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막구조물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17초

선재 요소를 이용한 막 구조물의 형상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hape Analysis of Membrane Structures Using Line Elements)

  • 김승덕;이신우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45-60
    • /
    • 2010
  • 막 구조물의 비선형 문제는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연구가 있었고 현재 또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막 구조물은 해석방법에 따라 그 수렴성이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비선형 문제는 매우 복잡하고 정교한 연구가 수반되어야 하며 고도의 기술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해석방법에 대한 접근이 초기형상결정단계부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해석할 때에 발생하는 해의 발산과 면재의 쏠림 현상에 대한 해결책으로 막 구조물 설계 시에 많이 사용되는 삼각형 평면요소에 대해서 선재로 치환하여 해석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카테나리 예제를 대상으로 해석을 수행하여 해의 수렴성 및 신뢰도를 고찰한다.

  • PDF

막장력 측정을 통한 막구조물의 장력 유지관리 시스템 검토 (Review of Membrane Tension Maintenance System for Membrane Structures through Membrane Tension Measurement)

  • 진상욱;손수덕;이승재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39-45
    • /
    • 2016
  • Membrane structure is a system that is stabilized by maintaining a tensile state of the membrane material that originally cannot resist the bending or pressure. Also, it is a system that allows the whole membrane structure to bear external loads caused by wind or precipitation such as snow, rain and etc. Tension relaxation phenomenon can transpire to the tension that is introduced to the fabric over time, due to the innate characteristics of the membrane material. Thus, it is important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size of the membrane tension after the completion of the structures, for maintenance and management purposes. The authors have proposed the principle of theoretically and indirectly measuring the tension by vibrating the membrane surface with sound waves exposures against the surface, which is compartmentalized by a rectangular boundary, and by measuring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membrane surface that selectively resonates. The authors of this paper measured the tension of preexisting membrane structure for its maintenance by using the developed portable measurement equipment. Through analyzing the measurement data, the authors review the points that should be improved and the technical method for the new maintenance system of membrane tension.

비선형 형상 탐색 기법에 따른 막구조물의 오차와 수렴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imate for Error and Convergence of Membrane Structures According to the Nonlinear Form-finding Techniques)

  • 손수덕;김승덕;정을석;전진형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7권3호
    • /
    • pp.57-66
    • /
    • 2007
  • 연성구조시스템 중 하나인 막 구조물은 대공간 구조물에 많이 사용되어진다. 막 구조물은 축강성이 강하고 휨강성이 매우 작은 재료로서 구조물의 설계는 강성구조물과는 달리 형상해석, 응력-변형해석 그리고 재단도 등의 일련의 과정을 필요로 한다. 막 구조물의 형상해석은 일반적으로 초기 불안정 상태의 막 면에 초기강성을 부여함으로서 평형상태에 이르게 되는 역학적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으며, 이와 같은 곡면을 해석적으로 구하는 데는 해석상의 수렴 및 발산 그리고 오차 발생에 따른 문제를 해결해야만 한다. 본 논문에서는 막 구조물의 초기곡면을 형성하기 위한 형상탐색기법에 대한 수렴 및 오차에 관하여 연구하고, 적용된 예제의 해석 결과를 바탕으로 해가 수렴해 가는 과정 및 제어변수에 따른 수렴속도 및 효율성을 살펴본다.

  • PDF

저온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실리콘코팅 막구조 원단의 특성변화 (Properties of Silicon Coated Fabric for Membrane Treated by Low Temperature Plasma)

