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마리

검색결과 2,251건 처리시간 0.021초

제주 사육 말에서 말전염성빈혈 조사 (Surveillance for Equine Infectious Anemia in Jeju Island)

  • 양재혁;임윤규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57-359
    • /
    • 2014
  • 말전염성빈혈(EIA)은 전세계의 마과동물에서 발생하는 전염병이다. 2005년부터 2011년까지 제주에서 사육되는 말을 대상으로 EIA를 조사하였다. 한국마사회 제주경마공원 동물병원에서 제주마 1,329 마리 및 한라마(제주산마) 8,324 마리 그리고 제주목장의 동물병원에서 Thoroughbred 말 387 마리 등 7년간 총 10,040마리를 효소면역측정법을 이용하여 검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혈액에서 EIA 항체는 검출되지 않았다. 1985년 이후부터 제주에서 EIA 항체가 검출된 적이 없고, 발병 예도 없었다. 그러므로 제주에는 EIA가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남해만 숭어(崇漁)에서 검출된 Stellantchusmus fulcutus 피낭유충의 동정 (Identification of Snellantchasmus falcatus Metacercariae Encysted in Mullets in Korea)

  • 채종일;손운목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6권1호
    • /
    • pp.65-68
    • /
    • 1988
  • 경상남도 남해 지방산 숭어에서 Stellantchasmus falcatus의 길낭유충을 발견하고 횐쥐에 감염시킨 후 성충을 얻어 동정하였다. 검사한 숭어는 모두 10마리로서 크기 20~30cm이었고 그중 3마리에서 S. falcatus로 생각되는 퍼낭유충이 470개 검출되었다. 피낭유충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크기 $0.15~0.20{\times}0.13~0.19mm$이었고 대부분이 숭어의 근육에서 발견되었다. 총 280개의 피낭유충을 횐쥐 5마리에 각각 30~100개씩 나누어 감염시키고 7~10일후에 흰쥐를 희생시켜 소장(소장) 내용물을 검경한 바 총 83마리의 성충이 회수되었다. 회수된 충체는 길이 0.41~0.70mm, 폭 0.32~0.39mm이었고, 장낭형(장낭형 ; elongated sac-like)의 expulsor를 가진 저정낭(seminal vesicle) 등 몇가지 형태학적 특징을 근거로 S. ialcatus Onji et Nishio, 1915로 동정되었다. 이 연구로 우리나라에서도 숭어가 S. falcatus의 제2중간숙주역할을 하고 있음이 확인되었고 이 홉충의 인체감염원이 되고 있을 것으로 추측되었다.

  • PDF

계룡산국립공원의 조류상 (Avian fauna in Kyeryongsan National Park)

  • 이준우;이도한;백운기;백인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68-279
    • /
    • 2001
  • 본 연구는 계룡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계절별 야생조류의 서식 분포현황을 밝히고, 야생조류의 보호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조사를 위하여 5개 지역을 조사지로 설정하여 2000년 4월부터 2001년 1월까지 4회에 걸쳐 야생조류 및 서식환경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계룡산국립공원지역에서 조사기간동안 관찰된 야생조류는 텃새 30종, 여름철새 26종, 겨울철새 9종, 나그네새 4종으로 총 10목 29과 69종 2950개체이며, 이 중 천연기념물은 참매, 새매, 붉은배새매, 소쩍새 등 4종이 관찰되었다. 서식 종 수는 봄철 46종, 여름철 39종, 가을철 40종, 겨울철 40종이었다. 서식밀도는 봄철 7.36마리/ha,여름철 5.17마리/ha, 가을철 15.61마리/ha, 겨울철 7.4마리/ha이며, 주요 우점종은 붉은머리오목눈이, 직박구리, 박새, 쇠박새, 곤줄박이 등의 순이었다. 특히, 봄철 종 수는 이용강도가 높은 동학사 지역이 이용강도가 낮은 다른지역들 보다 낮게 나타났다. 갑사 지역은 봄에 최대 종 수를 나타내어 조류의 번식지로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겨울철새의 종 수가 가장 적게 관찰된 갑사와 신원사 지역은 겨울철새가 서식하기에 불리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신선초에서 칠레이리응애에 의한 차응애의 생물적 방제 예비실험 (A Preliminary Study on the Biological Control of Tetranychus kanzawai Kishida in Angelica utlis Makino by Phytoseiulus persimilis Anthias-Henriot (Acarina: Tetranychidae, Phytoseiidae))

  • 김용헌;김정환;한만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51-155
    • /
    • 1999
  • 칠레이리응애(Phytoseiulus persimilis)의 방사에 의한 차응애(Tetranychus kanzawai)의 방제효과를 비닐하우스 재배 신선초(Angelica utilis)에서 조사하였다. 칠레이리응애 약성충을 7월 23일 $\m^2$당 25마리 방사했을 때 피해잎 4$\textrm{cm}^2$당 차응애 밀도는 7월 22일 25마리에서 9월 9일 0.4마리로 감소했으나 다시 10월 16일에는 9.3마리로 증가했다. 차응애의 밀도는 8월 13일로부터 10월 1일까지 낮았다.

