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말똥성게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초

말똥성게, Hemicentrotus pulcherrimus 정자의 냉장보존에 미치는 희석액의 효과 (Effect of Diluents on the Cold Storage of Sperm in Sea Urchin, Hemicentrotus pulcherrimus)

  • 고강희;강경호;김재민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7권1호
    • /
    • pp.9-13
    • /
    • 2003
  • 말똥성게 정자의 냉장보존을 위한 여러 가지 희석액의 보존 효과를 비교하였다. 다양한 농도의 포도당 용액, 인공해수(ASW)를 희석액으로 하여 정자를 4$^{\circ}C$에서 보존하였다 보존효과는 정자 활성지수 (SAI), 생존율 및 말똥성 게 난에 대 한 수정률로 평가하였다. ASW와 1.2 M glucose액을 희석 액으로 하여 30일간 냉장보존하였을 때 가장 높은 운동성 및 생존율을 유지하였다. 정자의 냉장보존을 위한 희석액의 적정 pH는 7.0∼8.0 이었다. 정자의 SAI와 생존율을 높이기 위한 항생제로는 neomycin(400 ppm)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제주연안의 해조상과 성게의 섭식효과 (Marine Algal Flora and Grazing Effect of Sea Urchins in the Coastal Waters of Cheju Island)

  • 이기완;손철현;정상철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401-419
    • /
    • 1998
  • 제주도의 8개지점(함덕, 온평, 위미, 법환, 화순, 대포, 한림, 외도)에서 해조장형성과 조식성의 대표적이 동물인 성게류(보라성게,Anthocidaris crassispina와 말똥성게 Hemicentrotus pulcherrimus)의 섭이형태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각 조사지점의 해조류 생체량이 조사되었으며, 성게류의 장내용물과 생물학적 측정치에 관련된 해조류 군락의 양적분포와 우점도가 조사되었다. 결론적으로 대포지점의 조사지점이 해조상으로는 가장 우세함에도 불구하고 성게의 생물학적인 특성인 체고, 체장, 체중 그리고 생식소 지수와의 관련이 없었다. 이는 성게류들이 조류의 풍도에만 의존하는 곳이 아니고 다른 먹이물질을 섭이함을 뜻한다. 성게의 음식물 선호도를 위해 섭이된 장내용물을 조사한 결과 부착성 조류와 유조(drifted algae) 및 다양한 동물들 (해면, 태충류, 갑각류 및 미확인된 캡슐에 싸인 알 등)과 펄이나 모래와 같은 저질들이 먹이물질로 조사되었다. 섭이된 음식물의 상대적인 양으로 볼 때, 해조류의 섭식률은 낮은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로서 성게가 조장형성이나 갯녹음 현상을 일으키는 해조류의 우요 섭식자가 아닐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 PDF

Zinc Undecylenate가 말똥성게(Hemicentrotus pulcherrimus)와 둥근성게(Mesocentrotus nudus)의 배아발생에 미치는 독성 영향 (Toxic Effect of Zinc Undecylenate on the Embryogenesis of Sea Urchins Hemicentrotus pulcherrimus and Mesocentrotus nudus)

  • 최훈;박윤호;이주욱;이승민;최윤석;황운기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43-5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살균제, 항진균제 등의 의약품을 포함하여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며, 신방오도료로서의 가능성이 확인된 바 있는 Zinc undecylenate (ZU)를 이용해 연안환경 내 1차 소비자를 대표할 수 있는 성게 2종(H. pulcherrimus, M. nudus)에 대한 독성평가를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ZU에 대한 H. pulcherrimus와 M. nudus의 수정률 EC50은, 각각 11.27 mgl-1과 1.48 mgl-1로 나타났다. 또한, 정상배아 발생률의 EC50은 각각 0.94 mgl-1와 3.78 mgl-1로 나타났으며, NOEC는 0.20 mgl-1, 0.78 mgl-1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성게 2종과 문헌조사를 통한 연안양식생물 2종의 급성독성결과를 이용하여 Predicted No Effect Concentration (PNEC)를 계산하였다. PNEC 값은 0.0094 mgl-1로 나타났으며, 위와 같은 결과는 해양환경 오염물질에 대한 환경보호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코발트(II)가 말똥성게($Hemicentrotus$ $pulcherrimus$)의 수정 및 배아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balt (II) on the Fertilization and Embryo Development of the Sea Urchin ($Hemicentrotus$ $pulcherrimus$))

