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마모

Search Result 2,589,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타이어 마모한계 1.6mm 적정한가

  • Korea Tire Manufacturers Association
    • The tire
    • /
    • s.229
    • /
    • pp.21-21
    • /
    • 2006
  • 세계적으로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는 1.6mm의 타이어 마모한계는 적정한 것인가? 최근 미국과 유럽에서는 이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으며 이와 맞물려 자동차 운행의 안전을 위하여 타이어업계가 나서서 3.2mm를 기준 마모한계로 정해지도록 노력해야한다는 데 대한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 PDF

소성 불안정 해석에 기초한 마모 손상된 전열관의 파열압력 해석

  • 신규인;박재학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40-45
    • /
    • 2002
  • 일반적으로 마모 손상된 원자력 발전소의 증기발생기의 전열관은 소성변형의 불안정에 의하여 파열이 발생된다. 이에 본 연구예서는 증기발생기 전열관에 평면형(flat type), 원주형(circumferential type)의 마모가 존재한다고 가정하고 소성 불안정(plastic instability) 해석에 기초하여 파열압력을 구하였다 또한 실험 결과와 비교하여 본 연구 해석 결과와 잘 일치함을 보였다.(중략)

  • PDF

An in-vitro wear study of human enamel opposing heat-pressed ceramics (2종의 열가압 도재와 법랑질 간의 마모에 관한 연구)

  • Park, Chan-Yong;Jeon, Young-Chan;Jeong, Chang-Mo;Yun, Mi-Jung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 /
    • v.47 no.1
    • /
    • pp.21-28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wear characteristics of human enamel opposing 2 heat-pressed ceramics (e.max Press and Empress Esthetic), conventional feldspathic porcelain (Ceramco 3) and type III gold alloy. Material and methods: Intact cusps of extracted premolars were used for enamel specimens. Five disk samples were made for each of two heat-pressed ceramics groups, conventional feldspathic porcelain group and type III gold alloy group. Wear tests were conducted in distilled water using a pin-on-disk tribometer. The amount of enamel wear was determined by weighing the enamel specimens before and after wear tests, and the weight was converted to volumes by average density. The wear tracks were analyz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surface profilometer to elucidate the wear characteristics. Results: 1. Ceramco 3 led to the greatest amount of enamel wear followed by Empress Esthetic, e.max Press and type III gold alloy.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eramco 3 and Empress Esthetic (P>.05), and there were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Empress Esthetic, e.max Press and type III gold alloy (P>.05). 2. The average surface roughness of e.max Press after wear test was smallest followed by Empress Esthetic and Ceramco 3,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mpress Esthetic and Ceramco 3 (P>.05). 3.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depth of wear tracks of all the groups (P>.05). The group that showed the largest width of wear track was Ceramco 3 followed by Empress Esthetic, e.max Press and type III gold alloy.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max Press and Empress Esthetic (P>.05), and there was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mpress Esthetic and Ceramco 3 (P>.05). Conclusion: Within the limits of this study, heat-pressed ceramics were not more abrasive than conventional feldspathic porcelain.

A Study on Wear Mechanism of CBN Ball Endmills (CBN 볼엔드밀의 마모메카니즘에 관한 연구)

  • Park, S.W.;Lee, K.W.;Lee, J.C.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14 no.12
    • /
    • pp.121-126
    • /
    • 1997
  • The use of CBN tool material has been greatly increased because of the superior metal cutting performance for the machining of hardened steel. This paper presents some experimental results on the ball endmiling of harened steels. Three different hardnesses of STD11 workpieces were machined using CBN ball endimills, and the machining characteristics including cutting forces tool wear, and surface roughness of machined surface were compared. It has been found that the CBN ball endmill works better in the machining of harder workpieces. The microscopic examination explains that this unusual phenomenon is caused by the difference of microstructure of each workpieces.

  • PDF

Mo-DTP와 Zn-DTP를 혼합 첨가한 엔진 오일의 마찰 마모특성에 관한 연구

  • 김종호;강석춘;정근우;조원오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Tribologists and Lubric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0.11a
    • /
    • pp.1-15
    • /
    • 1990
  • 엔진 성능의 향상에 맞추고 에너지 절약을 위한 방법으로써 엔진 오일의 마찰 마모 특성등 오일의 성능을 높이려는 노력이 꾸준히 시도되고 있다. 특히 마찰력 손실을 감소기키기 위해서 낮은 마찰특성을 갖도록 몰리브데늄(Mo)을 유용성인 금속 착화합물로 만든 Mo-DTP를 제조하여 현재 첨가제로 널리 사용되는 Zn-DTP와 대체시키려는 연구가 활발하고 최근엠 많은 논문이 발표되고 있다. 또 일부 윤활유 제조 회사에서는 몰리브레늄을 첨가 시키는 등 제품 기술을 향상시켜 오일 교환의 기간이나 자동차 주행 거리를 대폭적으로 늘려줄 수 있는 상품도 생산되고 있다. 윤활 첨가제로써 Mo-DTP를 Zn-DTP와 대체시켜 기유에 혼합한 경우에는 마찰 감소 기능이 매우 향상 되었고 내 마모성도 비교적 좋으나 산화 억제 능력이 부족하고 온도의 상승에 따른 점도 지수의 증가도 비교적 크다는 단점을 갖고 있음이 발표된바 있다. 따라서 Mo-DTP의 단점을 보완하려는 연구가 필요되고 그의 한 방법으로써 현재 첨가제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Zn-DTP와 혼합하여 첨가 하였을 경우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이때 기본 윤활유에 Mo-DTP와 Zn-DTP를 적당한 혼합 비율로 첨가하고 하중, 온도를 변화 시키면서 마찰, 마모등의 성질고 산화 안정성 및 마모 입자 분석 등 전반적인 윤활유로써의 특성을 살펴 보았다.

