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마이크로/나노접촉

Search Result 60,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연잎과 같은 Dual-scale의 $TiO_2$ 표면구조 제작방법

  • Choe, Hak-Jong;Sin, Ju-Hyeon;Han, Gang-Su;Kim, Gang-In;Lee, Heon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1.05a
    • /
    • pp.33.1-33.1
    • /
    • 2011
  • 최근 산업에서는 산업의 고도화로 인한 환경오염이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 중, 친환경소재에 대해 연구가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연잎의 자기세정효과(self-cleaning effect)에 관한 연구는 이러한 친환경소재에 대한 연구 중 하나이다. 연잎의 표면은 마이크로 크기의 돌기와 나노 크기의 왁스의 dual-scale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왁스의 경우 소수성을 가진다. 이러한 dual-scale 구조와 소수성의 왁스에 의해 초소수성이 발현되고, 결과적으로 연잎의 자기세정효과가 발현된다. 본 연구에서는 나노임프린트 리소그래피와 수열합성법을 이용한 나노로드 성장을 이용하여, 연잎의 dual-scale의 표면구조를 형성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나노임프린트 리소그래피와 수열합성법은 다른 공정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을 필요로 하고, 대면적에 적용이 가능한 기술이다. 실험 진행은 먼저 silicon 마스터 스탬프를 역상으로 복제한 PDMS (Polydimethylsiloxane) 스탬프와 $TiO_2$ sol을 이용하여 기판 위에 $TiO_2$ gel 패턴을 형성한 후, 열처리 과정을 통해 $TiO_2$ gel 패턴을 결정화한다. 다음으로 결정화된 $TiO_2$ 패턴 기판을 수열합성 방법을 이용하여 $TiO_2$ 나노로드를 무작위적으로 형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소수성을 갖는 자기 조립 단분자막 용액을 이용하여 소수성 표면처리를 한 후 접촉각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기술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기판에 초소수성 표면을 형성할 수 있고, 자기세정효과를 갖는 표면을 구현할 수 있다.

  • PDF

Cost Effective Fabrication of a Triboelectric Energy Harvester Using Soft Lithography (소프트 식각법을 이용한 효율적 제작방식의 마찰전기 에너지 수확소자 개발)

  • Lee, Jun-Young;Sung, Tae-Hoon;Yeo, Jong-Souk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 /
    • v.22 no.4
    • /
    • pp.198-203
    • /
    • 2013
  • Energy harvesting refers to converting ambient energy from our surroundings, which would be otherwise wasted, into useful electrical energy. A triboelectric energy harvester is a self-charged device for harnessing mechanical energy based on a coupled process of contact charging and electrostatic induction. In this research, we demonstrate simple fabrication of prototype triboelectric energy harvester using soft lithography and its electrical characterization. Triboelectric generation occurs between the two micro patterned layers of Au and PDMS. A micro pattern is simply replicated directly from the bottom layer to the top layer using soft-lithography without an extra transfer process. This generator can produce an output voltage of 2 V and output current of 20 nA.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Micro Sized Silicon/CNT/Carbon Composite as Anode Material for Lithium Ion Batteries (리튬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로서 Micro sized Silicon/CNT/Carbon 복합입자의 전기화학적 특성)

  • Shin, Min-Seon;Lee, Tae-Min;Lee, Sung-Man
    • Journal of the Korean Electrochemical Society
    • /
    • v.22 no.3
    • /
    • pp.112-121
    • /
    • 2019
  • In this study, silicon / carbon nanotube / carbon composite particles with high capacity were fabricated by using micro-sized silicon particles and carbon nanotubes as an anode material for lithium ion batteries. The silicon / carbon nanotube / carbon composite particles were prepared by spray drying method to prepare spherical composite particles. The composite particles have the network structure of the carbon nanotubes around the silicon particles, in which the silicon particles and the carbon nanotubes are bonded by amorphous carbon. It appears that the volume expansion of silicon is effectively buffered and the electrical contact is maintained in the network structure of the composite particles during charge-discharge cycles.

