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망분리

검색결과 526건 처리시간 0.028초

용접결함 패턴인식을 위한 신경망 알고리즘 적용 (Adaption of Neural Network Algorithm for Pattern Recognition of Weld Flaws)

  • 김창현;유홍연;홍성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65-7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초음파 검사를 기반으로 하는 비파괴검사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용접결함의 패턴인식 알고리즘으로서 역전파 신경망과 확률 신경망을 비교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과정에서 두 가지 알고리즘에 동일한 변수를 적용하였으며, 여기서 사용된 특징변수는 용접결함으로부터 반사된 시간영역 상의 전체 결함신호로부터 결함부분만을 분리한 신호파형을 사용하였다. 이상의 절차를 통하여 두 가지 알고리즘의 적용방안을 확인하였으며, 두 가지 알고리즘에 대하여 각각의 장단점을 비교하였다.

5G 망에서의 Network Slicing 요구사항 및 제공 구조

  • 김상훈
    • 정보와 통신
    • /
    • 제33권6호
    • /
    • pp.9-17
    • /
    • 2016
  • 본고에서는 5G 망에서의 서비스 요구사항을 만족하기 위한 구조로서 Network Slicing 구조를 제안하고 세부 적용방안을 기술한다. 이를 위해 5G 서비스를 우선 정의하고 그에 따른 서비스 요구사항을 도출한 후, 이러한 요구사항과 관련해 현재 망의 문제점에 대해 기술하고 망 개선을 위한 기술 요구사항을 정립한다. 특히, 5G에서의 중요성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Network Slicing'의 필요성 및 개념에 대해 서술한다. Network Slicing에 대한 제조사들의 솔루션 동향, 3GPP 등 단체의 표준화 동향, APN 방식의 P-LTE/DECOR/RAN Slicing 등 관련 기술의 발전 동향을 포함한 5G Network Slicing 주요 기술 동향에 대해서 알아본다. 또한, Slice의 관리 및 BSS/OSS등과의 연계를 위한 통신사업자 입장에서의 플랫폼 요구사항을 정리한다. 5G Network Slicing을 충족하기 위한 주요 기술로 C/U plane 분리구조, 범용 서버를 활용한 NFV/SDN, Edge 기반의 분산된 수평적 네트워크, 데이터 오프로딩 및 지연시간 절감을 위한 Edge Computing 등을 들 수 있고 효율적인 자원 관리를 위한 Orchestration 등에 대해서도 알아본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사업자 입장에서 5G Core Network 기술을 선도함은 물론이고 향후, 조기 상용화를 위한 진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분리 된 망의 양방향 연동을 위한 MQTT 어댑터 (MQTT Adaptors for Interconnection of Divided Networks in the IoT Environment)

  • 오길탁;오정훈;백문기;이규철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789-792
    • /
    • 2016
  • 사물인터넷 시장의 발전에 따라 많은 통신 프로토콜과 그에 해당하는 장비들이 발전을 하고 있다.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 사용에 따라 이질성 문제가 대두되어 이를 해결하는 미들웨어 기반의 가상 어댑터들이 나왔다. 하지만 이러한 가상 어댑터들은 통신 프로토콜 간의 이질성 문제는 해결하지만 인터넷 같은 외부 망과는 상호 호환이 안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MQTT(Message Queuing Telemetry)를 활용하여 기존 가상 어댑터들과 외부 망 간 양방향 연동을 가능케 하는 MQTT 어댑터를 제안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어댑터는 내부 센서 데이터 활용뿐만 아니라 외부 망의 데이터도 활용할 수 있어 폭넓은 상호 운용성을 확보할 수 있다.

발전제어시스템 환경에서 PI에이전트를 이용한 물리적 일방향자료연계 기술 구현 (Technical development of physical unidirectional data transfer using PI agent on power control system environment)

  • 김수호;김지희;김진철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20-221
    • /
    • 2016
  • 전력제어시스템은 외부망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망분리를 해야 하지만 부득이하게 외부망과 연결을 필요로한다. 이러한 이유때문에 망연계 구간에서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보안솔루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제어시스템에서 사용하고 있는 PI시스템과 제어망으로의 접속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물리적 일방향자료전달시스템 연계를 위한 구성과 그에 따른 에이전트 구현방법을 소개한다.

기업인프라보호를 위한 가상 사설망 VPN 구축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Virtual Private Network VPN Construction Model to Protect Enterprise Infrastructure)

  • 김수진;이승호;황도훈;강성효;전현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50-253
    • /
    • 2017
  • 최근 급증하는 보안 침해 사고와 함께 보다 다양해지고 있는 해킹 기법들에 대한 대응책 마련이 논의되고 있다. 기업의 내부 인프라 자산 보호를 위해 조치를 취할 수 있는 기본적인 1차 대응책으로 네트워크 계층에서의 방어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 공중망(Public Network)과 분리된 가상의 사설망(VPN: Virtual Private Network)을 구현함으로써 기존의 VPN 모델보다 보안성이 뛰어나며 저렴한 비용으로 외부에서의 접근 및 스누핑(Snooping) 공격과 같은 보안위협에 대비할 수 있는 VPN 모델을 구축하여 실제 현업 망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계층구조 합성곱 신경망 기반 고해상도 동영상 프레임 고속 보간 방법 (Hierarchical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based Fast Frame Interpolat ion for High-Resolution Video)

