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마름

검색결과 823건 처리시간 0.023초

열매 특성에 의한 한국산 마름과 큰마름에 대한 분류학적 검토 (A taxonomical examination of Trapa japonica and T. bispinosa based on nut characters)

  • 나혜련;김창균;정종덕;최홍근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13-117
    • /
    • 2010
  • 국내에서 채집된 마름속 식물들을 동정한 결과, 열매가 대형인 Trapa bispinosa Roxb.가 확인되었다. Trapa bispinosa는 국내에서 마름(T. japonica Flerow)으로 동정되어 보고된 바 있으나, 마름속 식물의 중요 식별형질인 열매 형태와 크기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두 분류군의 열매에 대한 16개 정량형질을 조사하고, 이에 대한 주성분분석을 수행하였다. 열매 형질의 분석 결과, T. bispinosa는 마름에 비하여 열매의 너비와 두께가 크고, 열매의 뿔이 길고 비후된 특징을 가진다. 또한 전체 변이의 42.3%를 설명하는 주성분1에 의해서 마름과 뚜렷하게 구별되었다. 이번에 조사된 T. bispinosa는 마름과 구별되는 독립된 분류군으로 취급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파악되며 일반명으로 '큰마름'을 부여하였다.

뽕나무 눈 마름병 발생 생태에 관한 연구

  • 김영택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68.1-68
    • /
    • 1973
  • 1. 추기 적엽방법에서는 염병 따기가 눈 마름병 발생이 적었다. 2. 추기 벌채는 강벌채 일수록 눈 마름병 발생이많다. 3. 눈 마름병균의 뽕나무 가지 침입시기는 수원지방의 경우 8월중순부터 9월하순경이였다. 4. 추기 조상벌채후 11월이후 재벌채 하면 눈 마름병을 억제 할수 있다.

  • PDF

Rhizoctonia solani의 균사융합군 및 배양형별 작물에 대한 병원성 (Pathogenicity of Anastomosis Groups and Cultural Types of Rhizoctonia solani on Crops)

  • 김완규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1-32
    • /
    • 1996
  • Rhizoctonia solani 균주들의 각 균사융합군 및 배형별 72종의 기주작물에 대한 병원성을 접종실험에 의해 조사하였다. 33종의 작물에서 단독으로 분리된 균사융합군 및 배양형은 그 기주작물에 병원성이 강하였으며, 8종의 작물에서 단독으로 분리된 것들은 병원성이 약하거나 강하였고, 6조의 작물에서 단독으로 분리도니 것들은 병원성이 약하거나 없었다. 26종의 작물에서 같이 분리된 균사융합군 및 배양형은 그 기주작물에 대한 병원성이 대부분 다르거나 간혹 비슷했다. AG-1(IA)는 1종을 제외한 기주작물에 잎마름병 혹은 잎썩음병과 잎집무늬마름병을 일으켰다. AG-1(IB)는 19종의 기주작물에 잘록병과 잎마름병 혹은 잎썩음병을 일으켰으나, 9종의 기주작물에는 병징을 약하게 유발시키거나 혹은 유발시키지 못했다. AG-1(IC)는 2종의 유채속작물에 잘록병과 밑둥썩음병 혹은 잎썩음병을 일으켰다. AG-2-1은 1종을 제외한 기주작물에 잘록병, 밑둥썩음병, 관부썩음병, 눈마름벼, 뿌리썩음병, 잎마름병을 일으켰다. AG-202(IIIB)는 기주작물에 뿌리 및 줄기썩음병, 잎마름병, 잘록병, 잎자루썩음병을 일으켰다. AG-2-2(IV)는 기주작물에 잘록병, 관부썩음병, 줄기썩음병, 라이족토니아마름병을 일으켰다. AG-3은 감자에 검은무늬썩음병을 일으켰다. AG-4는 42종의 기주작물에 여러 가지 병을 일으켰으나, 3종의 기주작물에는 잘록병, 눈마름병, 잎집무늬마름병을 일으켰으나, 9종의 기주작물에는 병징을 약하게 유발시키거나 혹은 유발시키지 못했다.

