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말하기

검색결과 11,149건 처리시간 0.031초

메신저 맞춤법 교정 병렬 말뭉치의 구축과 쟁점 (Construction of a Parallel Corpus for Instant Messenger Spelling Correction and Related Issues)

  • 황은하;안진산;남길임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22년도 제34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545-550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2021년 메신저 언어 200만 어절을 대상으로 수행된 맞춤법 교정 병렬 말뭉치의 설계와 구축의 쟁점을 소개하고, 교정 말뭉치의 주요 교정 및 주석 내용을 기술함으로써 맞춤법 교정 병렬 말뭉치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2021년 맞춤법 교정 병렬 말뭉치의 주요 목표는 메신저 언어의 특수성을 살림과 동시에 형태소 분석이나 기계 번역 등 한국어 처리 도구가 분석할 수 있는 수준으로 교정하는 다소 상충되는 목적을 구현하는 것이었는데, 이는 교정의 수준과 병렬의 단위 설정 등 상당한 쟁점을 내포한다. 본 연구에서는 말뭉치 구축 시점에서 미처 논의하지 못한 교정 수준의 쟁점과 교정 전후의 통계적 특성을 함께 논의하고자 하며,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하위 내용을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첫째, 맞춤법 교정 병렬 말뭉치의 구조 설계와 구축 절차에 대한 논의로, 2022년 초 국내 최초로 공개된 한국어 맞춤법 교정 병렬 말뭉치('모두의 말뭉치'의 일부)의 구축 과정에서 논의되어 온 말뭉치 구조 설계와 구축 절차를 논의한다. 둘째, 문장 단위로 정렬된 맞춤법 교정 말뭉치에서 관찰 가능한 띄어쓰기, 미등재어, 부호형 이모티콘 등의 메신저 언어의 몇 가지 특성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2021년 메신저 맞춤법 교정 말뭉치의 구축 단계에서 미처 논의되지 못한 남은 문제들을 각각 데이터 구조 설계와 구축 차원의 주요 쟁점을 중심으로 논의한다. 특히 메신저 맞춤법 병렬 말뭉치의 주요 목표인 사전학습 언어모델의 학습데이터로서의 가치와 메신저 언어 연구의 기반 자료 구축의 관점에서 맞춤법 교정 병렬 말뭉치 구축의 의의와 향후 과제를 논의하고자 한다.

  • PDF

동료 및 자기 평가 피드백을 통한 대학생 말하기 교육 방안 (Speaking Education Plan for University Students by Using the Method of Peer and Self Evaluation Feedback)

  • 최윤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573-580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의 말하기 교육 유형인 발표와 토론 수업을 중심으로 동료 및 자기 평가와 피드백을 통해 말하기 능력 함양을 위한 교육 방안을 탐색해보고, 그 효과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 및 내용은 H대학교의 교양 필수인 <독서와 소통> 수업을 수강한 1학년 학생들로 '읽기, 말하기, 쓰기'의 통합 활동 중 말하기 활동과 그 효과에 한정하여 제시한 것이다. 말하기 교육에서 동료 및 자기 평가와 피드백은 학생들 간에 상호 공감대를 형성하고 협력 하에 말하기에 필요한 역량 함양과 자기 발견 및 소통을 통한 주도적인 학습이 가능하게 한다. 연구결과, 다양한 말하기 실습을 통해 말하기 태도 및 심리적 측면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며, 평가와 피드백 활동이 학생들에게 유의미한 학습 효과를 가져다 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학생의 의사소통 능력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만큼 현실적이며 유용한 말하기 교육 및 지도 방안들이 지속적으로 연구 및 개발되어야 한다고 본다.

스마트폰과 음성합성을 활용한 영어 말하기 과제의 개발과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English Speaking Task Using Smartphone and Text-to-Speech)

  • 문도식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13-20
    • /
    • 2016
  • 본 연구는 국내 영어 학습자들의 말하기 출력 활동을 활성화시킬 방안으로서 스마트폰과 음성합성(Text-to-Speech)이 지닌 장점을 활용하여 모바일 영어 학습의 한 형태인 영어 말하기 영상 과제 학습 모델을 개발, 적용한 후, 이 모델이 학습자들에게 미친 효과를 탐구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영어 말하기 영상 과제는 학습자들의 전반적인 영어실력 뿐 아니라 발음, 말하기, 듣기, 쓰기 영역에서 자신감과 실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기반으로 외국어로서 영어를 학습해야 하는 상황적 한계로 인해 충분한 영어 입력에 노출되지 못하고 말하기 출력활동이 부족한 국내 영어 학습자들의 영어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킬 한 가지 방안으로써 말하기 영상 과제의 가능성과 한계를 논의한다.