  • 박법;이장훈;구강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11년도 제44차 학술발표회
    • /
    • pp.60-60
    • /
    • 2011
  • 막구조는 근래에 와서 대공간 구조 및 지붕구조에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경량 인장 구조물로 각광받고 있다. 구조용 막재는 풍하중 및 설하중에 충분히 감당할 수 있도록 강도와 내구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막구조 재는 PVC코팅 폴리에스터막, 실리콘코팅 유리섬유막, PTFE코팅 유리섬유막이 있다. 제직되는 원단의 크기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재단 후 접착하여 제작한다. 이 때문에 이음부분이 나 재단부분에 코팅으로 인한 접착이 어려워 고온고압으로 접착을 한다. 이 연구에서는 실리콘코팅 유리섬유막의 접착시 어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저온 Plasma를 이용한 처리법으로 방전에 의해 Plasma를 발생시켜 50w, 100w 출력으로 10분, 20분간 처리하여 그 결과를 접촉각과 SEM 관찰을 통해 표면처리를 관찰하였다. Plasma 처리로 인해 실리콘 표면층에 균열이 발생하고 표면이 갈라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접촉각측정 결과 Plasma 출력과 시간의 증가함에 따라 접촉각은 감소하였다. 실리콘코팅 원단에 저온 Plasma 처리한 후 표면 특성을 분석하고 원단을 접착을 시켜 박리 강도를 측정함으로써 막구조 원단의 접착력 향상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KS K 0533 접착포의 박리 강도 시험방법으로 실리콘코팅 원단의 박리 강도를 측정한 결과 플라즈마 처리 원단이 플라즈마 미처리 원단보다 박리 강도가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저온 Plasma 처리 시간이 증가할수록 표면의 젖음성을 향상시켜 접촉각을 낮추었다. 이는 곧 표면에너지의 증가를 뜻하는 것으로 접착력을 증가시켜 실리콘코팅 원단의 접착성을 시킴으로써 강한 강도와 내구성을 갖춘 막구조물의 개발에 기대되고 있다.

  • PDF

집성재를 이용한 막구조물의 시공 및 설계 (Membrane Structural Design and Construction by Using Glued Laminated Timber)

  • 황부진;고광웅
    • 한국공간구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간구조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9-52
    • /
    • 2008
  • 목재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공학목재는 기존에 구조용으로 사용되어 오던 목재제품에 비해 강도가 높으면서도 안정적인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설계 상세에 따라 부재를 주문 제작이 가능하며, 대규모 건축물에도 주요 구조체로 사용되어져 오고 있다. 장 스팬이 요구되는 재료로 구조용 집성재나 목재 I형장선, 단판적층재(LVL) 등을 활용하여 사용되고 있다. 본 프로젝트는 공학목재 중에서 집성재 및 막재를 이용한 구조 시스템으로, 강원도 뿌리기념관 공원공사 중 "야외무대 지붕공사"로 구조 재료, 구조설계 및 시공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붕 구조재는 PVF/PFLT(테드라 필름코팅) 소재의 막이 사용되었다. 기둥 및 경사 부재는 강재(SS400)를 사용하였고, 캔틸레버 보 부재는 비대칭 구성 집성재(10S-28B)를 이용하였다.

  • PDF

건축용 유리섬유 및 폴리에스테르섬유 막재의 난연특성 (Flame Resistance Performance of Glass Fiber and Polyester Fiber Architectural Membranes)

  • 김지현;송훈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1호
    • /
    • pp.17-23
    • /
    • 2016
  • 막구조물은 코팅된 직물을 주재료로 하는 구조로 연성을 가진 막을 사용하여 외부하중에 대해 안정된 형태를 유지하는 구조물을 말한다. 막에 의한 구조시스템은 대공간 시공이 가능하고 가벼우며 빛을 투과할 수 있는 등 자원 및 관리비용 절감 면에서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용도의 구조물에 적용되며 그 사용용도가 점차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막구조 건축물 및 막재가 다양해짐에도 불구하고 화재안전을 고려한 막재의 성능에 대한 기준은 미비한 실정이며 다양한 용도에 적합한 난연성능이 우수한 막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판되는 건축용 막재인 PTFE, PVDF와 PVF, ETFE 필름 막재의 방염 및 난연성능 시험 등을 통해 건축용 막재의 난연특성을 확인하였다.

