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만능시험장치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31초

자기점성유체 댐퍼의 자기장 및 유동 해석에 따른 성능비교 (Comparison of Performances refer to Magnetic and Fluid Analysis of Magneto-Rheological Flow Damper)

  • 송준한;손성완;이규섭;전종균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98-102
    • /
    • 2009
  • The magneto-rheological fluid expresses different cohesiveness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external electric current. To manufacture the magneto-rheological fluid damper that uses such characteristics of the fluid, a flow analysis of the inner damper was conducted to forecast the damper's capacity. In addition, using the finite element method software,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electromagnetic field around the coil operation unit inside the damper. Based 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a single core damper and a double core damper were built and tested for their dynamic function. Based on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propriety of the flow analysis was demonstrated, and the proposed model was verified.

  • PDF

국산 폴리카보네이트 브라켓 윙의 파절 강도에 관한 연구 (Fracture strength of tie wings in a newly-developed polycarbonate bracket)

  • 선민규;이기헌;황현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04-211
    • /
    • 2007
  • 심미적 교정장치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폴리카보네이트 브라켓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으나 이는 윙이 쉽게 파절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새롭게 개발된 국산 폴리카보네이트 브라켓의 윙의 파절 강도를 측정하여 임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지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실험군으로 Alice 브라켓을, 대조군으로 Spirit MB 브라켓을 사용하여 상온에서 방치한 경우와 $5^{\circ}C$$55^{\circ}C$에서 2,000회 열변환 시킨 경우로 나눈 다음, 만능시험기를 이용하여 브라켓 윙의 파절 강도를 측정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상온에서 방치한 경우와 열변환 시킨 경우 모두에서 Spirit MB 브라켓에 비하여 Alice 브라켓 윙의 파절 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Alice 브라켓이 윙의 파절 강도 면에서 임상적으로 사용 가능함을 시사하였다.

고추수확기용 선별장치의 입자 거동 해석을 위한 고추 물성측정 (Measurement of Physical Properties of Pepper for Particle Behavior analysis of sorting system for Pepper Harvester)

  • 변준희;김수빈;김명호;김대철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 /
    • pp.9-9
    • /
    • 2017
  • 입자거동해석소프트웨어(EDEM)은 DEM(Discrete Element Method)기법을 이용한 입자 거동 전용 해석툴로 입자 유입량, 위치 등을 조절하여 입자거동과 관련된 제품 개발, 프로세스 최적화를 위한 비용 및 시간 절감에 활용도가 뛰어난 소프트웨어이다. EDEM을 활용하기 위해선 적용대상에 대한 물성치를 적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EDEM를 이용하여 현재 연구개발 중인 카드클리너 방식의 고추 선별기의 성능을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고추 물성측정 실험을 수행 하였다. EDEM을 이용한 입자거동해석에 필요한 개인 물성치에는 포아송비, 전단탄성계수, 밀도가 있다. 또한 입자-입자, 입자-Geometry 간의 상호관계를 위한 물성치인 반발계수, 정지마찰계수, 구름마찰계수가 필요하다. 공시 시료인 고추는 광주광역시 남구 승촌동 소재의 개인농가 Plastic 온실로 재배된 '천상'품종을 사용하였다. 푸아송 비와, 전단 탄성계수를 측정하기 위한 인장시험기기로는 만능인장시험기(TA-XT2, Stable Micro, 영국)를 이용하였으며, 인장에 의한 고추의 변형량 축정은 초고속카메라(NX4-SI, IDT, 미국)을 이용하였다. 밀도는 비중병법에 기초하여 질량과 부피를 측정하여 밀도를 계산하였다. 반발계수는 고추의 충돌 실험을 통해 변화한 높이를 이용하여 계산하였고, 충동 실험을 통해 변화한 높이는 초고속카메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정지마찰계수와 구름마찰계수는 고추의 미끄러짐이 시작하는 각도와 등속도 운동으로 구르는 각도를 초고속카메라를 이용하여 측정 후 계산하였다. 모든 실험은 3번 반복을 통해 평균값을 시험 결과 값으로 이용하였다. 고추의 대한 물성치 실험결과 고추의 푸아송 비는 0.294(std : 0.2), 전단탄성계수 4.624E+06 Pa, 밀도 $600kg/m^3$로 나타났다. 또한 입자-입자 간의 물성치인 반발계수는 0.383, 정지마찰계수는 0.455, 구름마찰 계수는 0.043로 나타났다. 추후 본 연구에서 측정한 고추의 물성치를 적용한 EDEM 입자거동해석 시뮬레이션을 통해 카드클리너 방식의 고추 선별기의 성능에 대한 분석을 하고자 한다.

