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맞춤형 추천

Search Result 270,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A Research on Real Estate Recommendation Model Using Public Data (개인 맞춤형 부동산 추천 웹 서비스)

  • Kim, Do-hyung;Kim, Min-kyung;Park, Ye-rin;Park, Yoo-Min;Hwang, Ho-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7a
    • /
    • pp.93-96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공공데이터를 이용한 개인 맞춤형 부동산 추천 방식을 제안한다. 이 추천 서비스는 기존의 가격 중심의 부동산 추천 방식이 아닌 개인이 원하는 요소 통해 부동산을 추천함으로써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인다. 이 모델은 사용자가 실거주를 목적으로 하는 부동산 매물을 탐색하고자 할 때 거래 유형, 매물 유형, 가격 정보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자신의 주거지 근처에 형성되어 있길 원하는 편의 시설이나 기반시설, 치안 등의 환경 요소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선택된 요소들을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주거지를 추천한다. 본 논문에서는 직접 구현한 서비스를 통해서 제안하는 새로운 맞춤형 부동산 추천 모델이 기존의 가격 중심의 부동산 추천 서비스보다 편의성 면에서 우수함을 보인다.

  • PDF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Recommendation Model for the Customized Learning Course (맞춤형 학습코스 추천 모델의 효과분석 방안)

  • Han, Ji-won;Lim, Heui-seok
    • Proceedings of The KACE
    • /
    • 2017.08a
    • /
    • pp.221-224
    • /
    • 2017
  • 본 논문은 사용자 수준에 적합한 맞춤형 학습코스를 추천하여 학습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추천모델을 개발하고, 효과분석을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학습자 개개인의 학습수준이나 학습내용 등에 따라 적합한 학습주제를 선정하여 제공하는 것은 중요하나, 일반적인 추천은 전문가 그룹을 활용한 사람중심의 추천으로 시간이 오래 걸리는 등 자원의 비효율적 한계점[1]을 가지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TF-IDF를 이용해 단어별 가중치를 계산하여 고빈도 단어를 추출하여 벡터 공간에 배치시키고, Cosine Similarity 기법을 이용해 벡터간의 유사도를 측정하였다. 학습자 프로파일을 분석하고, 학습스킬간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맞춤형 학습코스를 추천하기 위해, 워드 임베딩 기법을 적용하였고, 이를 위해 오픈소스 Gensim[2]을 이용하였다. 맞춤형 학습코스 추천 모델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실험을 설계하고 평가 문항지를 개발하였다.

  • PDF

A Study on Personalized Health Care Contents Recommendation Algorithm (사용자 맞춤형 건강 콘텐츠 추천 알고리즘에 대한 연구)

  • Lee, Hanuel;Lee, Hayoung;Han, Ayeon;Sin, Moons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07a
    • /
    • pp.360-361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웹 또는 앱을 통해 제공되는 무한한 정보 중에서 사용자들에게 필요한 건강 관련 정보를 맞춤형으로 제공하기 위해서 사용자 맞춤형 건강 콘텐츠 추천 알고리즘을 설계한다. 그리하여 집단 지성 알고리즘과 의사 결정 나무를 활용하여 사용자 맞춤형 건강 콘텐츠 추천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자가건강진단 정보를 활용하여 웹상의 URL 정보를 토대로 맞춤형 정보를 분석, 추천하는 알고리즘의 유용성을 제시한다.

  • PDF

A Study on User behavior-based multi-attribute attitude models and based on cross-correlation (사용자 행동 기반 다속성 태도 모델 기반의 유사도 측정 연구)

  • Ahn, Byung-IK;Jung, Ku-Imm;Choi, Hae-Li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04a
    • /
    • pp.554-557
    • /
    • 2016
  • 2015년 우리나라 스마트폰 보급률이 83%에 다다르고 인터넷 정보 검색은 PC보다 모바일이 추월한지 오래다. 범람하는 정보 안에서 편하고 빠른 것에 익숙해진 사용자들은 이제 개인화된 맞춤형 추천 정보의 제공을 원한다. 맞춤형 추천을 위해서는 사용자의 행동을 이해하고 추천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재 대중화된 개인 추천 서비스는 책과 영화가 있는데 생활에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음식점 방문에 대해서도 맞춤형 추천 서비스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음식점 방문에 대한 비슷한 태도를 보인 사용자를 추출한 후 방문했던 장소를 비교하여 추천하는 사용자 행동 기반 다속성 태도 모델 기반의 장소 추천 모델을 연구한다. 다속성 태도점수를 산출하기 위해 피쉬바인(Fishbein) 방정식을 활용하고 피어슨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사용자들간의 유사한 장소를 추출했다. 그리고 그룹렌즈의 선호도 예측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추천 대상 장소를 선정하고 유클라디안 거리법으로 사용자의 거리기반 장소를 추천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실제 데이터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본 논문에서 제시한 시스템의 우수성도 입증하였다.

Personalized University Educational Contents Recommendation Scheme for Job Curation Systems (취업 큐레이션 시스템을 위한 개인 맞춤형 교육 콘텐츠 추천 기법)

  • Lim, Jongtae;Oh, Youngho;Choi, JaeYong;Pyun, DoWoong;Lee, Somin;Shin, Bokyoung;Chae, Daesung;Bok, Kyoungsoo;Yoo, Jae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7
    • /
    • pp.134-143
    • /
    • 2021
  •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mobile devices and social media services, contents recommendation schemes have been studied. They are typically applied to the job curation systems. Most existing university education content recommendation schemes only recommend the most frequently taken subjects based on the student's school and major. Therefore, they do not consider the type or field of employment that each student wants. In this paper, we propose a university educational contents recommendation scheme for job curation services. The proposed scheme extracts companies that a user is interested in by analyzing his/her activities in the job curation system. The proposed scheme selects graduates or mentors based on the reliability and similarity of graduates who have been employed at the companies of interest. The proposed scheme recommends customized subjects, comparative subjects, and autonomous activity lists to users through collaborative filtering.

