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말명료도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22초

마비말장애 성인의 자음정확도와 비음치가 말명료도 및 말용인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ercentage of Correct Consonants and Nasalance Score on the Speech Intelligibility and Acceptability in Adults with Dysarthria)

  • 장선정;최현주
    • 재활복지
    • /
    • 제20권3호
    • /
    • pp.67-82
    • /
    • 2016
  • 본 연구는 표준문단 읽기 과제를 사용하여 얻어진 동일한 말샘플을 통하여 마비말장애 성인의 자음정확도와 비음치가 말명료도 및 말용인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은 마비말장애 성인 10명과 일반 성인 16명이었다. 비음치 측정을 위한 과제로는 모음 연장, 구강음과 비강음 문장, 표준문단 읽기를 사용하였으며, 동일한 표준문단을 사용하여 자음정확도를 측정한 후, 평정자 20명에게 시각적 아날로그 척도를 사용하여 말명료도, 말용인도를 평정하게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강음과 비강음 문장, 표준문단에서는 마비말장애 성인 집단의 비음치가 일반 성인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모음연장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마비말장애 성인의 자음정확도는 말명료도 및 말용인도와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나, 비음치는 말명료도 및 말용인도와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자음정확도를 통제한 상황에서도 비음치는 말명료도 및 말용인도와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셋째, 회귀분석 결과 마비말장애 성인의 자음정확도가 말명료도와 말용인도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마비말장애 성인의 자음정확도는 말명료도, 말용인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나, 비음치는 말명료도 및 말용인도와의 상관이 유의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뇌성마비로 인한 마비말장애의 음소대조 낱말명료도와 문장명료도 (Perceptual-phonemic Contrasts of Single-word Intelligibility for Testing Korean Dysarthric Speech)

  • 김수진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2권8호
    • /
    • pp.694-702
    • /
    • 2003
  • 이 연구는 말장애의 진단에 유용한 일음절 낱말대조 명료도 검사 (낱말명료도)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얻기 위한 것이다. 첫번째로 낱말명료도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문장명료도와의 상관을 구한 결과 상관은 .83으로 비교적 높았다. 두 번째로는 평가자들 간의 일치도를 분석하였다. 낱말명료도는 명료도 손상의 수준에 상관없이 평가자들간에 일정한 변산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낱말명료도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마비말장애인의 명료도를 떨어뜨리는데 주요한 역할을 하는 음소대조 요인을 살펴본 결과 종성이 가장 오류가 많았으며 다음으로 초성, 중성의 순서였으나, 회귀분석 결과 초성이 전체 명료도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컸다.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하위그룹별 말속도와 쉼의 특성 및 말명료도와의 관계 (Characteristics of speech rate and pause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speech intelligibility)

  • 정필연;심현섭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2권3호
    • /
    • pp.95-103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하위그룹별로 말속도와 쉼에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말명료도와의 관련성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 26명이 참여하였다. 말문제와 언어문제가 없는 NSMI-LCT 4명, 말문제는 없지만 언어문제가 있는 NSMI-LCI 그룹 6명, 말문제가 있지만 언어문제는 없는 SMI-LCT 6명, 말과 언어문제를 모두 동반하는 SMI-LCI 그룹 10명이 참여하였다. 연구과제는 문장 따라말하기였고, Praat을 통해 말속도, 조음속도, 쉼 시간의 비율, 평균 쉼 횟수, 평균 쉼 시간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말속도와 조음속도는 언어문제의 유무와 관계없이 NSMI와 SMI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NSMI에 비해 SMI 그룹에서에서 쉼 시간의 비율은 더 높고, 쉼 횟수는 더 빈번하였으며 쉼 시간은 더 길게 나타났다. 셋째, 말속도와 조음속도는 말명료도와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느린 말속도가 SMI 그룹의 말산출 과정에서 나타나는 주요한 특성이고, 말명료도에 있어서 조음속도와 말속도가 중요한 역할을 함을 시사한다.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초기 섭식능력과 조음기관 구조평가 및 말 명료도와의 관련성 연구 (A study on relationships between the Initial Food Consumption Ability of Articulation Production and Intelligibility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 이혜정;김화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5호
    • /
    • pp.281-293
    • /
    • 2014
  • 본 연구는 만 4-15세까지의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초기 섭식능력이 조음기관 구조평가와 말 명료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무엇인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총 30명의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아동의 섭식 능력에 대해 설문하여, 뇌성마비 아동의 조음기관 구조평가와 말 명료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조음기관 구조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음식삼키기 가능여부와 병원서 섭식에 대한 치료경험여부, 깨물어 씹기 가능여부, 유동식 섭취가능여부, 섭식에 특별한 방법과 도구 사용여부, 식사 중 문제행동여부, 가누기 시작시기에서 조음평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초기 섭식능력이 조음기관 구조평가와 말 명료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Palatal cancer 환자의 obturator착용전후 모음의 음향학적 특성과 말 명료도에 관한 연구

