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막구조물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8초

수중 유체저장용 막구조물 형상의 이론적 해석 (An Analytic Solution of the Shape of a Partially Filled, Submerged Membrane Container)

  • 최윤락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39-43
    • /
    • 2008
  • For a partially filled and deeply submersed membrane container, an analytic solution for similarity shape was studied. The static shape of a membrane container can be expressed as a set of nonlinear ordinary differential equations. These equations are combined into an integrable equation. The solution of the equation is derived in terms of elliptic integrals, the arguments of which contain an unknown at the point of inflection. The point of inflection is determined by using the boundary condition at a separating point. Some characteristic values of the similarity shape were evaluated and the shapes are illustrated.

수평 지반에 놓인 액체 저장용 막구조물 형상의 단면 체적에 따른 해석적 해 (Analytic Analysis of Liquid-Filled Membrane Container Resting on Horizontal Foundation with Given Cross-Sectional Volume)

  • 최윤락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62-66
    • /
    • 2011
  • In this paper, a liquid-filled long membrane container resting on a horizontal foundation is considered. All of the quantities are normalized to obtain similarity solutions. A system of nonlinear ordinary differential equations with undetermined boundary conditions is solved analytically. The integration of the curvature gives the solutions, which are expressed in terms of the elliptic integrals. A method for finding the shape and characteristic values is proposed for a given cross-sectional volume. The validity of these solutions is confirmed, and some results are shown for characteristic values and shapes.

경사면에 놓인 유체 저장용 막구조물 형상의 이론적 해석 (An Analytic Solution of the Shape of an Inclined, Partially Filled Membrane Container)

  • 최윤락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5-50
    • /
    • 2007
  • For a long partially-filled membrane container on an incline, the analytic solution of the similarity shape is studied. The nonlinear equation is solved and its solution is expressed as elliptic integrals, which include an unknown at the point of inflection. The point of inflection is determined by using the boundary condition at the upper separating point. Some characteristic values of the universal shape are evaluated, as the functions of inclination angle and shapes are illustrated for some cases.

부유식 유체저장용 2차원 막구조물의 이론적 해석 (An Analytic Analysis for a Two-Dimensional Floating and Fluid-Filled Membrane Structure)

  • 최윤락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2-37
    • /
    • 2009
  • An analytic similarity shape solution was studied for a two-dimensional floating and fluid-filled membrane structure. The static shape of a membrane structure can be expressed as a set of nonlinear ordinary differential equations. The integration of curvature leads to an analytic solution for the shape, which contains unknown boundary values. Matching the upper and lower shapes at the free surface incorporated with their buoyancy allowed the unknowns to be determined. Some characteristic values of similarity shapes were evaluated and shapes are illustrated for various density ratios and volume efficiency ratios.

막구조물의 형상탐색 및 최적재단도 해석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m Finding and Optimal Cutting Pattern Analysis Technique of Membrane Structures)

  • 서삼열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457-464
    • /
    • 1999
  • 본 논문의 목적은 막구조물의 형상해석, 응력-변형 해석, 재단도 해석을 수행하는 것이고, 재료는 선형탄성, 응력은 평면응력의 상태로 가정한다. 케이블 및 막구조물은 외력에 대한 변형이 매우 큰 구조물이기 때문에 기하비선형을 고려한 비선형해석을 하여야 한다 해석은 일반적인 구조물과는 달리 다음의 3단계로 구성된다. 첫 번째 단계는 초기 평형형상을 결정하기 위한 형상해석이고, 두 번째 단계는 다양한 외력이 가해졌을 때 구조물의 거동을 파악하는 응력-변형 해석이다. 이렇게 하여 일단 만족된 형상이 얻어지면 형상해석에서 얻은 결과를 기초로 하여 시공적 관점의 재단도 해석이 수행된다. 본 논문에서는 서귀포 월드컵 축구 경기장 지붕 구조물의 예를 들어 형상해석, 응력-변형 해석, 재단도 해석을 수행하고, 카테노이드(Catenoid) 구조물을 이용하여 최적재단도에 관한 해석기법을 제시한다.

  • PDF

화이트 노이즈 음파를 이용한 막구조물의 장력 측정장치 개발 (Development of Measurement Equipment of Membrane Stress Using White Noise Sound Wave)

  • Jin, Sang-Wook;Ohmori, Hiroshi;Kim, Jae-Yeol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63-72
    • /
    • 2008
  • 휨이나 압축에 저항할 수 없는 막재료에 적절한 장력을 도입함으로써 안정화 되는 막구조물은, 유지 관리면에 있어서 막면에 도입되어 있는 장력을 설계대로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지만, 준공후 막면에 도입되어 있는 장력을 정확하게 파악하기가 어렵다. 저자들은, 직방형의 경계를 가지는 막을 가청역의 음파를 이용해 진동시키고, 진동하는 막의 공진진동수를 측정함으로써 간접적으로 막장력을 측정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막을 진동시키는 음파로서 정현파와 화이트 노이즈를 이용해 검증실험을 해 왔다. 본 논문은 주요 막재료를 이용해 행한 막장력 측정 이론의 검증을 위한 실험 결과와, 실재하는 막구조물의 장력측정을 통해, 본 측정장치의 정확성과 폭 넓은 적용성 및 측정에 있어서의 안정성을 검증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