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마이카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55초

실리카 나노입자 표면에 결합된 2차 아미노기와 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의 마이클 부가반응에 대한 연구 (Studies on the Michael Addition Reaction between Secondary Amino Groups on the Silica Surface with 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s)

  • 전하나;하기룡
    • 폴리머
    • /
    • 제36권6호
    • /
    • pp.822-83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실리카 나노입자를 우수한 내가수분해성을 가지는 dipodal 형태의 bis[3-(trimethoxysilyl)propyl]amine(BTMA) 실란 커플링제로 표면 개질한 후, 실리카에 도입된 BTMA의 2차 아미노기인 N-H기와 마이클 부가반응이 가능한 acrylate기를 1분자당 2개씩 가지는 poly(ethylene glycol)diacrylate(PEGDA)로 표면 처리하여 acrylate기를 실리카 입자 표면에 도입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PEGDA의 몰수 및 3가지 서로 다른 분자량의 PEGDA(M.W. 258, 575, 700) 처리가 실리카 표면에 도입되는 acrylate기의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FTIR), elemental analysis(EA, 원소분석) 및 고체 상태 $^{13}C$ cross-polarization magic angle spinning(CP/MAS)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NMR)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액체상태의 순수 PEGDA와 순수 BTMA를 같은 몰 비로 반응시키면 PEGDA 1분자당 2개씩 존재하는 acrylate기 중 1개 acrylate기는 순수 BTMA의 N-H기와 1:1의 비율로 마이클 부가반응이 일어나 ${\beta}$-amino acid ester를 형성하고, 나머지 1개의 acrylate기는 남아서 중합반응이 가능한 단량체 합성이 가능하다. 하지만, BTMA로 개질된 실리카 입자를 PEGDA와 반응시키면, PEGDA 1분자당 2개씩 결합있는 acrylate기 대부분이 실리카 입자에 결합되어 있는 BTMA의 N-H기와 마이클 부가반응으로 ${\beta}$-amino acid ester를 형성하여, acrylate기의 C=C기 대부분이 C-C로 변화함을 확인하였다.

마이카-에폭시 절연재료의 열화특성분석 (The Aging Characrteristic Analysis of Mica-Epoxy Insulation Materials)

  • 유영식;김희곤;송우창;이재형;박용관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82-89
    • /
    • 1998
  • The experimental results using the X -ray technique, the position and structure of mica crystal are not observed the phase change of aging and sound specimen respectively. However, We could observe the intensity difference of crystal element in both atmospheres. The analysis of mica-epoxy materials by optical microscope are shown that the each surface of sound and aging specimens are different in both atmospheres Also, the experimental results have shown that the potassium ions of mica cristal are substituted by hydrogen ions at boundary area of mica-epoxy and/or mica-mica. On components made of mica, a potassium ion of big atomic radius, is replaced by hydrogen ion of small atomic radius. The voids are created by the difference of radius progressed by combined stresses. Through these phenomena, it has been proposed that the conductive layers made of potassium enable the voids to form and the cracks to create by high electric field.

  • PDF

발전기 고정자 권선에 사용되는 마이카/에폭시 복합재료의 기계적 특성에 관한 연구 (Mechanical Properties of Mica/Epoxy Composite Materials used in Genrator Stator Windings)

  • 김희동;김희곤;김태완;강도열
    • E2M - 전기 전자와 첨단 소재
    • /
    • 제10권4호
    • /
    • pp.327-333
    • /
    • 1997
  • Experiments on mechanical fatigue were conducted using the specimens which were cut from hydrogen cooled generator(rated 22kV and 50OMW) stator windings. We have investigated the aged mechanism of mica/epoxy insulation systems under air or hydrogen by both the tensile and compressive loadings. The fracture of generator stator windings is generally affected by mechanical stress. Thus, the tensile strength test were conducted. In this case, the maximum strength and strain are quite different between sound and aged specimens. It is observed that low bonded interface parts of tapes generally have lower strength than those of normal tapes which causes stress. In order to estimate the effects of cyclic load by the electromagnetic forces while the generator starts/stops, the mechanical fatigue test was also conducted. It is confirmed that the equation of expected life depends on stress amplitude and number of cycles. Though the stress amplitude and number of cycles are very tiny, the tensile fatigue of aged specimens under hydrogen atmosphere is bigger than those under air. In the case of hydrogen atmosphere, the tensile stress gives bigger effect than the compressive one.

