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il Properties Influencing on Earthworm Habitation in Upland

밭토양에서 지렁이 서식에 영향을 추는 토양특성에 관한 연구

  • 나영은 (농업과학기술원 환경생태과) ;
  • 이상범 (농업과학기술원 환경생태과) ;
  • 한민수 (농업과학기술원 환경생태과) ;
  • 김세근 (농업과학기술원 환경생태과) ;
  • 최동로 (농업과학기술원 환경생태과)
  • Published : 2000.12.01

Abstract

The earthworm was investigated for knowing about that he inhabits in grassland, orchard field, organic farming land, greenhouse land, and ordinary farming land according to use of upland. The earthworm lives all in grassland and orchard field where was investigated, in 6 among 8 sites of organic farming land, in 5 among 12 sites of greenhouse land, in 5 among 25 sites of ordinary farming land. The earthworms that were shown are the Lumbricidae and the Megascolecidae. The number of the earthworm was 14 in orchard field, 12 in grassland, 10 in organic farming land, 7 in greenhouse land and 3 in ordinary farming land. The weight of the earthworms was declined in order of 12.3 g in orchard field, 11.6 g in organic farming land, 10.6 g in grassland, 4.2 g in greenhouse land and 2.9 g/0.25 m$^2$in ordinary farming land. If the water content of soil is not below 5% or over 35%, earthworm was no problem to live in. It was examined that the earthworm could live if pH values was not just strong acid or alkal. And if the organic matter is below 1%, the earthworm do not live but move another place.

밭토양에 지렁이가 서식하는지를 알기 위하여 밭토양 이용에 따라 초지, 과수원지, 유기농업 지, 비닐하우스지, 노지에서 지렁이를 조사하였다. 초지와 과수원지는 조사지역 모두에서 지렁이가 서식하였으며, 유기농업지는 8개 조사지역 중에 6개 지역에서만 서식하였고, 비닐하우스지에서는 12개 지역중 5개, 노지는 25개중 5개에서 지렁이 서식이 확인되었으며, 지렁이는 낚시지렁이과 (Lumbricidae)와 지렁이과 (Megascolecidae)에 속하는 지렁이였다. 지렁이 개체수는 과수원지 14마리, 초지가 12마리, 유기농법지가 10마리, 비닐하우스가 7마리, 노지가 3마리 순서로 적었으며 , 생체량은 0.25 m$^2$당 과수원지가 12.3g, 유기농법지가 11.6g, 초지가 10.6g, 비닐하우스지가 4.2 g, 노지가 2.9 g 순서로 적었다. 밭토양의 토양수분이 5% 미만이거나 35% 이상인 경우가 아니면 서식하는 데는 문제가 없었으며, 토양산도는 강산성이나 강알칼리성 토양이 아니면 토양에 적응해 가며 서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유기물은 1%미만 정도로 적으면 지렁이가 서식하지 않고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