  • 안하은;정진우;김제우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9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71-72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계층구조 합성곱 신경망 기반의 고해상도 동영상 프레임 고속 보간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고해상도 동영상 프레임 보간 방법은 시간 해상도와 공간 해상도를 분리하여 보간 하기 때문에, 예측된 보간 프레임이 블러(blur) 열화를 갖는 문제를 보인다. 제안하는 방법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계층구조 합성곱 신경망 기반의 보간 방법을 이용한다. 제안하는 계층구조 합성곱 신경망은 우선 저해상도의 광학 흐름 추정지도를 생성하고 이를 고해상도로 복원하여 프레임 보간을 수행한다. 이때, 저해상도 광학 흐름 지도를 추정할 때 사용된 특징 정보들을 활용하여 고품질의 고해상도 광학 흐름 지도를 추정한다. 실험을 통하여 제안하는 방법이 고해상도 프레임을 고속으로 보간하며, 동시에 블러 열화에 대한 성능 향상을 가짐을 보였다.

  • PDF

그물망 위상의 P2P 네트워크를 활용한 파일 분리 분산 방안 (The File Splitting Distribution Scheme Using the P2P Networks with The Mesh topology)

  • 이명훈;박정수;김진홍;조인준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1669-1675
    • /
    • 2005
  • 최근 들어 무선 단말장치의 소형화 및 파일크기의 대형화 추세로 소형 무선 단말에서 대형 파일처리의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파일서버나 웹 서버에 수많은 파일의 집중화로 인한 과부하가 문제점으로 쟁점화 되고 있다. 그리고 데이터 처리가 단일 파일단위를 기반으로 함에 따라 보안상 여러 취약점을 지닌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한 새로운 방안으로 그물망 위상의 P2P를 활용한 파일 분리 분산 방안을 제안하였다. 파일을 그물망 구조의 P2P를 활용하여 분리 분산시킴으로써 소형 단말에 적합한 파일을 생성할 수 있고, 파일이 특정 서버에 집중화되지 않음에 따라 과부하를 예방하고, 한 파일이 여러 피어에 분산됨에 따라 보안상 취약점을 완화할 수 있다.

제로 트러스트 명문화를 통한 신 보안체계 강화 방안 연구 - 전자금융거래법상 법적 개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ways to strengthen the new security system through the stipulation of zero trust : legal improvement under the Electronic Financial Transactions Act)

  • 이민원;권헌영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9-17
    • /
    • 2023
  • 코로나19로 재택근무가 일상이 되면서 비대면 환경에서 안전한 보안인 제로 트러스트 개념이 주목받고 있다. 미국 바이든 대통령은 2021년 5월 국가 사이버보안 개선에 대한 행정명령에서 제로 트러스트 도입을 강조하였으며, 제로 트러스트는 글로벌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에서 제로 트러스트와 같은 신기술 도입·활용에 가장 어려움이 있는 부분은 클라우드 및 망 분리의 과도한 규제로, 이에 대하여 전자금융거래법상 클라우드 및 망 분리 규제 개선이 2023년 시행을 앞두고 있으나 전통적 경계 보안 모델에 기반을 두며, 비대면 환경으로 인한 새로운 정보보호 통제를 모두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정부의 망 분리 완화 정책이 실효성이 있는 정책이 되기 위해서는 제로 트러스트 명문화가 필수적이라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전자금융거래법상 제로 트러스트 개념을 반영하는 법적 개선을 연구하고자 한다.

발진 신경망의 연구현황 분석 (A Survey on Oscillatory Neural Networks)

  • 임채덕;신종한;장주석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8권2호
    • /
    • pp.60-68
    • /
    • 1993
  • 지금까지 뇌에는 컴퓨터와 같은 클럭(clock) 신호가 없고 신경들 간의 활동은 비동기적이라고 알려져 왔다. 그러나, 1989년 Singer 연구 그룹에서 시각 피질에 있는 많은 신경들이 발진하며 이들 간에는 시각 영상에 따라 동기현상을 보인다고 발표한 후, 많은 실험과 모델링이 행해지고 있다. 이 분야의 응용으로는 여러 분야가 있으며, 특히 동기 발진 모델을 이용하였을 경우에 패턴 분리와 인식에 응용될 수 있다. 본 고에서는 신경회로망의 새로운 기류인 생물학적 발진 신경망의 실험과 모델링에 대한 동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차세대 통신망의 상호운용성 시험 동향

  • 최영일;박유미;임종철;이병선
    • 전자공학회지
    • /
    • 제31권7호
    • /
    • pp.43-57
    • /
    • 2004
  • 통신, 방송, 인터넷이 융합된 품질보장형 광대역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언제, 어디서나 끊김없이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차세대 통신망에 대한 구축이 광대역 통합망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 BcN) 이라는 국가적인 프로젝트로 구체화되고 있다. 광대역 통합망에서는 차세대 통신망에 대한 기본적인 요구사항으로 제시되고 있는 구조, 즉 서비스 계층을 제어 및 전송 계층으로부터 분리하며, 이들 계층간에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통신망 하부구조에 독립적으로 새로운 통신 서비스를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도록 추진되고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