  • PDF

솔더접합부에 대한 기계적 스트레스 평가 (Evaluation of Mechanical Stress for Solder Joints)

  • 김정관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61-68
    • /
    • 2002
  • 지금까지 전자 디바이스의 솔더접합부에 대한 신뢰성 평가에 있어서는 열충격시험에 의한 평가가 주류를 이루었다. 그러나 최근 모바일 제품이 소형화/다기능화되고 고밀도실장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BGA/CSP와 같은 솔더볼을 사용하는 패키지가 표면실장의 주류를 이루게 되었으며, 솔더접합부에 대한 메커니컬 스트레스 수명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BGA/CSP의 솔더접합부에 대한 신뢰성 평가는 하중을 가한 상태에서 데이지체인 패턴의 전기적 저항변화와 스트레인 게이지에 의한 스트레스-스트레인 커브에 의해 행해진다. 본 연구에서는 자체 개발한 PCB만능시험장치의 응용과 솔더접합부에 대한 메커니컬 스트레스의 동적거동을 평가한 소니의 실험자료를 소개하도록 한다.

  • PDF

수종별 벌채부산물의 압축 변형 특성 (Compressive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Logging Residues by Tree Species)

  • 오재헌;최윤성;김대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2호
    • /
    • pp.198-20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수종별 벌채부산물의 압축 변형 특성을 규명함으로써 벌채부산물을 압축할 수 있는 장비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만능재료시험기(Universial Testing Machine)를 이용한 압축재하 시험장치로 벌채부산물의 3회 반복 압축-변형 특성시험을 통해 수종별 벌채부산물의 목표밀도 압축에 필요한 소요압축력을 구하였다. 리기다소나무(Pinus rigida), 잣나무(Pinus koraiensis),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의 반복 압축 시 응력-변형률 자료를 기반으로 지수함수 형태로 모델화한 것의 물리적 특성 값을 분석한 결과, 목표밀도 $350kg/m^3$$400kg/m^3$ 모두 벌채부산물 기계적 성질에 따른 응력계수는 압축횟수가 늘어나면서 줄어드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반대로 변형율 계수는 늘어나는 경향을 나타냈다. 모델화를 통해 압축횟수가 증가할수록 압축에 요구되는 소요응력은 줄어들고, 변형율 변화에 비해 응력증가가 커지는 특성이 있으므로, 적절한 초기 압축력이 벌채부산물의 목표밀도 달성에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탄소나노섬유가 강화된 하이브리드 복합재료의 제조 및 기계적 특성 (Manufa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Carbon Nanofiber Reinforced Hybrid Composites)

  • 정상수;박지상;김태욱;공진우
    • Composites Research
    • /
    • 제18권3호
    • /
    • pp.1-6
    • /
    • 2005
  • 탄소나노섬유는 기계적, 전기적, 화학적, 열적 성질 등의 우수하고, 독특한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탄소나노섬유의 우수한 물성에도 불구하고, 탄소나노섬유가 강화된 고분자 복합재료의 물성은 비례적으로 증가하지 않는다. 이러한 원인은 탄소나노섬유가 고분자 재료 내에 고루 분산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복합재료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탄소나노섬유가 강화된 하이브리드 복합재료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탄소나노섬유의 고른 분산을 위해, 초음파 분산장치를 이용한 용융 혼합방법을 이용하였고, 전자현미경(SEM)을 통해 탄소나노섬유의 분산정도를 확인하였으며, 만능시험기(UTM)를 이용하여 탄소나노섬유가 강화된 하이브리드 복합재료의 기계적 물성을 평가하였다.

접착방법 및 multistranded wire의 종류에 따른 접착식 보정장치의 전단접착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hear bond strength of bonded retainer according to the bonding method and type of wires)