  • PDF

둔치에서의 홍수위험도 평가를 위한 2차원 흐름해석모형의 적용 (Application of Two-Dimensional Flow Analysis Model for Flood Risk Assessment in Flood Plain)

  • 구영훈;송창근;김영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40-40
    • /
    • 2015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홍수의 발생빈도와 홍수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여름철 집중호우 및 태풍에 의해 하천의 둔치가 침수됨으로써 다양한 침수피해를 야기한다. 대하천 사업 이후 하천의 둔치를 활용한 체육시설, 자전거도로 및 생태공원과 같은 친수시설들이 조성되었으며 태풍으로 인한 하천의 홍수위 상승은 이러한 친수시설에 대한 직접적인 피해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침수피해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둔치를 포함한 복단면에서의 흐름해석을 통한 수리학적 영향을 분석해야하며, 둔치에서의 흐름양상은 주수로에 비해 수심이 얕고 흐름에 대한 저항이 크기 때문에 2차원 수리해석이 바람직한 것으로 제안되고 있다. 2차원 수리해석에 있어 하천의 홍수위 상승과 하강으로 인해 발생하는 둔치구간에서의 마름과 젖음 현상은 수치해의 발산을 야기하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마름/젖음 해석 기법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으며 일반적으로 마름/젖음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마름/젖음에 상관없이 모든 부분에서 방정식을 푸는 박막기법과 해석영역으로부터 마름 부분을 제거하는 이동경계법으로 나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단기간에 수위가 급변하는 태풍사상에 대한 둔치에서의 홍수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해 마름/젖음 해석이 가능한 2차원 유한차분모형인 Nays2D 모형을 이용하여 마름/젖음에 대한 과거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적용된 모형의 결과를 비교하여 모형의 적용성을 검증하였고, 검증된 모형을 강정-고령보에서부터 달성보 사이 구간에 적용하여 수리학적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모형의 결과를 이용하여 홍수위험지수를 산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둔치구간에서의 홍수위험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 PDF

농업기술: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주요 병해충 방제 - 키다리병, 줄무늬잎마름병, 흰잎마름병 방제

  • 이동철
    • 농업기술회보
    • /
    • 제48권2호
    • /
    • pp.30-31
    • /
    • 2011
  • 최근 이상기온에 따른 환경의 변화로 그동안 문제되지 않았던 병해충이 많이 발생되어, 벼농사에 큰 피해를 주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키다리병 줄무늬잎마름병, 흰잎마름병이 많이 발생되어 수확을 하지 못할 만큼 큰 피해를 주고 있다. 벼에 발생되는 주요 병해를 중심으로 발생원인을 알아보고, 방제요령을 실천하여 2011년 고품질 벼 생산으로 농가소득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

크리핑벤트그래스와 애뉴얼블루그래스 그린에서 동전마름병에 대한 살균제 효과 평가 (Evaluation of Fungicides for Dollar Spot Control on Creeping Bentgrass and Annual Bluegrass Putting Green)

  • 제임스 팝코;옥창호;정근화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61-164
    • /
    • 2010
  • Sclerotinia homoeocarpa F.T. Bennett에 의한 동전마름병은 북미에서 가장 흔하며 경제적으로 중요한 잔디병이다. 동전마름병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봄부터 가을까지 잦은 약제처리를 요구한다. 본 연구에서는 동전마름병에 대한 농약의 단용 혹은 다른 약제와의 혼용 처리를 통해 약제의 효과를 평가하고, Rhizoctonia solani에 의한 브라운 패치(brown patch)와 Pythium aphanidermatum에 의한 피시움마름병에 대한 이차 방제효과(secondary effect)도 조사하였다. 평가기간동안 동전마름병은 유리한 기상조건으로 인하여 평가하기에 적당한 병 발생을 보였다. 처리한 살균제 중 Rhapsody 단용처리를 제외한 모든 살균제의 단용 혹은 혼용처리에서 동전마름병에 대한 유의성 있는 방제효과가 인정되었다. 또한 동일한 처리구에서 브라운 패치에 대한 병 방제효과도 인정되었다. 모든 살균제에서 약해는 관찰되지 않았다.

병충해 방제 - 칠엽수 잎마름병 (Leaf blotch)

  • 김경희
    • 조경수
    • /
    • 통권142호
    • /
    • pp.47-48
    • /
    • 2014
  • 칠엽수는 마로니에라는 이름으로 많이 알려져 있는 나무이며, 마로니에는 칠엽수 집안의 나무들을 통틀어서 부르는 이름이다. 일본 원산인 칠엽수, 소아시아 원산이며 열매 겉에 가시가 있는 가시칠엽수는 우리나라의 가로수나 공원수로 많이 심겨져 있다. 이런 칠엽수류에 여름이면 잎에 갈색의 큰 반점이 생기며 지저분해지는 잎마름병이 큰 문제가 되고 있어 이 병을 소개한다. 칠엽수 얼룩무늬병으로도 알려져 있는데 한국식물병리학회의 공식적인 병명은 칠엽수 잎마름병이다.