음성 인식 테크놀로지 기반의 외국어 말하기 훈련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Foreign Language Speaking Training System Based on Speech Recognition Technology)

  • 구덕회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491-497
    • /
    • 2019
  • 글로벌 사회로 발전함에 따라 외국어를 능숙하게 말하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능숙하게 말하기 위해서는 말하는 훈련을 충분히 가져야 하는데 이때 대화 상대방을 필요로 한다. 최근에는 음성 인식 정보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대화 상대방의 인간이 없어도 외국어 말하기 훈련을 수행하는 시스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외국어 말하기 훈련 교육을 위한 테스트베드 시스템을 개발하고 초등학교 수업에 적용하였다. 초등학생에게 영어 대화 상황을 제시하고 말하기 훈련을 실시하도록 하였다. 그 후, 시스템에 대한 만족도와 지속적인 활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시스템을 이용하면 외국어 말하기 학습 훈련에 도움이 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외국인 유학생 대상 한국어 말하기를 위한 플립러닝 수업 개발 및 적용 효과: 말하기 관련 정서적 요인에 대한 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Flipped learning on Korean Language Speaking Skills focused on Foreign College Students)

  • 심현애;김경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0호
    • /
    • pp.51-58
    • /
    • 2020
  • 본 연구는 외국인 학부생들을 대상으로 한국어 말하기 수업을 플립러닝으로 설계하여 적용하고, 말하기 관련 정서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과, 한국어 말하기 효능감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경험이 무엇인지에 대한 그들의 인식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신입생 대상 '창의적 말하기' 과목을 플립러닝으로 재설계하여 한 학기 동안 운영하였다. 말하기 관련 정서 요인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26명의 외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말하기 효능감, 말하기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신체 증상, 그리고 청중 의식에 대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하고 그 차이에 대한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말하기에 대한 자신감 향상을 위해 필요한 경험'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플립러닝 후 학생들의 말하기 효능감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이는 플립러닝이 외국인 학부생의 한국어 말하기에 대한 긍정적 정서를 높이는 데에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유학생들은 한국어로 말하기 연습을 하고, 한국인 동료와 같이 학습함으로써 한국어 말하기 자신감을 높일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논의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초급 상 수준을 위한 스토리텔링 중심의 영어 말하기 교수 전략 (Strategies of Storytelling Based Teaching of English Speaking for Novice High Learners)

  • 고미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3172-3179
    • /
    • 2015
  • 본 연구는 성인 영어 학습자의 말하기 숙련도 향상을 위한 영어교수법을 제안하고 있다. 패턴 위주의 문장암기나 문법 규칙 중심의 대화식 영어회화 교육 방법을 탈피하여 스토리텔링 기법을 적용한 영어 말하기 교수 방법론을 소개하고 있다. 스토리텔링 중심의 영어 말하기 교수법의 이론적 타당도를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본다. 말하기의 목적 즉, 자신의 생각을 적절히 설득적으로 표현하고 자신의 의견을 나눌 수 있기 위해서는 먼저 풍부한 담화량의 확보가 관건이다. 이를 위하여 이야기 구성요소 중심의 말하기 전략 12가지를 소개하고, 말하기 학습에 적용해 보고 있다. 다음으로, 수사학적 차원에서 설득적인 말하기를 위한 전략을 살펴본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설득적인 말하기를 위한 수사학적 5대 영역을 중심으로 스토리텔링 기법의 말하기와의 관련성을 찾아본다. 끝으로, 교육 현장에서 스토리텔링 중심의 영어 교수법 적용의 가능성을 살펴본다. 외국어 학습자로서의 언어 숙련도가 모국어 수준과 다르다는 이유만으로 위와 같은 스토리텔링 기법의 영어 말하기 교수가 교육 현장에서 실현될 수 있을까에 관한 의문에 학습자 전략 사용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이에 대한 실현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기대한다.