  • 황운기;류향미;최용환;이승민;강한승
    • 환경생물
    • /
    • 제29권4호
    • /
    • pp.251-257
    • /
    • 2011
  • 코발트는 자연적으로 암석, 토양 물 등에서 발견되는 요소일 뿐만 아니라 산업화에 의해 생성되는 유해물질 중의 하나이다. 환경에서는 코발트 (II)와 코발트 (III)의 두 가지 산화물로 존재하며, 연안 해역으로 유입 시 먹이연쇄를 통해 해양생태계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용 수산생물로써 조간대 암반 지역에 서식하는 말똥성게($Hemicentrotus$ $pulcherrimus$)를 이용하여 cobalt (Co (II); 10, 100, 500, 1000, 2500 ppb)가 배우자 및 배아에 미치는 독성 영향을 조사하였다. 성숙한 말똥성게($H.$ $pulcherrimus$) 체강에 0.5 M KCl를 주입하여 방란 및 방정을 유도하였으며 수컷은 흰색 또는 크림색 정자를 분비하고 암컷은 노란색 또는 오렌지색 난자를 분비하였다. 실험은 30분 내에 배우자를 수집한 후 실행하였다. 수정률 및 배아 발생률을 조사하기 위한 실험은 수정 후 각각 10분 및 64시간 실시하였다. 수정률은 대조군과 실험군과의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다. 배아발생률은 대조군에서 90% 이상 나타났고 실험군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냈다. 말똥성게($H.$ $pulcherrimus$)의 정상 배아 발생에 대한 Co (II)의 독성치는 반수영향농도($EC_{50}$) 71.84 ppb와 95% Cl 16.71~203.36 ppb로 나타났다. 또한 무영향농도(NOEC)는 <10 ppb로 나타났고, 최소영향농도(LOEC)는 10 ppb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Co (II)가 연안해역에 유입시, 10 ppb 이상의 농도로 존재할 경우 말똥성게($H.$ $pulcherrimus$)와 같은 연안정착성 생물의 초기 배아 발생단계는 심각한 영향을 받을 것으로 사료된다.

북쪽말똥성게 (Strongylocentrotus intermedius)의 난발생과 유생의 발달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Development of Egg and Larvae of Sea Urchin (Strongylocentrotus intermedius))

  • 이채성;김완기;김두호;정세한;박기영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94-98
    • /
    • 2003
  • 북쪽말똥성게의 인공종묘생산 기술개발의 일환으로 KCI용액 주사법으로 채란.채정된 알과 정자를 인위적으로 수정시켜 알과 유생의 발달과정 및 수온에 따른 발생속도를 조사하였다. 북쪽말똥성게의 수정난은 직경 122.5 $\mu\textrm{m}$의 구형이며, 알의 발생은 18$^{\circ}C$에서 수정 후 3시간만에 4세포기로 되고, 15시간이 지나면 부화를 하며, 수정 후 3일째에는 4완기 유생, 13일째에는 8완 전기유생, 20일째에는 8완 후기유생으로 되었다. 수온(T)에 따른 각 단계별 소요시간(t)의 관계를 보면, 부화기: 1/t=0.0036WT+0.0088 피라미드기: 1/t=0.0014WT-0.0016 4완기: 1/t=0.0009WT-0.0020 6완기: 1/t=0.0004WT-0.0005 8완기: 1/t=0.0002WT+0.0002로 표시되었다.

한국산 개불, Urechis unicinctus (von Drasche)의 생식주기 (Reproductive Cycle of the Echiuroid Worm Urechis unicinctus(von Drasche) in Southern Korea)

  • 최상덕;김호진;이원교;곽은주;윤호섭;라성주;이인곤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69-174
    • /
    • 2000
  • 한국산 개불의 명확한 생식주기를 밝히고 종묘생산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1998년 9월부터 1999년 8월까지 주로 조직학적 방법에 의해 생식소의 발달양상과 산란시기를 조사하였다. 생식소중량지수(GSI)는 11월에 암, 수 각각 7.01, 6.24로 연중 최고 값을 도였으며, 이후 급격히 감소하여 2월에 암수 각각 0.52, 1.04로 연중 최소 값을 보였다. 그 후 GSI는 급격히 증가하여 3~4월에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5월부터 다시 감소하기 시작하여 8월까지 특이한 변화가 없었다. 그리고 GSI는 10~ll월에 다시 증가하였다. GSI의 연중 변화를 종합해 볼 때 한국산 개불은 연 2회 산란한 것으로 판단된다. 개불의 난경 변화는 산란기인 12월에 평균난경은 96.16 ${\mu}$m였으며, 이후 급격히 감소하나 3월부터 서서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4월에 평균난경 81.52${\mu}$m, 5월에 105.20~29.60${\mu}$m의 높은 변화를 보였다. 암컷의 생식주기는 분열증식기91~2월, 6~9월), 성숙기(3~4월, 11월), 방출기(5월, 12월), 퇴화 및 휴지기(1월, 6월) 로 나눌 수 있고, 수컷의 생식주기는 분열증식기(1~2월, 6~9월), 성숙기(3~4월, 10~11월), 방출기(5월, 12월) 그리고 퇴화 및 휴지기(1월, 6월)로 나눌 수 있다. 개불의 난소에 있어 조직학적인 가장 큰 변화는 GSI가 가장 높은 11월과 3월에 주변인기의 난모세포가 관찰되었고, 생식소내 난모세포들의 성숙은 일괄적으로 일어난다. 정소는 정소내벽에서 분화.성숙되어 정소 내부로 떨어져 나오며 완숙시의 정소 조직은 초기의 정소와 비교하여 얇은 막으로만 이루어졌다.imer를 사용했을 경우 RAPD분석 결과 종간 및 종 내의 지역적 유전적 변이를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러나 K16/17과 K20/21 primer를 이용한 경우 종 내의 지역별 유전적 변이는 확인할 수 없었다. K13 primer의 경우 유사도 (similarity)는 보라성게 종 내의 지역적 차이가 0.67-0.92, 말똥성게의 경우 종 내의 지역적 변이 폭이 0.60-0.73으로 나타났으며 보라성게와 말똥성게의 종간 유사도는 17-44%로 낮게 나타났다. 제주 연안에 있어 지역에 따른 보라성게와 말똥성게의 크기, GSI등의 변이는 유전적 차이보다는 수온과 먹이 등 과 같은 생태학적 요인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ngto contains relatively high amount of trace elements, P, S, Zr, Sr, Ba, Rb, and Ce including considerable amount of Li, V, Cr, Zn, Co, Ni, Cu, Y, Nb, La, Nd, Pb, Th in excess of 10 ppm. Relatively high amount of most trace elements were detected in the Hwangto. The major and minor chemical compositions of the Hwangto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s of host rocks. However, their difference was in the similar range compared with the compositions of host rocks. electron acceptor triggers sensory transduction processes

