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마리나 시설

Search Result 48,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레저용 플로팅건축물 설계를 위한 국내 마리나클럽 현황 및 공간구성에 대한 연구

  • Park, Seong-S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11a
    • /
    • pp.108-110
    • /
    • 2011
  • 국내 해양레포츠 수요는 지속적인 증가세이며,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은 2015년 국내 요트수요 22,000척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따른 마리나 및 마리나클럽 공간의 확충도 필요하다. 현재 국내 마리나는 수적으로 한정된 상태로 서울마리나, 아라마리나, 전곡마리나, 수영마리나 등이 대표적인 시설이다. 마리나 공간은 계류시설, 클럽하우스, 보트이동시설, 수리소 및 보관창고, 세척공간 및 각종 지원시설, 복합시설로 구성되며, 마리나클럽은 그 중심 공간이다. 국내 마리나클럽은 식음을 위한 상업공간의 면적이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마리나는 육지에서 강이나 바다로의 조망, 수면에서 랜드마크 효과 극대화하는 공간 디자인을 추구한다.

  • PDF

공공 마리나의 조성과 서비스시설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 Hong, Ja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211-213
    • /
    • 2012
  • 해양관광.레저산업을 신상정동력으로 육성하기 위한 국가정책의 추진을 위해서는 공급정책에 부합되는 기반시설의 정비가 요구된다. 이 연구에서는 해양레저활동의 기반시설여건이 되는 마리나의 도입방안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 마리나 여건 평가를 토대로 마리나의 서비스 기능과 더불어 해양레저활동의 대중화 촉진을 위해서 도입되어야 하는 공공마리나의 역할, 기능을 제시하였다.

  • PDF

국내 마리나항만의 이용환경 개선방안 연구

  • Hong, Ja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6.05a
    • /
    • pp.145-147
    • /
    • 2016
  • 국내 마리나항만은 마리나항만법 제 개정과 기본계획 수립 따라 거점형 마리나항만, 어촌마리나역, 계류형 해상부이 등 다양한 정책사업이 추진되면서 레저선박 이용여건이 개선되고 있다. 한편, 국내 해양레저 활동과 마리나항만 시설여건을 고려할 때 초기 수요시장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이용자 환경에 부합되는 기반시설의 조성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마리나항만 조성과 관련된 정책환경 분석과 시설여건 분석을 통하여 해양레저 대중화를 위한 정책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국내 마리나 시설 조성의 중요성

  • Lee, Jae-Hyeong;Gang, Sin-Beom;Jo, U-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91-93
    • /
    • 2011
  • 본 연구는 마리나 시설 조성과 관련한 지역별, 여건평가, 개발수요에 대한 검토가 미흡하여 해안지역의 난개발과 시설의 중복개발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어 우리나라 실정에 적합한 마리나 시설 조성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를 주목적으로 함.

  • PDF

항만재개발지구의 복합형 마리나 개발에 관한 연구

  • Lee, Hyeong-Ha;Lee, Jung-U;Gang, Seok-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27-29
    • /
    • 2012
  • 부산북항을 국내에서는 체류형 해양관광과 동남해안 관광벨트 중심의 해양관광 거점으로, 또한, 국제적으로는 해륙교통의 요충지 여건을 활용하여 교통인프라를 구축하여 유라시아 관광의 전초기지로 하기위한 친환경 워터프런트 및 시민참여형 항만재개발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북항 재개발지구의 친수공간 배치계획에 따라 반영된 마리나 시설을 대상으로 국제해양관광의 거점조성 개발컨셉에 부합하는 마리나시설 개발을 정립하기 위하여 국내 및 해외 선진국의 마리나시설 개발사례에 대하여 국가별, 시설별로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이는 추후 국내 마리나 개발시 시사점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아울러, 부산북항 마리나항만의 효율적인 개발과 운영의 활성화를 위한 법적인 절차, 정부의 지원정책, 개발방향, 사업시행방안, 관리운영방안 등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를 통하여 향후 국내 마리나 개발과 운영시 사례로 활용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Present Condition and Spatial Organization of Domestic Marina Club to Design Leisure Floating Architecture (레저용 플로팅건축물 설계를 위한 국내 마리나클럽 현황 및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 Pak, Sung-Sine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6 no.3
    • /
    • pp.253-259
    • /
    • 2012
  • Marina and marina clubs are the essential structures to meet increasing marin tourism and marin leisure sports demand. According to the domestic situation, marina and marina clubs are divided into 6 types such as small sports type, small complex type, midium sports type, midium complex type, large sports type, large complex type. As a result of analysis of domestic three marina clubs, averagely marina facilities take 21% and commercial facilities take 79% of total space. In the short term, marina club should be designed focusing on complex program. Marina club will be for long-term transformed into marin leisure sports program. Additionally, it is certain that floating marina club is an architecture to have water-friendly space and to maximize marin tourism and marin leisure sports.