  • 정문규;김호중;최성희;표화영;심현섭;최홍식
    • 대한음성언어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언어의학회 1999년도 제12회 학술대회
    • /
    • pp.183-183
    • /
    • 1999
  • 배경 : 주로 palatal defect 환자들의 상악(maxilla)의 결손으로 인한 형태와 기능을 복구시키기 위한 보철적 재활(prosthetic rehabilitation)방법으로 쓰이는 obturator는 비음의 초래를 막고 vocal tract의 모양에 영향을 줄 수 있으나, palatal cancer 환자를 대상으로 말산출(speech production)에 관한 obturator 장착 효과에 대한보고는 거의 없다. 또한 모음은 자음에 비해 더 nasality에 영향을 주며 모음 삼각도의 면적크기가 말 명료도의 객관적인 측정치로 사용될 수 있다. 연구목적 : Palatal cancer 환자의 obturator 장착 전후 모음 산출 측정치를 통해 모음 삼각도의 크기를 비교함으로써, obturator 장착이 말 명료도 개선에 어느 정도의 효과를 주는지 보고자 하였다. (중략)

  • PDF

정상압 수두증 환자와 정상 노인의 조음교대운동 수행력 비교 (Characteristics of accurate token and all token diadochokinesis in patients with normal pressure hydrocephalus)

  • 윤성희;박기수;강경훈;윤장혁;하지완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6권1호
    • /
    • pp.57-65
    • /
    • 2024
  • 정상압 수두증(normal pressure hydrocephalus, NPH)은 뇌의 뇌척수압은 정상 범위에 있지만 뇌척수액이 정상 수준보다 증가해 뇌실확장증을 유발하는 질환으로, 조음기관의 운동성과 범위가 감소해 조음교대운동(diadochokinesis, DDK)과 말명료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NPH 환자 38명과 정상 노인 38명을 대상으로 /파/, /타/, /카/ 및 /파타카/에 대한 DDK 과제를 실시한 후, 정확한 산출만 측정한 DDK(accurate token-DDK)와 부정확한 산출 포함, 모든 산출시도를 측정한 DDK(all token-DDK)의 두 방법을 모두 사용해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DDK가 NPH와 정상 노인의 두 집단을 얼마나 정확하게 분류 가능한지, 그리고 DDK와 말명료도 간 상관관계는 어떠한지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NPH 집단과 정상 노인 집단 간에는 accurate token-DDK와 all token-DDK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집단 분류정확도는 accurate token-DDK의 경우 75.0%, all token-DDK의 경우 77.6%로 비교적 높았다. 그러나 NPH 집단에서 DDK 속도와 말명료도 측정값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본 연구는 NPH 환자의 말운동능력을 민감하게 평가하는 데에 DDK가 유용한 방법임을 시사한다.

언어장애인의 명료도에 영향을 미치는 말요인: 문헌연구 (The Role of Speech Factors in Speech Intelligibility: A Review)

  • 김수진
    • 대한음성학회지:말소리
    • /
    • 제43호
    • /
    • pp.25-44
    • /
    • 2002
  • The intelligibility of a spoken message is influenced by a number of factors. Intelligibility is a joint product of a speaker and a listener. In addition, intelligibility varies with the nature of the language context and the context of communication. Thus a single intelligibility score can not be ascribed to a given individual apart from listener and listening situation. But there is a clinical and research need to develop assessment measures of intelligibility that are quantitative and analytic. Before developing the index of intelligibility, the crucial factors need to be examined. Among them, the most significant in intelligibility is the speech factors of speakers. The following section reviews the literature dealing with the contribution of segmental and suprasegmental factors in speech intelligibility regarding the hearing impaired, alaryngeal, and motor disorders.

