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마리

검색결과 2,252건 처리시간 0.027초

Ar DBD 플라즈마의 ROS가 히드라 출아에 미치는 영향

  • 정관호;황창하;변지현;임준섭;남철주;최은하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6년도 제50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208.1-208.1
    • /
    • 2016
  • 히드라란 단세포 생물로써 강장동물에 속한다. 촉수가 많이 있으며, 그 촉수에는 독이 있다. 번식 방식으로는 출아법을 이용한다. 출아를 할 때에는 한 마리가 아닌 여러 마리의 히드라가 동시에 출아를 하기도 하며, 출아를 하고 있는 히드라는 촉수가 들어난 순간부터 먹이 섭취가 가능해진다. 이 출아법을 이용하여 번식을 하는 히드라가 DBD처리를 했을 시, 히드라 출아에 차이를 보인다면 다른 생물에게도 DBD 처리를 했을 시,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고 실험을 진행하였다. DBD(Dielectric Barrier Discharge)는 두 전극 사이에 유전체층이 있으며, 외부에서 교류 전압을 가해준다. 그러면 유전체 사이에서 방전이 발생되는데, 방전된 것을 플라즈마라고 한다. DBD라는 유전체 장벽 방전으로써 주위를 이온화 시켜 만드는 플라즈마에 유전체를 씌어 생물에게 최대한 해가 되지 않도록 만든 것이다. 유전체 장벽 방전에ROS(Reactive Oxygen Species)라는 산소와 결합된 기체들이 생성된다. DBD로 인해서 생성되는 ROS를 히드라에 처리했을 경우 히드라 출아수에 변화를 통해서 해를 끼치는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아르곤 기체에 의한 ROS로 처리한 히드라는 대조군 보다 히드라의 출아수의 변화가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고, 공기를 이용하여 방전한 DBD의 ROS로 처리한 히드라는 대조 군과 비교하여 큰 변화가 없어 보였다. 따라서 아르곤 대기압 DBD플라즈마를 이용하여 만든 ROS가 히드라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보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아르곤DBD를 이용한 ROS 처리는 생물에게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이 실험을 통해 간접적으로 확인해 볼 수 있었다.

  • PDF

진딧물류를 포식하는 혹파리, Aphidoletes aphidimyza(Roundani)(Diptera: Cecidomyiidae)의 복숭아혹진딧물 포식과 발육 (Development and Predation of a Aphidophagous Gall Midge, Aphidoletes aphidimyza (Roundani) (Diptera: Cecidomyiidae) on Myzus persicae Sulzer)

  • 최만영;이건휘;백채훈;김두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44-49
    • /
    • 2001
  • 진딧물류 천적 혹파리(Aphidoletes aphidimyza (Rondani))의 온도별 발육 및 복숭아혹진딧물에 대한 포식특성을 실험실 및 온실 조건에서 조사하였다. 온도와 유충의 발육속도와의 상관 을 구하였으며 ((regression; development rate (y) : 0.013348x (temperature)-0.173022, F = 41.14, p<0.01)), 발육영점온도는 $13^{\circ}C$이었다. $\25pm$2$^{\circ}C$ 에서 유충 발육기간은 5.3일 이었고, 1세대기간은 29 일이었다. 복숭아혹진딧물 밀도에 따른 혹파리의 포식량은 arena(직경 9cm)당 복숭아혹진딧물 10마리일 때 4마리를 포식하여 포화상태를 나타냈다. 온실조건에서 진디혹파리의 진딧물 포식은 지체적밀도의존반응과 유사한 반응을 보였다.