Effect of PVP Molecular Weight on Size of Sn Nanoparticles Synthesized by Chemical Reduction (주석 나노 입자의 상온 환원 합성에서 PVP Capping Agent의 분자량에 따른 입도 변화)

  • Jang, Nam-Ie;Lee, Jong-Hyun
    • Journal of the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Society
    • /
    • v.18 no.4
    • /
    • pp.27-32
    • /
    • 2011
  • Tin nanoparticles were synthesized at room temperature by a compulsive reduction reaction using tin(II) acetate and tin(II) chloride precursors. When an identical amount (0.015 g) of polyvinyl pyrrolidone (PVP) was added, it was concluded that the probability of abnormally big particles forming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PVP molecular weight, resulting in the wide distribution of Sn nanoparticles.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measurements were carried out using diethylene glycol solution containing synthesized tin nanoparticles. When the population of specific particles with sizes below 35 nm was adequate, the melting point depression peaks of tin nanoparticles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size were observed besides an evaporation endothermic peak of DEG during the first heating. Because DEG was evaporated and tin nanoparticles in contact became molten and coarsened during the first heating, a melting peak of bulk tin was only observed at $232^{\circ}C$ during the second heating.

Reactive Ion Etching을 이용한 PTFE 발수특성

  • Baek, Cheol-Heum;Seo, Seong-Bo;;Kim, Hwa-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2a
    • /
    • pp.292-292
    • /
    • 2013
  • 최근, 자연의 기능성 표면을 모사하여 우리 생활에 응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다. 초-발수 특성을 가지는 대표적인 예인 연꽃잎은 마이크로-나노 크기의 거친 미세돌기(papillae)를 가지고 있으며 그 위에 낮은 표면 에너지를 가지는 왁스(wax)가 발달 되어 항상 깨끗한 상태를 유지한다. 본 실험에서는 이를 모사하여 RIE (Reactive Ion Etching)방법을 이용하여 기판인 Poly silicon wafer를 Sf6가스를 사용하여 Metal mash로 거칠기를 만들어 주었고, RF-magnetron sputtering 장치를 사용하여 $6{\times}10^{-3}$ Torr의 진공도에서 낮은 표면에너지를 가지는 PTFE (polytetrafluoroethylene)를 증착하여 표면 구조와 발수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SSME(Surface shape measurement equipment)측정결과 0.24~0.36 um RSa 값이 측정되었고, 12 uL의 Di-water로 접촉각을 측정 한 결과 RIE 10분 처리를 한 기판 위에 PTFE를 3분 증착하였을 때 가장 높은 $153^{\circ}$의 초-발수 특성이 나타났으며, 4주의 시간이 지났을 때에도 접촉각이 유지가 되었다. XPS 측정결과 초-발수 표면에서 나타나는 CF2와 CF3 피크 값이 측정되었다. Reactive Ion Etching을 이용한 PTFE 발수 특성은 방수, 스마트 윈도우, 자가세정(Self-Cleaning), 디스플레이 표시장치, 김서림 방지(Anti-Fogging), 대전방지 코팅 등에 다각적으로 응용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 PDF

Preparation of Superhydrophobic Metal Surfaces with Hierarchical Structures

  • Kim, Jae-Hun;Park, Yu-Jeong;Seon, Geon-Ju;Kim, Sang-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4.02a
    • /
    • pp.201.2-201.2
    • /
    • 2014
  • $150^{\circ}$ 이상의 물 접촉각을 가지는 초소수성 표면들은 그것들의 잠재적인 산업 응용분야로 인해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연꽃 효과와 같은 고체표면의 초소수성 특성은 표면의 표면 형상과 화학적 구성요소로 인해 결정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초소수성 표면을 형성하기 위해 세워진 고분자 나노섬유, 형판 압출, 특별한 표면 처리의 제조와 같은 많은 시도가 진행되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two-step 화학 에칭 공정을 통해 금속표면의 구조를 변화시켜 초소수성을 나타내는 금속을 제조하였다. 특히, 마이크로테라스 구조상에 나노 잎 구조가 부가된 계층구조를 형성하여 초소수성 금속을 제조하였으며, 이러한 표면의 여러 가지 초소수 특성들을 체계적으로 조사하였다.

