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마쇄

검색결과 191건 처리시간 0.021초

시험용액의 조제방법에 따른 어독성 차이 (The Difference of Fish Toxicity by Preparation Methods of Test Solution)

  • 배철한;김연식;박연기;박은희;박현주;신동찬;이승열;이석희;정창국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19-225
    • /
    • 2010
  • 농약의 제형이 입제인 경우 제조방법에 따라 물중에 용해되는 정도가 다르게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제조방법이 다른 흡착식 입제인 butachlor 5% GR와 fipronil 0.4% GR, 그리고 피복식 입제인 carbosulfan 3% GR와 diazinon 3% GR를 사용하여 잉어(C. carpio), 송사리(O. latipes) 그리고 미꾸리(M. anguillicaudatus)에 대한 급성 어독성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용액 조제방법은 물에 입제농약을 직접 처리하는 방법과 농약 입제를 마쇄한 후 처리하는 방법으로 구분하여 96시간까지 반수치사농도($LC_{50}$)를 구하였고, 아울러 시간경과에 따른 물중 농약 잔류농도를 측정하였다. 시험결과, 4종의 농약 모두 물에 농약을 적접 처리한 시험구보다 농약을 마쇄하여 처리한 시험구에서 1.2~4배 정도 독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시간의 경과에 따른 독성증가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butachlor GR의 diazinon GR의 잔류농도는 마쇄처리구에서 빠른 시간에 많은 양이 검출되었다. 결론적으로 입제 형태의 농약을 물에 직접 처리하는 것보다 마쇄 후 처리하였을 때 물중 잔류 농도와 독성치가 높게 나타났으며, 48시간보다 96시간의 독성값이 비교적 안정적이고 오차가 작았다.

냉해동 온도에 따른 마쇄 홍고추의 품질특성 변화 (Influences of Freezing and Thawing Temperature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shed Red Pepper)

  • 황인국;정헌상;이준수;김혜영;유선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691-69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냉동 온도(-20, -30, -40, -50, -60 및 -70)와 해동 온도(4, 10, 20, 30, 40 및 $50^{\circ}C$)에 따른 마쇄 홍고추의 ascorbic acid, capsaicinoids, 유리당 함량과 ASTA 값의 품질 변화를 분석하였다. 냉동 온도에 따른 ascorbic acid 량은 67.08~80.35 mg/100 g 범위로 원료 값에 비해 57.00~64.10% 감소하였으며, 냉동 온도가 낮을수록 감소량은 적었다. 냉동 온도에 따른 capsaicinoids 함량, 유리당 함량 및 STA 값은 냉동 온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원료 값과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해동 온도에 따른 scorbic acid 함량은 70.34~75.90 mg/100 g 범위로 원료 값에 비해 45.12~52.69% 감소하였으며, 해동 온도가 높을수록 감소폭은 큰 경향을 보였다. 해동 온도에 따른 capsaicinoids 함량 및 유리당 함량은 원료 값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ASTA 값은 행동 온도가 높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해동 온도에 따른 마쇄 홍고추의 전자코 분석 결과, 향기패턴 변화는 $20^{\circ}C$ 이상의 해동 온도에서부터 원료의 향과는 명확히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마쇄 홍고추 냉동시 냉동 온도는 $-20^{\circ}C$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해동 온도는 $10^{\circ}C$ 이하에서 실시하는 것이 품질특성 변화를 최소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가공방법을 달리하여 열풍건조한 고춧가루의 저장중 이화학적 변화 (The Physicochemical Changes during Storage of Red Pepper Powder Dried in Hot-Air by Various Processing Methods)