  • PDF

기존가수와 테크노 가수의 명료성 비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parision of Clearness Between the Conventional Singer and Techno Singer)

  • 정영훈;신동성;배명진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0권 2호
    • /
    • pp.171-174
    • /
    • 2001
  • 랩을 주로 하는 신세대 테크노 가수들의 음악을 들어보면 자막을 보지 않고서는 무슨 말인지 알아들을 수가 없다. 그들이 노래할 때 입 크기의 변화 없이 입술모양만 변화시키면서 발성하기 때문이다. 음성은 기본적으로 여기성분과 성도성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성도는 인두강과 구강을 합쳐서 일컫는다 따라서 입 모양을 어떻게 하느냐에 파라서 같은 말이라도 명료성이 달라지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 명료성을 비교 평가하기 위해서 기존가수와 테크노 가수의 한 음절에 대한 지속시간을 비교하여 보았고 8Khz까지의 스펙트로그램을 비교하였다. 비교결과 기존가수가 신세대 테크노 가수에 비하여 말의 의사 전달에 있어서 명료하게 전달 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Speech cues를 이용한 반복훈련이 뇌성마비 아동의 자음정확도 및 말명료도에 미치는 영향: 단일대상연구 (The effects of repeated speech training using speech cues on the percentage of correct consonants and speech intelligibility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 single-subject design research)

  • 서새희;정필연;심현섭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3권3호
    • /
    • pp.79-9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단일대상연구로서 speech cues를 이용한 반복훈련이 뇌성마비 아동의 자음정확도 및 말명료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에는 만 5-8세의 뇌성마비 아동 3명이 참여하였다. 중재는 한 달간 주 4회, 총 16회기 동안 진행하였으며, 한 회기는 30분으로 구성하였다. 훈련과제는 목표 음소가 포함된 1-2음절의 단어와 2어절의 문장을 speech cues의 두 가지 발화유형인 'Big mouth'와 'Strong voice'로 훈련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세 아동 모두 자음정확도와 말명료도의 평균이 중재단계에서 증가하였으나, 효과크기는 아동 간 상이하였다. 또한, 자음정확도에 비해 말명료도에서 더 높은 효과가 나타났다. 세 아동 모두 훈련 문항에서 유지 효과도 나타났다. 둘째, 세 아동 모두 비훈련 단어와 문장에서 일반화 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speech cues를 이용한 반복훈련을 통해 뇌성마비 아동의 자음정확도와 말명료도가 증가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임상에서 좀 더 쉽고 간편한 중재로 그 효용성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뇌졸중 환자의 말, 언어장애 선별에 대한 검사자간 신뢰도 및 훈련효과 (Inter-rater Reliability and Training Effect of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Speech and Language Disorder for Stroke Patients)

  • 김정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407-413
    • /
    • 2011
  • 뇌졸중 환자의 실어증 유무를 정확히 판별하고 환자의 미세한 언어적 변화를 적절히 관찰하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신뢰로운 검사도구를 사용하여야 하고, 또한 검사자가 해당 도구의 사용에 있어 충분히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의 실어증 및 말장애 유무의 진단에서 검사자의 전공영역에 따른 관찰자간 신뢰도를 살펴보고 훈련 전과 후의 차이를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침상에 있는 뇌졸중 환자 46명을 대상으로 언어치료사, 신경과 전공의, 그리고 간호사 각각 4명씩 총 12명이 동시에 실어증 및 말장애 유무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서로 다른 전공 영역의 전문가들 간에 말명료도 과제와/아/모음연장발성 과제의 '음질' 영역에서만 'acceptable'로 나타났고, 나머지 하부검사 영역에서는 'good-excellent'로 나타났다. 관찰자간 신뢰도가 'acceptable'로 나타난 과제들에 대해 3주간의 비디오 훈련 전후의 점수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훈련 후 말명료도 과제에서 검사자들 간의 평정 점수의 차이는 유의하게 줄어들었으며, '음질' 평정의 정확성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임상 경험 정도와 각 하부검사에 대한 평정 정확성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언어치료사들은 임상 경험 정도가 증가할수록 그림설명하기 과제와 말명료도 과제에서, 그리고 의사 및 간호사들은 그림설명하기 과제에서 판정 정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 결과는 뇌졸중 환자의 의사소통장애 진단에 있어 신경언어장애 환자 중, 특히 말장애환자에 대한 꾸준한 경험과 훈련이 반드시 필요하며, 훈련을 통해 평정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