  • PDF

Micro/Nano Rheological Characteristics of PMMA in Hot Embossing Process (핫엠보싱 공정에서 PMMA의 마이크로/나노 레올로지 특성)

  • Kim B. H.;Kim K. S.;Ban J. H.;Shin J. K.;Kim H. Y.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echnology of Plastici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259-264
    • /
    • 2004
  • The hot embossing process as a method for the fabrication of polymer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because of its simple process, low cost, high replication fidelity and relatively high throughput. In this paper, we carried out experimental studies and numerical simulations in order to understand the viscous flow of polymer film during hot embossing process. As the initial step of quantitating the hot embossing process, simple parametric studies for the embossing conditions have been carried out using high resolution masters which patterned by DRIE process. Under different embossing times and pressures, the viscous flow of PMMA films into micro/nano cavities has been investigated. Also, the viscous flow during the hot embossing process has been simulated by the continuum based FDM analysis considering micro/nano effect, such as surface tension and contact angle.

  • PDF

Adhesion between Carbon Nanotube Arrays with Different Contact Area Measured Using Microactuator (마이크로 구동기를 이용한 탄소나노튜브 어레이의 접촉 면적에 따른 점착력 측정)

  • Choi, Jungwook;Kim, Jongbaeg
    • Transactions of the Society of Information Storage Systems
    • /
    • v.10 no.1
    • /
    • pp.14-18
    • /
    • 2014
  • Adhesion between carbon nanotube (CNT) arrays is measured and characterized for number of different contact areas. The CNT arrays are directly grown on an electrostatic microactuator, and they make contact with each other during the growth process. The pull-out force is precisely applied by the microactuator while the contact status is identified by measuring electrical resistance between the CNT arrays. We have designed different contact areas of 1000, 6000, and 8500 ${\mu}m^2$ between the CNT arrays, and the corresponding adhesion increases from 0.9 to 3.7 ${\mu}N$ as the contact area increases.

연잎 효과를 모방한 초발수 표면 연구- 전산모사 해석을 통한 최적의 초발수 표면 도출

  • Choe, Se-Yong;An, Seong-Bae;Kim, Hyo-Jeong;Jang, Jun-Gyeong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6.03a
    • /
    • pp.67-74
    • /
    • 2016
  • 초발수 표면은 표면이 젖지 않으면서 물방울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표면을 말한다. 이는 자연에서 많이 관찰되며 예를 들면 연잎, 나비와 곤충의 다리가 대표적이다. 일반적으로 초발수 표면은 물방울과 접촉할 때 이루는 각이 $150^{\circ}$보다 크며, 표면을 $5^{\circ}$정도 기울이면 물방울이 굴러가기 시작한다. 특히 연잎 표면을 자세히 보면 마이크로/나노단위의 미세한 돌기가 표면 위에 존재한다. 이러한 연잎 표면의 구조에 따른 특성을 모방하여 표면 위에 인위적으로 다양한 모양, 크기의 돌기를 만들어 표면의 초발수 특성을 향상시키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연구가 다양하고 광범위하게 진행되면서, 학문적인 원인 분석 외에도 산업에서의 활용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다. 이에 따라 이 논문은 전산모사 방법을 사용하여 표면 돌기와 관련된 다양한 변수(돌기의 모양, 높이, 너비, 돌기 사이의 간격, 표면과 물 분자 간의 에너지)에 따라 표면의 초발수 특성이 어떻게 변하는지 연구해보고, 초발수 현상의 특징과 그 발생 원인을 이해하는데 목적을 두며 이러한 연구결과는 실제 산업현장에서 최적의 초발수 표면을 제작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 PDF

Comparison on Accuracy of Static and Dynamic Contact Angle Methods for Evaluating Interfacial Properties of Composites (복합재료의 계면특성 평가를 위한 접촉각 방법의 정확도 비교)

  • Kwon, Dong-Jun;Kim, Jong-Hyun;Park, Joung-Man
    • Journal of Adhesion and Interface
    • /
    • v.23 no.3
    • /
    • pp.87-93
    • /
    • 2022
  • To analyze the interfacial property between the fiber and the matrix, work of adhesion was used generally that was calculated by surface energies. In this paper, it was determined what types of contact angle measurement methods were more accurate between static and dynamic contact angle measurements. 4 types of glass fiber and epoxy resin were used each other to measure the contact angle. The contact angle was measured using two types, static and dynamic contact angle methods, and work of adhesion, Wa was calculated to compare interfacial properties. The interfacial property was evaluated using microdroplet pull-out test. Generally, the interfacial property was proportional to work of adhesion. In the case of static contact angle, however, work of adhesion was not consistent with interfacial property. It is because that dynamic contact angle measurement comparing to static contact angle could delete the error due to microdroplet size to minimize the surface area as well as the meniscus measuring err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