  • 박소희;구혜진;임호수;유진현;황성연;신언환;박영희;이종호;조재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876-881
    • /
    • 2003
  • 건조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열풍건조시 처리방법을 달리한 고춧가루의 저장중에 어떤 이화학적 변화가 일어나는가를 조사하였다. 고춧가루의 pH는 저장 일수에 비례하여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120일 동안 시료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고 vitamin C를 처리한 시료만이 저장 120일째 4.64로 가장 낮았다. 고춧가루의 저장 중 capsaicin 및 dihydrocapsaicin의 함량변화는 저장직후부터 저장후까지 점차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통고추건조 고춧가루가 120일 저장동안 높았다. Glucose와 fructose 함량은 저장 120일 후 당의 산화를 방지 할 것으로 기대되는 vitamin C 처리구가 타 시료구에 비해 높았다. 고춧가루의 색도에서 L값은 120일 저장시에 마쇄건조 및 마쇄 후 숙성건소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았고, a, b값은 마쇄건조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았다. 고춧가루의 색깔과 맛에 대한 선호도에서는 마쇄건조 처리구의 색깔선호도가 93.0%로 대조구 43.0%에 비해 높았고, 맛에 대한 기호도는 대조구가 48.0%인 반면 vitamin C 처리구가 92.0%로 가장 높았다.

양파의 진공 동결 건조 과정 중 Alliinase 활성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s in the Alliinase Activity during the Vacuum Freeze Drying of Onions(Allium cepa L.))

  • 채수규;윤미숙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44-151
    • /
    • 2008
  • 양파를 원형 그대로, 절편으로 하여 그리고 마쇄한 것을 진공 동결 건조 처리하여 각각 건조 과정 중 allicin 및 diallyl disulfide의 함량과 alliinase 활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생양파의 allicin 및 dia-llyl disulfide의 함량은 각각 26.40 ppm, 2.78 ppm이었다. 양파를 원형 그대로, 절편으로 하여 그리고 마쇄한 시료의 allicin 및 diallyl disulfide의 함량은 진공 동결 건조가 진행함에 따라 증가되었으며, 증가 정도는 시료의 형태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생양파의 alliinase 비활성은 7.536 units/mg protein이었으며, 양파를 원형 그대로, 절편으로 하여 그리고 마쇄한 시료의 alliinase 활성은 진공 동결 건조가 진행함에 따라 감소되었다. 양파를 원형 그대로 8시간 동안 진공 동결 건조하였을 때 효소의 비활성은 5.516 units/mg pro-tein로 감소되었으며 73.2%의 잔존율을 나타내었고, 36시간 동안 진공 동결 건조하였을 때 효소의 비활성은 3.304 units/mg protein로 감소되었으며 43.8%의 잔존율을 나타내었다. 양파를 절편으로 하여 36시간 동안 진공 동결 건조하였을 때 효소의 비활성은 2.366 units/mg protein로 감소되었으며 31.4%의 잔존율을 나타내었고, 양파를 마쇄하여 36시간 동안 진공 동결 건조하였을 때 효소의 비활성은 2.232 units/mg protein로 감소되었으며 29.6%의 잔존율을 나타내었다. 양파를 원형 그대로 진공 동결 건조하였을 때 alliinase 활성에 있어서 가장 높은 잔존율을 나타내었다.

  • PDF

다중회전체와 요철형라이너가 장착된 복합마쇄장치를 이용한 건식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제조기술(환경신기술 인증 366, 검증153호) (Manufacturing Technology for Recycled Aggregate Concrete Using Multiple Rotation Roller and a Complex Trituration System with Convex Liner(New Excellent Technology No. 366, Environmental Technology Verification No. 153))

$SO_{2}$에 의한 dopachrome 형성 억제 패턴 (Inhibition Patterns of Dopachrome Formation as Influenced by Sulfur Dioxide)

  • 조윤옥;이미순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7권1호
    • /
    • pp.60-67
    • /
    • 1984
  • 감자의 마쇄된 조직에서 추출한 효소액과 감자박편을 이용하여 효소적 변색에 대한 $SO_{2}$의 억제 기작을 조사하였다. $SO_{2}$는 경쟁적인 방식으로 dopachrome형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충분한 $SO_{2}$의 농도에서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dopachrome의 형성이 재개시되었다. 본 실험의 결과는 $SO_{2}$가 효소적 갈변중의 중간산물과 addition compounds를 형성하여 효소적 변색을 지연시킬 수도 있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감자박편에서 dopachrome생성을 억제하기 위하여 는 마쇄된 조직에서보다 더 많은 $SO_{2}$가 요구되었다.