  • PDF

벼뿌리선충이 벼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Rice Root Nematode Population, Hirschmonniella imamuri, on Growth and Yield of Rice)

  • 조현제;최진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95-201
    • /
    • 1983
  • 벼뿌리선충(H. imamuri)의 밀도별 피해 정도와 경제적 피해 수준을 결정하고자 밀양 2003를 공시하여 폿트 시험으로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벼의 분벽은 폿트당 선충 5,000마리 이상 접종에서 감소를 보였다. 2. 선충 접종 2개월 후부터 벼의 생육 특히 뿌리 무게에 많은 영향(40.7% 감소)을 주었으며 출수기는 6일 정도 지연되었다. 3. 선충 20,000마리 접종 폿트에서 수수, 1,000립중, 등숙비율 등이 감소되어 31.2%의 감수를 보였다. 4. 선충 접종 밀도에서는 폿트당 5,000마리 수준에서부터 생육 및 수량에 영향을 주었고, 피해한계밀도는 8월 30일에 조사한 것을 기준으로 하면 벼 뿌리 생중 30g당 1,500마리 정도로 나타났다.

  • PDF

개에서의 피부, 피부조직학, 임상병리학 및 갑상선 기능에 있어서 지방산 농도에 관한 규정식 중 다양한 단백질들의 제반 영향(6) (Effects of Various Proteins in the Diet on Fatty Acid Concentration in the Skin, Cutaneous Histology, Clinicopathology, and Thyroid Function in Dog)

  • White Stephen D.;Rosychuk Rod A.W.;Scott Kathryn V.;Carey Daniel P.;Longardner Curtis;Schultheiss Patricia C.;Salman Mowafak
    • 대한수의사회지
    • /
    • 제33권1호
    • /
    • pp.22-28
    • /
    • 1997
  • 12마리의 개들을 12주동안 6종류의 규정식으로 각각 급여시켰다. 규정식들은 단지 단백질원 즉 닭고기, 새끼양의 고기, 물고기, 쇠고기 및 콩이란 것에서만 차이가 있었다. 개들은 CBC 즉, 혈청화학프로필, 요분석, TSH반응시험 및 피부생검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피부생검은 조직학적으로 하는 것과 피부지방산 농도의 측정을 통한 평가, 두가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평가된 지방산들은 리롤레산, 감마-리롤렌산, 알파-리롤렌산, 아라키돈산, 아이코사테트라에노이산 및 아이코사펜타에노이산 등이었다. 개들은 주관적으로 생검채취부위에서 털의 재성장과 비늘(피부의 얇은 조각)의 존재유무로 평가하였다. 결과에서 보면 각종의 규정식을 급여시킨 개들 사이에서 CBS, 조직적 소견 또는 피부지방산 수치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쇠고기 규정식을 급여시킨 12마리중 3마리의 개에서 고콜레스테롤 혈증이 있었고, 콩 규정식을 급여시킨 12마리중 9마리의 개에서 알카리성 오줌과 돼지고기를 급여시킨 12마리중 4마리가 비늘이 주관적 증가가 있었고, 털의 재성장이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부착성 요각류 Tigriopus japonicus의 nauplius 생산을 위한 중형규조류의 먹이효율

  • 김미정;이재형;김영태;허성범
    • 한국양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양식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요약집
    • /
    • pp.92-92
    • /
    • 2003
  • 본 연구는 부착규조류에 따른 부착성 요각류 Tigriopus japonicus의 nauplius 생산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T. japonicus는 부산 동백섬 부경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부근에 있는 tidal pool에서 동물성부유생물망으로 채집하였다. 먹이생물로는 부경대학교 한국해양 미세조류 은행에서 보관중인 부착규조류 중 중형종인 Caloneis schroder를 대표종으로 이와 크기가(14.8~27.5$\mu\textrm{m}$) 유사한 종들을 대상으로 형태를 현미경 하에서 관찰하고, 지역과 분리일자 등을 고려하여 유사종을 선별한 후 최종적으로 종의 유전적 유사성을 밝히기 위하여 RAPD-PCR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실시하였다. 이 중 Caloneis schroder와 유전적으로 유사성이 낮은 Navicula spp. (KMCC B-245, 393, 394, 581) 4종을 선별하여 T. japonicus의 먹이로 사용하여 포란한 암컷의 nauplius 생산력을 3반복 조사하였다. Genomic DNA는 대부분의 종에서 성공적으로 검출되었으며, 종에 따라 PCR 증폭산물이 나타나지 않은 경우도 있었으므로, PCR 산물이 나타난 종에 대해서만 분석하였고, 증폭된 DNA band는 대부분 크기 0.5~2.0kb 범위에서 나타났다. 실험에 사용된 부착규조류 간의 유사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similarity matrix를 분석한 결과 F값의 범위는 0.00에서 1.00까지 였으며, Caloneis schroder와 유사성이 낮은 종들에 비하여 유사성이 높은 종들이 더 많이 나타났다. 이들을 먹이로 하여 포란한 T. japonicus의 실험구별 nauplius 평균 개체수를 살펴보면, KMCC B-394가 255.7마리로 가장 높았던 반면 KMCC B-581가 29.7마리로 가장 낮았다. 그 외 KMCC B-245가 120.0마리, KMCC B-393가 76.0마리, Caloneis schroder가 32.3마리 각각 나타났다. 이와같은 결과를 볼 때 T. japonicus의 nauplius 생산력은 규조 종에 따라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오이에서 꽃노랑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의 생물적 방제를 위한 지중해이리응애(Amblyseius swirskii) 적용 효과 (Biological Control of Frankliniella occidentalis(Thysanoptera: Thripidae) on Cucumber, using Amblyseius swirskii(Acari: Phytoseiidae))