  • PDF

실리카 나노 입자 표면에 결합된 1차 및 2차 아미노기와 3-(Acryloyloxy)-2-hydroxypropyl Methacrylate의 마이클 부가 반응에 의해 도입되는 메타크릴레이트기의 정량적 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Grafted Methacrylate Groups by Michael Addition Reaction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Amino Groups on the Silica Nanoparticle Surface with 3-(Acryloyloxy)-2-Hydroxypropyl Methacrylate)

  • 이상미;하기룡
    • 폴리머
    • /
    • 제39권2호
    • /
    • pp.300-31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나노 크기의 실리카 입자 표면을 1차 및 2차 아미노기를 각각 1개씩 가지는 실란 커플링제인 N-[3-(trimethoxysilyl)propyl]ethylenediamine(TPED)으로 개질한 후, 아미노기와 마이클 부가 반응이 가능한 acrylate기를 가지는 3-(acryloyloxy)-2-hydroxypropyl methacrylate(AHM)로 표면 개질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반응온도, 투입량 및 반응시간과 같은 반응 조건들의 변화가 실리카 표면에 도입되는 methacrylate기의 양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순수 TPED와 순수 AHM을 $50^{\circ}C$에서 5시간 반응시킨 액체-액체 반응에서는 TPED 1분자 당 존재하는 3개의 아미노기(N-H)들 중 약 85%가 마이클 부가 반응하지만, TPED로 개질한 실리카 표면에 결합한 TPED의 3개의 아미노기는 약 30% 정도만 반응하여 반응성이 매우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라이다 센서에 인지되는 판상형 검은색 소재의 제조 및 친수성 도료로의 응용 (Fabrication of LiDAR-detectable Plate-type Black Materials and Application in Hydrophilic Paints)

  • 김지원;사민기;김찬교;김하영;추연룡;제갈석;윤창민
    • 접착 및 계면
    • /
    • 제24권3호
    • /
    • pp.95-99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판상형의 천연 마이카에 이산화티타늄의 코팅 및 환원을 통해 라이다 인지형 검은색 소재를 제조하였으며, 이를 도료로 응용하여 라이다 실증 검증을 진행하였다. 상세히는, 졸-겔 반응을 통해 천연 마이카에 이산화티타늄을 코팅하고, 수소화붕소나트륨을 통해 검은색으로 환원하여 Black TiO2@Mica 소재를 제조하였다. 이후, 도료로서 응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친수성 투명 바니시에 혼합하고 유리 기판에 분사하였다. 그 결과, 제조한 Black TiO2@Mica 기반의 도료는 실제 검은색의 명도(L*=12.1)와 높은 근적외선 반사율(30.2 R%)을 나타내었다. 더불어, 제조한 판상형 검은색 소재는 성공적으로 라이다 센서에 인식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굴절률이 다른 천연 마이카와 이산화티타늄 간의 계면에서 빛의 반사가 일어나는 프레넬의 반사 법칙에 기인한 것이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라이다 센서에 인식되는 검은색 소재를 제조함으로써 자율주행차 뿐만 아니라 로봇, 드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유리집적 광 센서 (Integrated-optic sensors in glass)

  • 형창희;김종헌
    • E2M - 전기 전자와 첨단 소재
    • /
    • 제9권5호
    • /
    • pp.518-525
    • /
    • 1996
  • 본 고에서는 유리 집적광센서의 제작에 적합한 유리재료들의 종류와 특성을 설명하였으며, 이들 유리의 종류에 맞도록 개발되어진 제작기술 중에서 이온교환(Ion exchange)방법과 silica-on-silicon(SOS)방법을 소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공정기술을 이용하여 제작되어진 유리 집적광센서 중에서 물체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마이클슨 간섭계(michelson interferometer)와 물질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화학센서(chemical sensor)들을 소개하였다.

  • PDF

PbTe/CdTe(111)B와 마이카 기판 위에 성장된 Bi 박막의 후열처리 전후의 자기저항 (Magnetoresistance in Post-annealed Bi Thin Films on PbTe-buffered CdTe(111)B and on Mica Substrates)

  • 김윤기;최진성;이해파;조성래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67-373
    • /
    • 2006
  • 비스무스의 녹는점보다 3 도 낮은 온도인 $268^{\circ}C$에서 후열처리를 하여 비스무스 박막에서 자기저항의 큰 증가를 관측하였다. 레드텔러라이드 / 케드뮴텔러라이드 기판 위에서는 온도 5 K, 자기장 5T 하에서 190 에서 260으로, 마이카 기판 위에서는 620 에서 120 으로 자기저항의 큰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자기저항의 큰 증가는, 열처리에 따른 결정도의 향상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일정 시간 이상의 오랜 시간의 열처리는 자기저항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관측되었다.

금속산화물이 코팅된 마이카 티타니아 진주광택 안료의 제조 및 색차변화 (Preparation and Chrominance of Metal Oxide Coated Titania/Mica Pearlescent Pigment)

  • 이관식;강국현;이진희;이동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33-243
    • /
    • 2013
  • 무지개 빛을 내는 무기진주광택안료는, 내광성, 내용제성 및 내열성 등이 물리적 화학적 안정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수열합성방법을 사용하여 마이카 티타니아에 파란색 코팅 안료인 염화코발트를 기본으로 화장품 안료로 사용되는 진주광택안료를 합성하였다. 코발트에 의한 안료의 색상을 보완하고자 코발트와 금속 염의 비를 달리하여 안료를 코팅하고, 이를 통해 금속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색차값을 구현하는 진주광택 안료를 합성하였다. 코발트와 첨가된 금속 염 전구체의 조성비와, 금속 염의 종류에 따라 코팅 특성과 색상을 조절할 수 있었고, 안료의 다양한 색상변화 특성을 색차계를 통해 확인 하였다. 합성된 안료는 SPM, SEM, XRD, EDS 기기를 통해 특성을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