  • PDF

Image Quality Evaluation for the Railway Abrasion Measurement with a High Resolution (고해상도 레일 마모도 측정을 위한 영상 평가)

  • Ahn, Sung-Hyuk;Kim, Man-Cheo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12 no.6
    • /
    • pp.887-894
    • /
    • 2009
  • There is no standard rule for the test of the railway abrasion measurement system composed of the line laser and the camera. This paper is proposed of the method to estimate the performance of the railway abrasion measurement system. The performance estimation is achieved by the quantitative analysis parameters such as MTF, NPS and DQE.

Research on Abrasion Resistance of Artificial Lightweight Concrete (인공경량콘크리트의 마모저항성에 관한 연구)

  • Lee, Chang-Soo;Yoo, Bo-Sun;Nam, Cha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5a
    • /
    • pp.205-206
    • /
    • 2010
  • This study is a result of laboratory work about abrasion of artificial lightweight concrete and normal concrete in an equal condition, although the bigger a percentage of W/B is, the more increasing artificial lightweight concrete's persentage of loss, in case of mixing Flyash, artificial lightweight concrete percentage of loss is decreasing and in case of mixing W/B 30% and Flyash 15%, the difference of artificial lightweight concrete and normal concrete's percentage of loss is about 3%, there is little difference.

  • PDF

A Method to Predict Wear Depth Using Inversely Calculated Wear Constants from Known Wear Depth and Time (측정된 마모 깊이와 시간에 의해 역으로 계산된 마모상수를 이용한 마모 깊이 예측)

  • Lee, Yong-Son;Kim, Tae-Soon;Park, Chi-Yong;Boo, Myung-Hwan;Lee, Chang-Sub
    • Proceedings of the KSME Conference
    • /
    • 2003.04a
    • /
    • pp.178-188
    • /
    • 2003
  • The wear of steam generator tubes is due to the vibration occurred between tubes and tube supporters. To predict the future wear depth, the wear constants of the impact and the sliding model is used. The wear constants, 3C/2 and K/3H, are found inversely from known wear depth and time. Using these constants, the future wear depths are found from two bodies that deform the elliptical shape.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measured wear depth of steam generator tubes in a nuclear power plant. The results show that the predicted wear depth envelopes the measured wear depth.

  • PDF

A Study on Friction and Wear of Foam Rubbers (발포고무의 마찰 및 마모특성에 관한연구)

  • 범석훈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7 no.1
    • /
    • pp.50-59
    • /
    • 1995
  • 겨울용 타이어인 '발포고무 타이어'의 트레드에 적용되는 발포고무의 물성과 마찰 및 마모특성을 조사하였다. 천연고무인 SMR-CV60과 합성고무인 BR-01(Cis-1, 4 Polybutadiene)을 70:30 비율로 혼합하였고 발포제로는 개질화된 azodicarbonamide (상품 명:UNICELL AD#2)을 변량 첨가하여 다양한 발포도의 발포고무를 준비하였다. 발포도의 증 가로 발포고무의 Young's modulus와 파괴에너지는 점진적으로 감소하였으나 Tan $\delta$ 는 일정한 값을 유지하였다. 매끄러운 유리표면위에서 높은 마찰계수를 보인 발포고무는 발포 도의 증가로 크게 감소하였고 거친 표면일수록 마찰계수는 상승하였다. 이같은 마찰계수의 증감경향이 교차되는 발포도는 30~40%이었다. $0^{\circ}C$에서의 마찰계수도 유리 표면에서감소하 고 거친표면에서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증감경향이 교차하는 발포도는 20%로 낮아졌 다. 마찰표면을 마그네시아 분말로 처리하면 전반적으로 마찰계수는 감소하였고 발포도의 크기에 관계없이 마찰표면이 거칠수록 큰 마찰계수를 나타내었다. 발포고무의 발포도가 커 지면 마모손실량도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발포도가 낮은 고무에서는 비교적 규칙적인 융기 간격이 보였으나 발포도가 30%이상으로 되면 불규칙적인 마모표면과 더불어 많은 마모 부 스러기가 관찰되었다.

  • PDF

윤활박막이 증착된 다이아몬드 박막의 트리보 거동

  • 나종주;이상로;이구현;남기석;백운승;허종서;백영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1999.07a
    • /
    • pp.194-194
    • /
    • 1999
  • 다이아몬드 박막은 결정립에 의해 심한 표면 거칠기를 나타낸다. 루비를 상대재료로 사용하여 하중 50g, 50rpm의 회전속도로 마모시험을 하였으며 마모 track의 직경은 100mm였다. 마찰계수는 0.5에서 계속 감소하며 0.1이하에서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다이아몬드 박막위에 저마찰재료로 알려진 PTFE를 타겟으로 RF로 증착한 후 같은 조건으로 마모시험을 행하면 마찰계수가 초기부터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반면에 MoS2박막이 증착된 경우에는 완만한 마찰계수의 감소가 나타난다. 이러한 변화의 원인으로는 DLC 박막에서 보고되고 있는 바와 같이 다이아몬드의 sp3 결합구조가 마모시험중 흑연화하여 sp2 결합구조로 변하기 때문인 것인지 살펴보기 위하여 micro Raman을 통하여 마모 track을 분석하였고 AFM을 통하여 표면거칠기 변화와 표면 스크래치 발생 여부를 살펴보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