  • 김황용;김정환;강승호;이용휘;최만영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355-359
    • /
    • 2009
  • 꽃노랑총채벌레의 초기 밀도가 엽당 18.3마리에 이르는 $1,600m^2$ 규모의 오이 포장에서 지중해이리응애를 오이 한 주 당 25마리 정도 1회 방사한 결과, 경제적 피해 없이 꽃노랑총채벌레를 방제하는데 성공하였다. 지중해이리응애는 방사 후 4주 만에 엽당 16.6마리까지 증가한 반면, 꽃노랑총채벌레는 엽당 2.1마리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꽃노랑총채벌레의 초기 밀도가 엽당 34.3마리로 비교적 높았던 온실에서 수직분포의 변동을 관찰한 결과, 방사 초기에는 지중해이리응애가 오이 하엽에 주로 분포하다가, 후기에는 상위엽 쪽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방글라데시, 캄보디아, 태국, 베트남 벼 포장에서 멸구류 3종의 발생 양상 (Occurrence Patterns of Three Planthopper Species in Rice Fields in Bangladesh, Cambodia, Thailand and Vietnam)

  • 박부용;이상구;박홍현;전성욱;정인홍;박세근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89-500
    • /
    • 2018
  • AFACI 회원국 4개국의 수도작 포장의 멸구류 발생 양상을 조사하기 위해서 황색 점착트랩을 이용하여 타락법으로 멸구류 발생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전반적으로 모든 조사 지점에서 벼멸구의 발생량이 많았으며 상대적으로 흰등멸구의 발생량은 적은 편이었다. 애멸구의 발생은 없었다. 분얼기부터 호숙기까지 벼 멸구류의 발생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한국의 경우와 다르게 1~2회의 발생 최성기(Peak)가 나타나지 않았다 벼멸구의 경우 모든 조사 지점에서 발생하였으며 스리랑카의 Svay Reang에서 조사기간 동안 평균 1,673마리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방글라데시의 Dobila, Hamkuria, 남베트남의 Cho Gao가 각각 1,236마리, 818마리, 666마리 순이었다. 흰등멸구의 경우 조사지점 간 편차가 크게 나타났는데 방글라데시의 Dobila에서는 조사기간 동안 평균 1,163마리가 발생하였으나 남베트남에서는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밭토양에서 지렁이 서식에 영향을 추는 토양특성에 관한 연구 (Soil Properties Influencing on Earthworm Habitation in Upland)

  • 나영은;이상범;한민수;김세근;최동로
    • 한국토양동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65-168
    • /
    • 2000
  • 밭토양에 지렁이가 서식하는지를 알기 위하여 밭토양 이용에 따라 초지, 과수원지, 유기농업 지, 비닐하우스지, 노지에서 지렁이를 조사하였다. 초지와 과수원지는 조사지역 모두에서 지렁이가 서식하였으며, 유기농업지는 8개 조사지역 중에 6개 지역에서만 서식하였고, 비닐하우스지에서는 12개 지역중 5개, 노지는 25개중 5개에서 지렁이 서식이 확인되었으며, 지렁이는 낚시지렁이과 (Lumbricidae)와 지렁이과 (Megascolecidae)에 속하는 지렁이였다. 지렁이 개체수는 과수원지 14마리, 초지가 12마리, 유기농법지가 10마리, 비닐하우스가 7마리, 노지가 3마리 순서로 적었으며 , 생체량은 0.25 m$^2$당 과수원지가 12.3g, 유기농법지가 11.6g, 초지가 10.6g, 비닐하우스지가 4.2 g, 노지가 2.9 g 순서로 적었다. 밭토양의 토양수분이 5% 미만이거나 35% 이상인 경우가 아니면 서식하는 데는 문제가 없었으며, 토양산도는 강산성이나 강알칼리성 토양이 아니면 토양에 적응해 가며 서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유기물은 1%미만 정도로 적으면 지렁이가 서식하지 않고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