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마손 삼색 염색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1초

섬유화된 간조직에서 알파토코페롤에 따른 조직학적 변화 연구 (A study of Histological changes by α-tocopherol in the hepatic fibrous tissue)

  • 김진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123-129
    • /
    • 2017
  • 본 연구는 섬유화 된 간조직의 조직학적 변화를 알아보고 알파토코페롤에 대한 영향을 보고자 실시 하였다. 실험군은 3군으로 나누어 사염화탄소로 섬유화 유발한 실험군과 알파토코페롤과 사염화탄소를 같이 투여한 실험군 그리고 정상군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검사 결과는 알파토코페롤 투여군에서는 사염화탄소만 투여 했던 실험군에 비하여 간 조직의 경화와 관련된 섬유화 반응이 약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섬유화 된 간조직에서 ALT, AST, ALP등의 증가와 헤마톡실린 에오진 염색과 마손 삼색 염색을 통한 아교 섬유의 증식을 관찰 할 수 있었으며 알파토코페롤의 섭취에 따른 융합 항산화 작용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간 질환진단의 임상적 의의와 보조 치료제로서의 알파토코페롤의 활용을 기대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섬유화 진행 간경변 조직 모델에서 Thymosin β4와 C-myc mRNA 융합 발현 연구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Thymosin-β4 and c-Myc mRNA in the Model of liver cirrhosis with fibrosis)

  • 김진수;박운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65-71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간 섬유화로 인한 간경변 모델에서 c-Myc과, Thymosin-${\beta}4$ 유전자의 발현을 알아 보고자 실시하였으며 연구 방법은 2군으로 나누어 섬유화로 인한 간경변 모델 실험군과 증류수를 이용한 대조군으로 분류 한 후 실험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결과는 간경변 모델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c-Myc과 Thymosin-${\beta}4$의 발현이 증가 되는 것을 뚜렷하게 알 수 있었고, 전자현미경적 검경 외에 여러 특수 염색을 통하여 간조직의 변화를 관찰 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기존 간기능 검사 관련 임상검사에서 질환 예방과 질환 판정 시 혈청학적 변화와 조직학적인 검사와 더불어 c-Myc과 Thymosin-${\beta}4$의 분자 기법을 통한 유전자의 발현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간 질환 판정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되며, 향후 이 연구를 기반으로 실험군의 종류와 관련 유전자를 추가 하여 심도 있는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랫드에서 방광기능 향상의 엔지니어링 중간엽 줄기세포의 조직학적 소견 (Histological Examination of Engineered Mesenchymal Stem Cells Improve Bladder Function in Rat)

  • 조은경;전승환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12-118
    • /
    • 2020
  • 이 연구의 목표는 엔지니어링 중간엽 줄기세포에 의해 발현된 SDF-1의 효과를 규명하고 신경인성방광 랫 모델에서 관련 메커니즘을 조사하는 것이다. Sprague-Dawley 랫(N=48)을 대조군, 신경인성방광군, 신경인성방광군+imMSC군 및 신경 인성방광군+SDF-1 eMSC 군으로 무작위 선정하였다. 신경인성방광 랫 모델은 양측 골반 신경 손상으로 유도하였으며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를 immortalized한 MSC (empty vector)와 upregulated SDF-1한 MSC ( immortalized+SDF-1 치료유전차 발현)로 엔지니어링 하였다. 엔지니어링 중간엽줄기세포를 양측 골반 신경 손상부위와 방광에 주사하여 생착시켰다. 주사 4주 후 치료 효과를 양측골반신경 및 방광 조직을 마손 삼색 염색 및 면역 염색으로 분석하였다. 신경인성방광군+SDF-1 eMSC 군에서 방광 평활근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신경마커 베타-III 튜불린 및 SDF-1 발현 또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5), 이를 통해 손상된 신경을 복구하고, 신경인성 방광 랫 모델의 방광조직을 회복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