A Study on Recommendation Systems based on User multi-attribute attitude models and Collaborative filtering Algorithm (다속성 태도 모델과 협업적 필터링 기반 장소 추천 연구)

  • Ahn, Byung-Ik;Jung, Ku-Imm;Choi, Hae-Lim
    • Smart Media Journal
    • /
    • v.5 no.2
    • /
    • pp.84-89
    • /
    • 2016
  • For a place-recommendation model based on user's behavior and multi-attribute attitude in this thesis. We focus groups that show similar patterns of visiting restaurants and then compare one and the other. We make use of The Fishbein Equation,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o calculate multi-attribute attitude scores. Furthermore, We also make use of Preference Prediction Algorithm and Distance based method named "Euclidean Distance" to provide accurate results. We can demonstrate how excellent this system is through several experiments carried out with actual data.

A Study on Improving User Experience of content recommendation function of OTT service - Focusing on Netflix and Watcha Play- (OTT서비스의 콘텐츠 추천 기능 사용자경험 개선 연구 - 넷플릭스(Netflix)와 왓챠(Watcha)를 중심으로 -)

  • Son, bo-ram;Choe, jo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09-310
    • /
    • 2019
  • 최근 들어 빅데이터 기반의 추천 방식과 개인화 시스템을 활용하여 맞춤형 콘텐츠를 추천해주는 서비스가 주목받고 있다. 이는 단순히 OTT 서비스뿐만 아니라 상품추천이나 음악 추천, 친구 추천, 뉴스 추천 등 여러 분야에서도 널리 사용 중이다. 본 연구는 OTT 서비스의 맞춤형 콘텐츠를 지속해서 이용하는 경우 정보 탐색 과정의 사용 경험과 이용만족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시작되었다. OTT 서비스 중 사용자가 가장 많고 콘텐츠 추천 기능이 강점인 넷플릭스와 왓챠플레이를 중심으로 사용자 인터뷰를 진행하여 사용자들의 추천 기능 이용 패턴을 파악하고 그 과정에서의 특이사항이나 어려움을 파악하려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콘텐츠 추천 및 탐색 과정의 UX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A Trend Analysis and Book Recommendation through Bigdata Analysis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트렌드 파악 및 사용자 맞춤 도서 추천)

  • Kyungseo Yoon;Seungshik K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363-364
    • /
    • 2023
  • 카테고리별 베스트셀러를 통해 트렌드 파악 및 사용자 맞춤형 도서 추천을 위해 카테고리별로 도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대용량 데이터인 위키피디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워드임베딩 모델을 구축한다. 도서 데이터에 대한 키워드 분석 및 LDA 주제분석 기법에 의해 카테고리별 핵심 단어 분석을 통해 도서 트렌드를 파악하고, 사용자 맞춤형 도서 정보 제공 및 도서를 추천하는 기능을 구현한다.

A Design of Customized Market Analysis Scheme Using SVM and Collaboration Filtering Scheme (SVM과 협업적 필터링 기법을 이용한 소비자 맞춤형 시장 분석 기법 설계)

  • Jeong, Eun-Hee;Lee, Byung-Kwan
    •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 /
    • v.9 no.6
    • /
    • pp.609-616
    • /
    • 2016
  • This paper is proposed a customized market analysis method using SVM and collaborative filtering. The proposed customized market analysis scheme is consists of DC(Data Classification) module, ICF(Improved Collaborative Filtering) module, and CMA(Customized Market Analysis) module. DC module classifies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and off-line shopping mall and traditional markets into price, quality, and quantity using SVM. ICF module calculates the similarity by adding age weight and job weight, and generates network using the similarity of purchased item each users, and makes a recommendation list of neighbor nodes. And CMA module provides the result of customized market analysis using the data classification result of DC module and the recommendation list of ICF module.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proposed customized recommendation list with the existing user based recommendation list, the case of recommendation list using the existing collaborative filtering scheme, precision is 0.53, recall is 0.56, and F-measure is 0.57. But the case of proposed customized recommendation list, precision is 0.78, recall is 0.85, and F-measure is 0.81. That is, the proposed customized recommendation list shows more precision.

A Framework for IoT-Based Convergence Personalized Menu Recommendation System (IoT 기반의 융합 맞춤형 식단추천시스템 프레임워크)

  • Joh, Young-Hee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5 no.4
    • /
    • pp.147-153
    • /
    • 2014
  • To create a personal menu, there are a number of considerations. Personal menus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dietary therapy for disease, diet for weight control. In addition, the menu you choose, depending on the personal preference and the season, the weather, current personal feelings may differ. An individual should expect to recommend a balanced diet, taking nutritional status just for health ca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personalized menu recommendations System framework to meet such needs. To recommend menus the system receives data of the body's individual circumstances, ingredients situation, environmental conditions, psychological condition, emotional condition and provides a recommended menu by performing the inference using the ontology generated from external application systems. In order to provide such services, Internet of Things (IoT) environment should be the found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personalized diet recommendation system framework in the IoT standardization environment that has oneM2M common service platfo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