  • PDF

흑진주벼로부터 색소추출물의 안전성 (Food Safety of Pigment in Black Rice cv. Heugjinjubyeo)

  • 류수노;박순직;강삼식;이은방;한상준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370-373
    • /
    • 2000
  • 흑진주벼 색소 분획의 급성독성 시험을 하기 위하여 ICR계 생쥐 각 암수 6마리를 1주일 이상 순화시킨 다음 경구투여를 실시하여 14일 동안 급성독성 평가를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색소추출물의 급성독성 실험에서 생쥐의 암수 모두 9000mg/kg의 대량 경구 용량에서도 사용한 6마리가 모두 사망하지 않았다. 2 1000, 3000 및 9000mg/kg 경구 용량에서 14일간 측정한 체중변화는 대조군과 유의성 있는 변화가 없었고 증상의 이상도 보이지 않았다. 3. 경구 용량 시험의 부검결과 대조군과 유의성 있는 체중변화와 다른 증상의 이상이 관찰되지 않아서 안정성이 높은 물질로 확인되었다.

  • PDF

한국의 장흡충에 관한 연구 Vlll. 호르텐스 극구흡충(Echinostomu hoytense)의 인체감염 1예 (Studies on Intestinal Trematodes in Korea VIII. A Human Case of Echinostoma hortense Infection)

  • 서병고;홍성태채종일이순형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1권2호
    • /
    • pp.219-223
    • /
    • 1983
  • 경상북도 문경군에 주소를 둔 21세 한국인 남자에서, 1983년 10월에 실시한 집단 검변 도중 크기가 0.127∼0.139min인 흡충란을 발견하였다. 이를 극구흡충류 충란으로 생각하고, 국산 프라지관텔(디스토시드) 20mg/kg을 1회 투여하고 염류하제를 1시간 후에 복용시켜 설사변을 4회 수집 조사한 결과, 극구흡충의 성충 1 마리와 간흡충 4마리가 수집되었다. 이 홉충은 성충과 충란의 계측치, 난소와 고환의 위치 등을 근거로 하여 호르텐스극단흡충(Echinostoma hortense)으로 동정되었고 국내 최초의 인체감염임이 확인되었다. 이 환자는 고향에서 많은 종류의 민물고기를 날로 먹은 경험이 있다고 하나 미꾸리 등 알려진 중간숙주는 생식한 기억이 없다 하므로 정확한 감염원을 파악할 수는 없었다. 초상적 문제나 증후는 전혀 관찰되지 않았으며 말초혈액중의 호산량는 6%이었다.

  • PDF

Stellantchasmus falcatus에 의한 인체 감염 1례 (A human case of Stellantchasmus falcatus infection)

  • 손운목;채종일;이순형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7권4호
    • /
    • pp.277-280
    • /
    • 1989
  • Stelldntthasntus falcatrts에 의한 인체감염 1례가 프라지콴텔 투여 후 충체를 수집함으로써 확진되었다. 환자는 서울에 거주하는 33세 남자로 복부 불쾌감과 공복통이 있다고 하였다. Formalin-ether 침전법으로 실시한 대변 검사에서 이형홉충류의 충란이 검출되어 프라지콴텔 600 mg을 1회 투여하고 1시간 후 황산 마그네슘 25 g으로 설사를 유도한 바 설사변에서 S. falcatus 17 마리와 H. nocens 14마리가 검출되었다. 치료 후 1개월에 실시한 대변검사에서는 충란이 검출되지 않았고 임상증상도 없어졌다고 하였다. 환자는 평소에 여러 종류의 생선회를 즐겨 먹었다고 하며 이들이 감염원일 것으로 추측된다. 이 중례는 S. felcatus의 국내 4번째 인체감염례에 해당된다.