  • PDF

마늘 추출물의 향기성분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Flavour of Garlic Extract)

  • 박철진;김상덕;오성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593-595
    • /
    • 1993
  • 마늘의 건조방법에 따른 향기성분의 비교를 위하여 마쇄-열풍건조, 세절-열풍건조, 세절-동결건조후 Soxhlet를 이용하여 용매 추출하였으며 이들 시료를 GC/MS로 향기성분을 비교 분석한 결과, 열풍건조법 보다는 동결건조법에서, 마쇄한것 보다는 세절하여 건조한 경우가 더 많은 마늘 향기성분의 종류가 확인되었다. 즉, 세절하여 동결건조한 시료에서는 allyl propyl disulfide, 2-vinyl-1,3-dithian 3-vinyl-〔4H〕-1,2-dithiin, 1,2-Bis(allyl)disulfane 등이, 세절하여 열풍건조한 시료에서는 methyl allyl trisulfide, 2,4-dimethylfuran 등이, 마쇄하여 열풍건조한 시료에서는 disulfide 등이 확인되었다.

  • PDF

효소처리 가공이 당근(Daucus carota var. sativa)의 항산화 활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 (Change of Antioxidant Activities in Carrots (Daucus carota var. sativa) with Enzyme Treatment)

  • 유진균;이진희;조형용;김정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62-267
    • /
    • 2013
  • 본 연구는 당근(Daucus carota var. sativa) 가공방법 중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기계적 마쇄 공정으로 인하여 파괴되는 영양소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식물 세포벽에 존재하는 불용성 물질인 protopectin을 가수분해하여 수용성 물질인 pectin으로 전환시키는 효소인 protopectinase를 이용하여 세포의 막을 보존하고 세포 안에 존재하는 영양소의 손실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당근의 회수율을 측정한 결과 효소처리군과 마쇄 공정 처리군을 비교하였을 때 효소처리군의 회수율은 81%, 잔사율은 19%을 보인 반면, 마쇄처리군은 회수율 56%, 잔사율 44%를 보여 약 20% 정도의 회수율 차이를 보였다. 이는 가공 후 수율 및 폐기량에서 많은 차이를 보일 것으로 판단된다. 당근의 효소 처리군과 마쇄 처리군의 성분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당근의 주요성분인 ${\beta}$-carotene의 함량 변화를 측정한 결과 protection factor(PF) 각각 $2.2{\pm}0.2$ PF, $1.4{\pm}0.4$ PF의 차이를 보였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은 $89{\pm}3.42{\mu}g/g$, $64{\pm}4.16{\mu}g/g$,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68{\pm}2.73\mu}g/g$, $41{\pm}3.26{\mu}g/g$을 보임으로써 세포막의 보존으로 인한 영양소의 파괴가 기계적 마쇄 처리군에 비하여 덜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처리군의 항산화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DPPH radical 소거능과 hydroxyl radical 소거능, 아질산염 소거능을 측정하였으며 DPPH radical 소거능은 1,000 ppm에서 $87{\pm}0.29%$, $74{\pm}1.56%$로 약 13%의 DPPH radical 소거능을 보였고, hydroxyl radical 소거능 결과 10,000 ppm에서 $44{\pm}0.49%$$32{\pm}0.48%$로 약 12%의 hydroxyl radical 소거능을 보였다. 아질산염 소거능 측정 결과 1,000 ppm에서 $59{\pm}0.53%$$46{\pm}0.62%$로 약 13% 높은 아질산염 소거능을 보였다. 이는 protopectinase 효소 처리로 인한 세포막의 보존이 가공 중 발생되는 영양소의 손실을 줄임과 동시에 당근이 가지고 있는 항산화 물질들을 보존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