성적 성숙에 따른 생쥐 부정소 상피세포의 미세구조 변화 (Ultrastructural Changes of Epididymal Epitheliurn during Sexual Maturation in Mouse)

  • 윤현수;최규완;김종흡;김문규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78-93
    • /
    • 1990
  • 생쥐가 성숙하는 동안 부정소 상피세포의 분화와 부정소액의 분비 및 흡수와 관련된 미세구조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생후 10, 20, 35 그리고 80일 된 생쥐에서 부정소 상피세포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생쥐 부정소의 분화과정은 미세구조의 특징에 따라 생후 20일가지의 미분화기, 생후 35일 전후의 성장 및 분화기, 그리고 성체의 성숙기로 구분되었다. 각 시기는 정소에서 세정관의 강소 형성시기 그리고 정소액과 더불어 정자가 부정소에 유입되는 시기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성체의 부정소 상피세포 중 주세포는 두부 부정소 기부에서 흡수 기능을 갖는 구조였고, 두부의 말부와 체부 그리고 미부에서는 조면소포체와 골지체가 발달되어 단백질 합성과 분비가 왕성한 구조로 관찰되었다. 투명세포는 주로 체부와 미부에 존재하였으며 세포질내에 흡수과립이 많이 존재하였고, 그 속에는 정자에서 분리된 세포질 잔기로 사료되는 막구조물이 관찰되었다. 부정소 부위에 따라 상피세포의 종류와 분포가 달랐고, 동일한 종류이 상피세포라도 부위별로 미세구조가 다르게 관찰되었다.

  • PDF

막구조물의 재단도를 위한 측지선 형상해석 알고리즘 (Geodesic Shape Finding Algorithm for the Pattern Generation of Tension Membrane Structures)

  • 이경수;한상을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33-42
    • /
    • 2010
  • 막구조의 설계에서 막재료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서는 측지선에 의한 재단도 해석을 수행해야 한다. 막구조의 측지선 결정방법은 크게 측지요소(geodesic element)를 이용한 비선형 형상해석에 의한 방법과 임의의 곡면 형상에 대한 측지선 탐색에 의한 방법으로 나눌 수 있는데, 현재까지 이 두 가지 해석법은 모두 3절점요소에 대한 적용알고리즘 만이 제시되었고, 4절점 요소에 대한 해석법은 제시되지 않았다. 이는 막구조의 설계에서 4절점 요소의 적용을 어렵게 하는 가장 큰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3절점, 4절점 평면요소에 동시에 적용 가능한 측지선 결정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저자의 이전 연구를 발전시켜 명시적 비선형 해석법인 동적이완법을 비선형 측지선 형상해석에 적용하였다. 또한 3절점요소 뿐만 아니라 4절점요소에 대해서도 측지요소의 도입에 의한 형상해석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4절점요소와 측지선요소에 의한 비선형 형상해석 및 재단도 해석예제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한 알고리즘의 정확성 및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측지선 형상해석알고리즘은 형상해석, 응력해석, 재단도 해석과 관련된 일련의 해석과정에 대한 4절점요소의 적용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스플라인 곡선을 이용한 막구조물의 재단도 작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utting Pattern Generation of Membrane Structures Using Spline Curves)

  • 손수덕;이승재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109-119
    • /
    • 2012
  • 막 구조물은 일반적인 설계와는 달리 형상해석, 응력변형해석 및 재단도 과정을 수행하여야만 설계가 가능하다. 처음 두 과정과는 달리 재단은 3차원 곡면을 최소 오차를 가진 평면 스트립을 형성하는 과정이다. 경제적인 이유로 재단 선은 주로 측지선을 이용하여 작성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측지선은 초기 형상탐색에서 구성된 삼각형 요소의 정보에서 추출됨으로 부드러운 곡선이 아니며, 불규칙한 직선이다. 그러므로 어떻게 불규칙한 직선을 곡선으로 표현할 것인가가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플라인 함수를 이용한 보간 방법을 재단도 생성에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서 삼차 스플라인 함수, B-스플라인 함수 및 최소자승 스플라인 함수의 세 가지 경우에 대해서 고찰하고, 단순 모델 및 카테나리 모델을 대상으로 재단도 작성 결과를 검토하였다. 단순모델의 해석요소수와 추출된 불연속 절점 수에 따른 보간 곡선 비교결과는 요소수가 큰 경우 추출된 절점의 수가 적은 것이 효과적이며, 최소자승 보간이 다른 방법보다 더 부드러운 재단 경계선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