  • PDF

청미천 유역의 하천환경 조사 - 2008년 식생 및 어류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 (Field Survey of River Environment at River Basin of Cheongmi-Cheon)

  • 김진홍;정순혁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9년도 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1984-198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하천 식생 및 어류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청미천 유역의 본류에 대한 하천 수변환경을 평가하였다. 하천 식생은 홍수 전과 후로 구분하여 2회 조사하였다. 식생 조사는 Braun-Blanque의 조사 방법에 따라 표본구 내의 출현식물에 대해 조사하였고 표본구 면적은 자생지 주변의 특징과 형성된 군락의 최소면적에 근거하여 $2{\ast}2m^2$ 결정하였다. 1, 2차 조사 결과 공히 국화과 식물이 많이 출현하였고 다음으로 벼과 식물이 많이 출현하였다. 청미천 조사구간에서 볼 수 있는 식물은 21개과 38종이 출현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중 국화과 7종과 벼과 5종, 콩과 4종으로 출현종이 많이 조사되었다. 화봉천 합류점에서는 총 123마리를 포획하여 동종 분류한 결과 1개과 3개아과 7개종이 출현하였다. 1지점의 경우 출현어종은 모두 잉어과로 피라미가 48%로 우점종을 차지하고 있었다. 죽산천 합류지점에서는 총 83마리를 포획하였으며, 출현어종은 1개과 2개아과 7개종의 어류이며 그중 붕어와 피라미가 각각 31%와 23%로 우점하고 있었다. 청미천 조사구간의 출현어종의 개체수를 보면 피라미 68.5%, 붕어 44.3%, 떡붕어 18.1%, 모래무지 14.3%, 왜매치 14.1% 순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기타 출현어종은 대부분 4% 내외로 피라미가 우점종으로 조사되었다.

  • PDF

Diffuse Optical Imaging으로 측정한 태충($LR_3$) 자침이 쥐의 유방 조직에 미치는 혈역학적 변화 (The Hemodynamic Effects of Acupuncture on Taechung($LR_3$) on Mammary Tissues of Rat Monitored by Diffuse Optical Imaging)

  • 조명래;김재관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7권6호
    • /
    • pp.59-66
    • /
    • 2010
  • 목적 : 태충($LR_3$)에 자침을 하는 것이 쥐의 유방 조직에 미치는 혈역학적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diffuse optical imaging 기법을 사용하였다. 방법 : 실험에 사용한 쥐는 자침을 하지 않은 대조군 7마리, 태충에 자침을 한 실험군 8마리로 총 2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몸무게 170g 정도의 건강한 암컷 쥐는 100% 산소와 1.5% isoflurane을 혼합한 것을 이용하여 마취시켰다. 자침은 양 발등의 첫째와 둘째 중족골 사이의 지점인 태충($LR_3$)에 20분간 시행하였다. Beckman Laser Institute and Medical Clinic에서 개발된 modulated imaging system을 이용하여 자침하기 전과 자침하고 있는 동안에 산화혈색소(OHb), 탈산소혈색소(RHb), 총 혈색소(THb)와 조직 산소 포화도($StO_2$)의 영상을 얻었다. 결과 : 실험 결과 태충($LR_3$)에 자침을 한 실험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이 있는 OHb THb의 감소와 유의성이 없는 RHb의 증가가 나타났다. 결론 : Diffuse optical imaging 기법으로 자침 중에 조직 산소공급과 혈류량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고, 이는 비침습적으로 자침의 효과를 측정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자침으로 인한 유방조직의 혈역학적 조절은 암 검진뿐만 아니라 암 치료에도 다른 치료와 병행하여 활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Diffuse Optical Imaging으로 측정한 족삼리($ST_{36}$) 자침이 유방조직 산소공급 변화에 대한 기초 연구 (The Preliminary Study on the Changes of Mammary Tissue Oxygenation During Zusanli($ST_{36}$) Acupuncture Monitored by Diffuse Optical Imaging)