언어학자를 위한 말뭉치 분석기 (Corpus Analyzer for Linguists)

  • 정석팔;임성현;전진형;이현아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12년도 제24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95-98
    • /
    • 2012
  • 말뭉치는 언어를 연구하기 위한 중요한 재료이다. 본 논문에서는 말뭉치에서 나타나는 언어 현상을 보다 효율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언어학자를 위한 말뭉치 분석기를 제안하고 그 구현 방법을 설명한다. 제안하는 말뭉치 분석기는 기본적인 통계 정보와 함께, 형태소 분석된 파일을 대상으로 위치 색인을 포함하는 역파일 색인을 구성하여 빠른 형태소 검색과 다앙한 수준의 연어 검색을 제공한다. 분석기는 세종말뭉치를 기본 말뭉치로 하며, 다앙한 말뭉치에 대한 통계자료와 검색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말뭉치 파일에 대한 처리도 지원한다. 시스템은 사용자가 업로드한 말뭉치 파일에 대하여 자동 형태소 분석을 제공하며 형태소 분석 결과 수정을 가능하게 하여 다앙한 말뭉치에서 언어학자들의 우리말 연구를 지원한다.

  • PDF

21세기 세종계획 현대국어 기초말뭉치: 성과와 전망 (21st Century Sejong Modern Korean Corpora: Results and Expectations)

  • 김흥규;강범모;홍정하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07년도 제19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311-316
    • /
    • 2007
  • 현대국어 기초말뭉치는 방법론 및 표준화 연구, 그리고 소프트웨어 개발과 더불어 21세기 세종계획 국어기초자료 구축 사업의 일환으로 개발되었다. 현대국어 기초말뭉치 개발에서는 세종말뭉치 통합분 12,000만 어절을 후처리하고, 원시말뭉치 6,200만 어절, 형태분석 말뭉치 1,500만 어절, 형태의미분석 말뭉치 1,250만 어절, 구문분석 말뭉치 80만 어절을 신규 구축 완료하였으며, 이 중 일부 말뭉치에 대한 정제 작업이 2007년 말까지 완료될 예정이다. 방법론 및 표준화 연구에서는 말뭉치 구축 방법론과 분석표지 표준화, 말뭉치 활용 연구가 진행되었고, 이 밖에도 소프트웨어 개발 사업에서는 말뭉치 구축 및 활용에 필요한 도구를 개발하였다. 이 논문은 21세기 세종계획 국어기초자료 구축 사업의 연구 성과를 현대 국어 기초말뭉치를 중심으로 소개하고 향후 전망을 논의하는 것이 목적이다.

  • PDF

말뭉치 자동 확장을 통한 SMT 성능 향상에 대한 연구 (Research about SMT Performance Improvement Through Automatic Corpus Expansion)

  • 최규현;신종훈;김영길
    • 한국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정보학회 2016년도 제28회 한글및한국어정보처리학술대회
    • /
    • pp.296-299
    • /
    • 2016
  • 현재 자동번역에는 통계적 방법에 속하는 통계기반 자동번역 시스템(SMT)이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학습 데이터로 사용되는 대용량의 병렬 말뭉치를 수동으로 구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통계기반 자동번역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존 다른 언어쌍의 말뭉치와 SMT 자동번역 기술을 이용하여 대상이 되는 언어쌍의 SMT 병렬 말뭉치를 자동으로 확장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서로 다른언어 B와 C의 병렬 말뭉치를 얻기 위해, A와 B의 SMT 자동번역 시스템을 구축하고 기존의 A-C 말뭉치의 A를 SMT를 통해 B로 번역하여 B와 C의 말뭉치를 자동으로 확장한다. 실험을 통해 확장한 병렬 말뭉치가 통계기반 자동번역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한다.

  • PDF

Kane: 의미정보 말뭉치 구축 도구 (Kane: Knowledge Annotation Tool for Semantic Information)

  • 배원식;차정원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09년도 제21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121-125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의미정보 말뭉치 구축 도구인 Kane에 대해 설명한다. 형태소 분석기나 구문 분석기, 개체명 인식기 등 자연어처리를 위한 기본이 되는 시스템에는 말뭉치가 필요하며, 말뭉치의 구축에는 많은 비용이 든다. 일반적으로 말뭉치 구축 작업은 전용 구축 도구가 없이 문서 편집기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 말뭉치 구축 작업 효율이 떨어지고, 자연스럽게 구축되는 말뭉치의 품질도 낮아진다. 문서 편집기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대표적인 문제는 키보드를 이용한 기계적인 작업이 반복된다는 것이며, 키보드 입력에 따른 오타 문제 또한 발생한다. Kane에서는 기계적인 작업 및 키보드 입력을 간편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최소화하였으며, 마우스 조작으로도 쉽게 말뭉치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사전을 이용한 이전 작업 내용 참조 기능을 지원하여 작업의 효율성 및 일관성 문제를 개선하고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