  • 이형철;손우성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2권2호통권91호
    • /
    • pp.143-153
    • /
    • 2002
  • 콤포지트와 여러가닥 강선을 사용하여 제작된 접착식 보정장치는 심미적이며, 효과적인 보정장치라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접착식 보정장치의 전단접착강도를 측정하고, 접착식 보정장치의 제작 시 사용하는 여러가닥 강선 및 접착방법의 이상적인 조합을 제시하기 위해 디자인되었다. 교정치료를 위해 발거한 건전한 상하악 소구치 160개를 사용하여 80개의 시편을 제작하였다. 접착면적 및 강선의 길이, 콤포지트의 두께를 동일화하고, 직접접착 및 간접접착의 방법으로 여러가닥 강선을 접착하여 접착식 보정장치를 제작하였다. 만능시험기를 사용하여 각 시편에서의 전단접착강도 및 강선의 탈락시까지의 신장량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6가닥, 0.0155인치의 강선에서 가장 큰 최대 접착강도를 보이고, 3가닥, 0.0195인치의 강선에서 가장 작은 최대 접착강도를 보였는데, 그 차이는 유의할 만큼 크지 않았다(p<0.05). 즉 강선의 직경 및 가닥수는 접착강도와 큰 연관성이 없다. 2. 3가닥, 0.015인치의 강선에서 가장 큰 신장량을 보여 주었고, 3가닥, 0.0195인치 강선에서 가장 작은 신장량을 보여주었다(p<0.05). 강선의 직경이 작을수록 신장량은 크게 나타났으나, 강선의 가닥수는 신장량과 큰 연관성이 없다. 3. 두 가지 접착방법의 비교에서 간접 접착술식을 사용했을 때 더 큰 접착강도 및 신장량을 보여 주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5).

PVdF 나노섬유와 Graphene Oxide 하이브리드막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VdF Nanofibers and Graphene Oxide Hybrid Membrane)

  • 정혜민;진유동;양우석;변홍식
    • 멤브레인
    • /
    • 제23권3호
    • /
    • pp.204-210
    • /
    • 2013
  • 본 연구는 microfiltration (MF) 적용을 위한 PVdF/GO 하이브리드 나노섬유막(FG) 제조에 관한 것이다. 지지체인 PVdF (polyvinylidene difluoride) 나노섬유막은 N,N-Dimethylacetamide (DMAc)와 아세톤에 PVdF를 녹여 방사용액 제조 후 전기방사법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GO (grapheme oxide) sheets는 Hummer's 방법에 따라 제조되었으며, PVdF 나노섬유 지지체 위에 에탄올에 분산시킨 GO용액을 분사함으로써, 최종적으로 PVdF/GO 하이브리드 나노섬유막(FG)을 제조하였다. FG막은 SEM, Raman, 접촉각, 기공특성분석장치(Porometer), 만능인장시험기(UTM)를 사용하여 조사하였고, 수투과도 분석은 제작된 셀(Dead-End Cell)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접촉각 측정 결과로부터 제조된 FG막의 표면이 친수성으로 개질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수투과도값은 PVdF막에 비해 약 2.5배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토오크 양에 따른 세라믹 브라켓의 파절 저항성 (Fracture resistance of ceramic brackets to arch wire torsional force)

  • 한정흠;장민희;임용규;이동렬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93-304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임상에서 쓰이는 수종의 치과교정용 세라믹 브라켓에 교정용 호선으로 토오크 적용 시 파절에 저항하는 정도를 비교하고 그 파절 양상을 관찰하였다. $022\;{\times}\;028-inch$ slot을 가진 상악 중절치 세라믹 브라켓에 $0215\;{\times}\;027-inch$ 스테인레스 강 교정용 호선에서 발생하는 설측 치근 토오크를 적용시켜 각 15개씩 7종의 브라켓을 시험하였다. 파절 시험용 장치를 제작하고 토오크 각도를 증가시키면서 만능시험기로 세라믹 브라켓이 파절되는 순간의 토오크 값을 측정하였다. 또한 세라믹 브라켓의 파절 양상을 알아보고자 토오크 값 측정 후 파절이 일어난 부위를 관찰하고 그 위치를 기록한 주사전자현미경으로 파절면을 관찰하였다.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볼 때 세라믹 브라켓의 결정구조와 제조 방법이 파절 저항성에 크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결정 알루미나 (Inspire) 브라켓이 InVu를 제외한 다결정 알루미나 브라켓에 비하여 토오크에 대한 파절 저항성이 유의성 있게 크게 나타났다 (p < 0.05). Metal slot이 삽입된 브라켓은 그렇지 않은 브라켓과 토오크에 대한 저항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 >0.05). 파절 양상에 관한 관찰에서는 metal slot이 있는 다결정 알루미나 브라켓인 Clarity는 모두 절단측 slot base에서 부분적으로만 파절이 일어났고 다른 종류의 브라켓들은 다양한 부위에서 파절이 일어났다. 본 연구 결과, 실험에 사용한 모든 세라믹 브라켓에서 파절이 일어난 순간의 토오크 값과 토오크 각은 실제로 상악 중절치의 치근을 이동하는데 필요한 토오크보다 큰 것이었으므로, 실제 임상 치료 시 적절한 파절 저항을 나타낼 것으로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