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마을재생

Search Result 92,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 Development Case on the Area-Specific Urban Regeneration (지역맞춤형 도시재생의 개발사례 -창원시 마을흔적보전사업을 중심으로-)

  • Hwang, Hye-Jun;Kim, Jin-Il;Yun, Young-S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109-110
    • /
    • 2017
  • 전국적으로 도시재생에 대한 연구와 사업이 진행되고 있는 시점에서 창원시의 마을흔적보전사업은 지역 맞춤형 도시재생의 한 가지 사례가 될 수 있다. 마을흔적보전사업은 재개발, 재건축으로 사라지는 옛 마을의 흔적을 보전하여 주민들의 추억과 마을역사, 공동체 문화를 이어주는 도시재생사업의 일환이다. 마을흔적보전사업은 현대산업발전의 시대적 산물이며 주민들의 공통된 추억과 기억이 담긴 공간과 환경이 도시개발과정에서 멸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 지역의 문화적 가치를 창출함으로서 '지역맞춤형 도시재생'을 실현하는 한 가지 실천적 방법이 될 수 있다.

  • PDF

The Create Cultureal art space in the urban regeneration (도시재생을 위한 문화예술공간 만들기 - 창원 마을흔적보전사업의 환경조형물을 중심으로 -)

  • Min, Seong-Ki;Kim, Su-Gyeong;Han, Cha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105-106
    • /
    • 2017
  • 현대의 도시재생사업은 도시의 기존 모습을 유지하면서도 낙후된 도심 환경을 개선하여 원주민의 재정착률을 높이고 쇠퇴한 구도심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 것을 목표로 한다. 도시재생에서 환경조형물은 이러한 시대적 요구와 그것이 놓이는 장소 혹은 공간이 가지는 의미, 공공성 또는 공익성이라는 영역에서 예술적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마을흔적보전사업의 환경조형물을 '리사이클, 업사이클, 뉴사이클'이라는 3개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이를 통해 환경조형물이 예술적 가치뿐만 아니라 마을흔적보전이라는 사회적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담아냄으로서 도시재생이 가지고 있는 목표를 실현하는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Andong-dong regeneration through planning of village hotel contents (마을호텔 콘텐츠 기획을 통한 안동 원도심 재생 방안)

  • LEE, Jae-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09-210
    • /
    • 2019
  • 본 연구는 도심쇠퇴를 겪고 있는 안동원도심의 옥정동 한옥마을을 대상으로 '마을호텔 콘텐츠'를 도입하여 도시재생의 방향성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마을호텔 콘텐츠는 마을 전체가 호텔의 기능인 숙박 식음료 즐길거리 등을 '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옥정동 한옥마을의 게스트하우스를 활용하여 숙박시설로 구성하고, 주변 식당 및 카페를 연계하여 식음료 제공을 마지막 즐길거리로는 시대별 한옥건축물 답사, 게이미피케이션 기법 도입, 갤러리 사우나 등 주변 편의시설 연계 등을 제안하였다. 마을호텔 콘텐츠는 마을에서 발생한 이익이 그대로 주민들에게 돌아가는 구조를 취하고 있어 공정경제를 실현하며, 나아가 지역의 홍보 및 정체성 확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건강한 도시재생 및 새로운 관광콘텐츠로서 기능할 것을 기대한다.

  • PDF

A Study on the Conflict Aspect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 (Case study of Anyang Myunghag Village) (도시재생사업의 갈등 양상에 관한 연구 (안양 명학마을 도시재생사업을 사례로))

  • Moon, Chai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11
    • /
    • pp.165-178
    • /
    • 2021
  • The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which started in 2017, has become an important means of urban redevelopment. Anyang Myunghak Village Urban Regeneration Project was selected in 2017 and is currently in its 4th year in 2021. During that time, many conflicts have occurred in the project promotion process, and conflicts are expected to occur in the fu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at kind of conflicts occurred in what form and how the conflicts were resolved through what solutions at each stage by targeting these Myunghak Village urban regeneration project. And through th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flict aspects that occurred in the Myunghak Village urban regeneration project(①The occurrence of continuous conflict in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②Composed of various conflict subjects and contents ③The role of conflict-related organizations is insufficient, ④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with residents in conflicts) and implications for conflict management in future urban regeneration projects(①continual conflict management plan, ②Early formation of the conflict management organization and strengthening its role, ③communication with residents for conflict management, ④customized conflict management for each stage of project implementation) was presented.

A Case Study on the Regional Regeneration through Public Art - Focused on the Maeulmisul Art Project - (공공미술을 통한 지역재생 연구 - 마을미술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

  • Kim, Sora;Lee, Byungmin
    •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 /
    • v.20 no.4
    • /
    • pp.205-225
    • /
    • 2016
  • Many cities have instituted public art projects for the purpose of urban regeneration. The main objective of these projects is to revitalize an abandoned area through the culture of art. This endeavor however, seems to have become standardized, a one-time event, as institutionalized Public Art. The Maeulmisul Art Project has served as a complement to these problems, strengthening local identity and restoring community through use of local assets and artistic contributions of residents. There have also been areas in which the Maeulmisul Art Projects was taken as an opportunity to revitalize an area through linkage with other projects.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local identity and recovery of community through site-specific art of the Maeulmisul Art Projects. I would like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implementing regional regeneration through use of the Public Art Project.

A Case Study on Urban Regeneration: Gamcheon Culture Village, Busan (도심 재생 사례 연구: 부산 감천문화마을을 중심으로)

  • Lee, Young-Jun;Kim, Jin-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4.11a
    • /
    • pp.355-356
    • /
    • 2014
  • 많은 지역에서 구도심 개발이 지역정체성을 훼손하고 거주민의 소외라는 부작용에 직면하고 있는 가운데 가장 모범적인 도심개발사례 중 하나로 손꼽히는 부산 감천문화마을을 통해 지역의 문화와 역사가 어우러진 대표적인 명소로 자리 잡게 된 과정을 소개한다. 지역개발은 다양한 측면의 가치 창출을 동반하는 종합적인 기능과 더불어 관광수익의 창출이라는 경제적 가치를 추구한다. 감천문화마을은 구도심과 신도심간 양극화를 해소하고 지역이미지를 제고하는 차원에서 의미있는 도심재생사례가 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