A Study of Strategy Development of Marina using ubiquitous sensor network (유비쿼터스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스마트 마리나 구축에 관한 연구)

  • Kang, Nam-Seon;Kwon, Youn-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96-97
    • /
    • 2011
  • In these days many korean people have much interested in oceanic sports and oceanic leisure equipment.. However, the current condition for the marine leisure in korea are not advanced even worse than wnderdeveloped countries.. Recently several suggestion for vitalization on the marine leisure industry and preparations of the laws & the regulations for marine leisure.. This paper suggest the new marina model using ubiquitous sensor network to reduce the risk of the policy and the investment in the filed og marine leisure industry.

  • PDF

Study on Improvement of Marina and Marine Leisure Service (국내 마리나항만 서비스 개선방안 연구)

  • Hong, Ja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05a
    • /
    • pp.167-168
    • /
    • 2019
  • This study analyzes the operating conditions of domestic marinas in response to changes in marine leisure trends and demand for recreational boats, and suggests ways to improve services according to the types and functions of marinas. In order to popularize marine leisure and to foster coastal and marine tourism industry, the 'Act on the Development, Management, etc. of Marinas' was enacted in 2010 and 'The 1st Marina Basic Plan' was established, and more than 34 marinas are operated nationwide. In order for domestic marinas to be used as an infrastructure for marine leisure activities, measures for enhancing service functions should be prepared in accordance with the size and characteristics of marinas. It is also necessary to improve facilities for marine leisure management and tourist convenience.

  • PDF

A Study on the Status and Improvement of Domestic Marina Port Facility in Aspect of Navigators (항해자의 관점에서 본 국내 마리나 항만현황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Jeong, Woo-Lee;Park, Jin-Soo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8 no.1
    • /
    • pp.73-79
    • /
    • 2014
  • As Korean expanded the leisure time and improved the national incomes, the interest and demands of the marine leisure activities are increasing. However, it needs to considerate the infrastructure improvement for supporting these demands. This paper analyzed the problems based on the status of domestic marina port facilities including the absence of integrated management division and minimum standards for port facilities, governmental-centered administrative procedure, lack of professional manpower and linkage among educational institutes in aspect of navigators To improve these problems, this paper suggest that management system would be user-centered marina for marine leisure activities to make the integrated management division for marina port, the minimum standards for port facilities, realization of CIQ, familiarity for citizen and linkage among educational institutes.

스마트 요트운용시스템 및 마리나 관제시스템 개발을 위한 시스템 설계

  • Gang, Nam-Seon;Sin, Il-Sik;Nam, Gyeo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10a
    • /
    • pp.186-187
    • /
    • 2012
  • 여가활동 및 가족단위 관광활동의 증가로 인하여 해양관광활동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해양레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그에 따른 제반시설 구축이 현저히 적으며, 해양레저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 방안으로 추진 중인 마리나 육성계획이유휴시설 발생 및 중복개발로 인한 예산낭비가 우려되고 있어 국내 마리나 항만에 적합한 관리시스템 및 서비스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요트의 운용상태 및 항해정보를 스마트기기 내장 S/W로 관리함과 동시에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마리나 관제시스템에 전송하고, 마리나 센터로부터 항해와 안전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아 요트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 요트를 운항하는 사용자가 편리하고 안전하게 요트를 운용, 관리, 항해할 수 있도록 지원 가능한 스마트 기기 기반의 시스템을 설계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