  • PDF

고추 풋마름병에 대한 효율적인 저항성 검정법 확립 (Development of an Efficient Bioassay Method to Evaluate Resistance of Chili Pepper Cultivars to Ralstonia solanacearum)

  • 황성민;장경수;최용호;김헌;최경자
    • 식물병연구
    • /
    • 제23권4호
    • /
    • pp.334-347
    • /
    • 2017
  • Ralstonia solanacearum에 의한 고추 풋마름병은 고추의 생산량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병해 중 하나이다. 그리고 병 저항성 작물을 재배하는 것은 고추의 풋마름병 방제에 가장 효과적인 방제 방법이다. 본 연구는 고추의 풋마름병 저항성을 효율적으로 검정하기 위한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풋마름병에 대한 저항성 및 감수성 6개 고추 품종을 선발하고, 다양한 조건에서 이들 품종의 풋마름병 발생을 조사하였다. 접종 방법에 따른 고추 품종들의 풋마름병 발생 정도를 실험한 결과, 상처없이 토양관주하는 방법과 접종원에 뿌리를 침지하는 방법보다 뿌리 절단 후 접종원을 관주하는 방법이 더 간단하고 효율적이었다. 풋마름병 저항성 계통인 'MC4'는 파종 후 21일부터 28일 재배한 고추 유묘에 $1{\times}10^8cfu/ml$ 농도의 세균 현탁액을 포트 당 20 ml 접종하였을 때 가장 높은 저항성을 나타냈다. 한편 감수성 품종들은 이들 조건에서 높은 감수성을 보였다. 이들 결과는 우리가 고추 품종의 풋마름병에 대한 효율적인 저항성 검정방법을 개발하였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선발한 발병조건을 사용하여 시판중인 140개 고추 품종의 풋마름병에 대한 저항성 정도를 평가하였다.

코퍼 하이드록사이드를 이용한 토마토 풋마름병 방제 (Control of Bacterial Wilt of Tomato using Copper Hydroxide)

  • 한유경;한경숙;이성찬;김수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98-302
    • /
    • 2011
  • 국내에서 Ralstonia solanacearum에 의한 풋마름병은 토마토 재배에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다. R. solanacearum에 의한 풋마름병을 방제하기 위한 약제를 선발하기 위하여 5종 항생제를 이용하여 균에 대한 생장 억제 효과와 포장에서의 토마토 풋마름병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R. solanacearum에 대한 생장억제효과를 조사한 결과, streptomycin 수화제, oxytetracyclin streptomycin sulfate 수화제, oxolinic acid 수화제는 병원균에 대한 생육억제 효과가 우수하였다. 포장에서 토마토 풋마름병에 대한 방제효과 시험을 실시한 결과, copper hydroxide 수화제가 62.5%의 가장 높은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Copper hydroxide 수화제는 친환경유기농자재에 등록된 약제로서 관행 재배뿐만 아니라 토마토 친환경 재배시에도 풋마름병 방제에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벼 흰잎마름병 저항성 유전자를 갖고 있는 준동질 계통을 이용한 벼 흰잎마름병균의 레이스 분류 (Race Classification of the Bacterial Blight Pathogen, Xanthomonas oryzae pv. oryzae, by Rice NILs with Single Resistance Genes)

  • 최재을;김보라;한진수;강희경;허성기
    • 식물병연구
    • /
    • 제14권3호
    • /
    • pp.165-170
    • /
    • 2008
  • 국내에서 수집한 103 금주의 벼 흰잎마름병 균주를 한국 판별품종과 한 개의 저항성 유전자를 갖고 있는 4개의 준동질 계통에 병원성을 검정하였다. 청청벼, 풍산벼, 한강찰벼, 밀양42호는 저항성 유전자의 배경을 완전히 알 수 없어 벼 흰잎마름병균의 분류에 적합하지 않았다. IRBB101, IRBB103, IRBB105, IRBB107의 계통은 1개의 저항성 유전자를 갖고 있어 벼 흰잎마름병 균주의 레이스를 구분할 수 있었다. 이 계통들은 우리나라 벼 흰잎마름병균의 분류하는 판별품종으로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나라 벼 흰잎마름병 균주는 4개의 NIL과의 반응에 따라 3개의 레이스로 분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