등 11종이 조사되었다. 목화진딧물 포식성 천적은 진디혹파리(Aphidoletes aphidimyza), 꽃등에류(Eristalis sp.), 무당벌레(Harmonia axyridis), 기생성 천적은 싸리진디벌(Aphidius gifuensis), 병원성 미생물은 Verticillium lecanii, Beauveria bassinan가 조사되었다. 무궁화잎밤나방 기생성 천적은 고치벌류(Cotesia sp.), 병원성 미생물은 Bacillus thuringiensis, B. bassiana, Meterhizium anisopliae가 확인되었다. 점박이응애 포식성 천적은 긴털이리응애류(Amblyseius sp.), 애꽃노린재류(Orius sp.)가 조사되었다.

  • PDF

백두산에서 채집한 극동아시아 미기록종 Glyphina betulae(매미목, 진딧물과, 납작진딧물아과)의 보고 (Glyphina betulae(Hemiptera, Aphididase, Thelaxine)New to the Far Eastern Asia from Mt. Baekdusan, North Korea)

  • Lee, Seunghwan;Jaroslav Holman;Jan Havelka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7권2호
    • /
    • pp.179-184
    • /
    • 2001
  • 북한 백두산 지역에서 채집한 진딧물표본 중 현재까지 극동아시아지역에서 기록되지 않은 Glyphina betulae (Linnaeus, 1758)(털납작진딧물, 신칭)를 확인하였다. 무시성충과 유시성충의 형태 특징과 계량형질, 무시성충에 대한 외부형태의 도해 및 생활사, 기주, 분포 등을 기술하였다.

  • PDF

한국의 면충과 (매미목:진딧물상과)에 관한 분류학적 연구 (Taxonomic Study on Pemphigidae(Aphidoidea: Homoptera) from Korea)

  • 이원구;서홍렬;황창연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9권2호
    • /
    • pp.237-249
    • /
    • 1993
  • 1989년 5월부터 1993년 4월까지 남한의 16개 지소에서 채집된 면충과 (Pemphigidae)표본들을 동정 분류한 결과 7속 11종이 얻어졌다. 그 중 Colophina zelkovae n. sp., Proiophilus chaenomelis n. sp., Tetraneura pumilae n. sp., Tetraneura iriensis n. sp. 의 4종은 신종으로서 그들에 관하여 기재하고 그림을 그렸다.

  • PDF

한국 미기록 진딧물 Sinomegoura citricola (van der Goot, 1917)(Sternorhyncha: Aphididae)의 보고 (A New Record of Sinomegoura citricola (van der Goot, 1917)(Sternorhyncha: Aphididae) from Korea)

  • Lee, Seunghwan;Kim, Dong-Hwan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9-14
    • /
    • 2002
  • 제주도의 감귤, 육계나무, 홍가시나무에서 현재까지 국내에 알려지지 않았던 진딧물 Sinomegoura citircola(van der Goot, 1917)가 확인되었다. 무시형 산자충 및 유시형 산자충의 외부형태에 대해 도면과 함께 기술하고, 분포지역 및 기주식물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유시형과 무시형의 중간형을 띄는 개체에 대해 처음으로 보고한다. Sinomgeoura 속은 한반도에서 처음으로 기록되는 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