  • PDF

말똥성게(Hemicentrotus pulcherrimus) 껍질 추출물의 Goto-Kakizaki 흰쥐에 대한 항당뇨 효과 (Anti-diabetic Effects of Hemicentrotus pulcherrimus Shells on Non-obese Type 2 Diabetic Goto-Kakizaki Rats)

  • 김길수;김대익;임애경;윤성란;김정옥;이기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1호
    • /
    • pp.1537-1543
    • /
    • 2011
  • 본 연구는 제2형 당뇨동물모델인 Goto-Kakizaki(GK)랫드에 대한 성게껍질의 항당뇨 효과를 조사하였다. 즉 Wistar 랫드로 구성된 정상군, GK랫드 대조군, GK랫드에 성게껍질을 각각 100 mg/kg 및 200 mg/kg 투여군으로 나누고 매일 1회씩 4주간 경구투여 하여 체중, 혈당, 혈장 인슐린 농도 및 경구당부하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성게껍질을 투여한 GK랫드의 혈당은 203.8${\pm}$29.8 mg/dL에서 138.5${\pm}$21.2 mg/dL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성게껍질투여에 따른 GK랫드의 혈장 내 인슐린 농도의 변화는 없었다. 경구당부하 검사에서 성게껍질을 투여한 GK랫드는 15~120분에서 대조군보다 더 낮은 혈당으로 나타났다. 또한 췌장의 조직학적 변화는 성게껍질을 투여한 랫드에서 전체적인 췌도세포의 크기나 공포성 변화 및 선방세포의 배열 및 크기가 대조군에 비하여 정상군에 근접한 형태로 나타났다. 따라서 성게껍질은 당뇨모델인 GK 랫드의 혈당을 저하시키고 내당능이나 인슐린저항성을 개선하므로 향후 이를 활용하여 항당뇨 식품 및 원료개발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말똥성게 (Hemicentrotus polcherrimus)의 수정전과 초기 발생동안 RNA 및 단백질합성의 변화 (Changes in the RNA and Protein Synthesis at the Pre- and Post fertilization Stages of a Sea Urchin, Hemicentrotus pulcherrimus)

  • Jang, Jeong-Won;Lee, Yang-Rim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71-84
    • /
    • 1985
  • 성게의 일종인 Hemicentrotus pulcherrimus에서 수정전에 이미 축적되었던 mRNA의 활성화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초기 발생동안의 RNA와 단백질 합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미수정란에서는 RNA와 단백질의 합성들이 대단히 낮았다. 그러나 수정과 함께 RNA합성은 크게 변하지 않은 반면, 단백질합성은 크게 활성화되었다. RNA와 단백질 합성율이 병행적으로 변하지는 않지만, 포배와 낭배에서 크게 증가함을 볼 수 있었다. 단백질합성은 양적으로 뿐만 아니라 질적으로도 발생단계에 따라 변하는 사실을 이차원 전기영동에 의한 연구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말똥 성게의 DNA Polymerase $\alpha$의 정제와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stic Properties of DNA Polymerase $\alpha$ from Sea-Urchin, Hemicentrotus pulcherrismus)

  • 하미숙;류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36-145
    • /
    • 1987
  • 말똥 성게를 인공 수정시킨 후 column chromatography법으로 DNA polymerase $\alpha$를 분리 정제하였다. Sephadex G-200과 SDS polyacryamise gel electophoresis에 의한 DNA Polymerase $\alpha$의 분자량은 약 $137,000\~138,000$이였다. 효소활성의 최적 pH는 7.4였고, 칼슘이온 20mM, 나트륨이온 25mM에서 활성이 높았고, 마그네슘 이온은 10 mM 일 때 활성이 높았다. DNA polymerase $\alpha$는 N-ethylmaleimide, aphidicolin, cytosin $\beta-D-arabinofuranoside$ 5'-triphosphate (ara CTP)와 phosphonoacetic acid체 의하여 활성이크게 저하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