  • 조명래;김재관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7권6호
    • /
    • pp.67-75
    • /
    • 2010
  • 목적 : 족삼리($ST_{36}$) 자침이 유방 조직에 미치는 혈역학적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diffuse optical imaging 기법을 사용하였다. 방법 : 실험에 사용한 쥐는 자침을 하지 않은 대조군 7마리, 자침을 한 실험군 7마리로 총 2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몸무게 170g 정도의 건강한 암컷 쥐는 100% 산소와 1.5% isoflurane을 혼합한 것을 이용하여 마취 시켰다. 자침은 경골 조면에서 2mm 외측에 위치한 지점인 족삼리($ST_{36}$)에 20분간 시행하였다. 자침을 시작할 때와 자침 후 10분에 각각 침을 5회 회전하였다. Diffuse optical imaging system을 이용하여 자침하는 동안 의 산화혈색소(OHb), 탈산소혈색소(RHb), 총 혈색소(THb)와 조직 산소 포화도($StO_2$)의 변화를 측정했다. 결과 : 실험 결과 족삼리($ST_{36}$) 자침을 시행한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이 있는 OHb, RHb, THb의 증가와 유의성이 없는 $StO_2$의 감소가 나타났다. 결론 : 이러한 결과 족삼리($ST_{36}$) 자침이 혈류를 증가시키고 동시에 세포 대사 활동을 증가 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diffuse optical imaging 기법으로 족삼리($ST_{36}$) 자침 시의 유방 조직의 산소공급과 혈류량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고, 이는 비침습적으로 자침의 효과를 측정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가숭어, Chelon lauvergnii 종묘생산 (Production of Mullet (Chelon lauvergnii) Seedlings)

  • 강희웅;박인석;이원호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97-206
    • /
    • 2000
  • 가숭어, Chelon lauvergnii의 효율적인 인공종묘생산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자어를 대상으로 부화후 70일까지 국립수산진흥원 보령수산종묘시험장에서 일련의 실험들을 수행하였다. 보령수산종묘시험장 인근해에서의 가숭어 산란시기는 5월부터 6월까지로 추정되었다 3가지 먹이공급 계열 (즉, rotifer, Artemia nauplius 및 배합사료공급)을 적용한 실험군의 성장과 생존은 다른 2가지 먹이공급 계열군의 성장과 생존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P<0.05). Maxima$^{TR}$ 로 영양강화한 rotifer로 먹이공급군, 그리고 오징어 간유로 영양강화한 Artemia nauplius로 먹이공급군의 생존율은 유의하게 높았다 (P <0.05). 단위 사육수량 200 l 당 100~600마리를 기준으로 밀도 실험 결과 200 l 사육수당 100마리 자어 밀도군이 가장 높은 성장을 보였으며 (P<0.05),모든 밀도 실험군은 97~98%의 생존율을 보여 차이가 없었다 (P<0.05).

  • PDF

줄납자루, Acheilognathus yamatsutae (Cyprinidae)의 패류 체내 산란 (Spawning of the Bitterling, Acheilognathus yamatsutae (Cyprinidae) into the Mussel)

  • 송호복;권오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9-50
    • /
    • 1994
  • 줄납자루, Acheilognathus yamatsutae의 패류 체내 산란에 관하여 1990년부터 1992년까지 강원도 춘천시에 위치한 의암호에서 조사 연구하였다. 본 종은 패류 체내 산란시 조개의 크기에 관계없이 산란숙주로 선호하는 종이 있었으며 선호하는 종내에서는 큰 개체를 선택하였다. 산란숙주로는 석패과의 말조개, 작은말조개, 곳체두드럭조개, 작은대칭이 등의 순으로 선호하였으며 석패과의 도끼조개, 재첩과, 산골과의 패류에는 산란을 하지 않았다. 조개 안의 어란과 자어는 대부분 내반새에 위치하였고 말조개에서 발견되는 어란과 자어의 수는 1-35개(마리) 사이였으며 한 개체당 평균 3.6개(마리)를 보유하고 있었다. 본 종은 비교적 부화가 빠르고 부화 직후에 이미 표피상돌기와 익상돌기가 생성되어 있었으며 꼬리운동이 활발하였는데 이는 조개의 반새안에서 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한 방편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