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마디풀과

Search Result 110, Processing Time 0.03 seconds

Several Treatments of Veronica rotunda Nakai for Pot Cultivation (분화 재배를 위한 둥근산꼬리풀의 몇 가지 처리)

  • Yeon, Soo Ho;Lee, Sang In;Lee, Seung Yeon;Lee, Cheol He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04a
    • /
    • pp.89-89
    • /
    • 2019
  • 둥근산꼬리풀(Veronica rotunda Nakai)은 다년생 초본으로 높은산 정상에서 자라며, 초장은 10~20 cm, 잎의 길이는 2~4 cm 정도이다. 또한, 기부의 잎은 엽병이 불분명하고, 줄기에는 털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관상소재로 이용되고 있으나, 식물정보는 매우 부족하며, 활용하기 위해서는 재배 연구와 식물에 대한 정보 수집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둥근산꼬리풀의 관상용 재배 시 적정 차광, 기비, 추비, 왜화제 및 적심 등의 처리 정도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재배방법의 확립을 위하여 선행연구에서 육묘한 유묘(2018년 5월 15일에 파종하여 생산)를 7월 16일에 정식하여 10월 15일까지 약 14주 동안 재배하였다. 공통조건은 플라스틱 화분 10호(이색포트, $9{\times}9cm$)에 원예상토를 충진하고, 200구 트레이에 셀 당 4립씩 파종하여 생산된 1셀을 정식하였다. 차광 정도 실험은 0, 55, 75% 차광막을 이용하였으며, 기비는 싱싱코트를 0, 10, 20알 처리하였고, 추비는 hyponex (N:P:K, 4:6:6)를 0, 1000, $2000mg{\cdot}L-1$의 농도로 엽면시비 하였다. 또한, 관상효과 증가를 위해 왜화제는 diniconazole, daminozide를 농도별(각 0, 1000, $2000mg{\cdot}L-1$)로 처리하였고, 적심은 4주차에 1회 처리 유무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연구의 결과, 둥근산꼬리풀에 기비 10알 처리는 생육에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20알 처리는 무처리와 10알 처리에 비해 절간장, 경직경이 증가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추비는 절간장을 증가시켰으나, 측지수와 마디수는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차광처리별로는 55, 75% 차광 모두 무차광에 비해 측지수, 마디수, 엽수 및 개화율을 크게 감소시키는 결과를 보여, 둥근산꼬리풀는 광이 충분한 곳에서 재배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생각된다. 왜화제의 처리는 종류와 농도에 관계없이 둥근산꼬리풀은 측지수, 마디수, 엽수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초장이 짧아지고 경직경은 두꺼워졌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종류별로는 daminozide $2000mg{\cdot}L-1$ 처리는 무처리에 비해 개화율이 증가하여, 둥근산꼬리풀의 분화용 재배시 daminozide $2000mg{\cdot}L-1$를 처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적심처리는 무처리에 비해 전반적인 생육 및 개화를 억제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둥근산꼬리풀의 분화용 재배시 광량이 충분한 곳에서 재배하고, 기비와 추비는 절간장을 증가시키며, 측지수, 마디수, 엽수에 큰 차이가 없거나 감소하는 결과를 보여 관상용 재배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추가적으로 daminozide $2000mg{\cdot}L-1$를 처리하며, 적심처리를 하지 않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 systematic study of the Polygonum amphibium L. complex (Polygonaceae) based on chloroplast DNA sequences (엽록체 DNA 염기서열에 근거한 물여뀌 종집단(마디풀과)의 분류학적 연구)

  • Yaqian, Gao;Bhandari, Gauri Shankar;Park, Jin Hee;Park, Chong-Wook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3 no.1
    • /
    • pp.34-45
    • /
    • 2013
  • The Polygonum amphibium complex (Poygonaceae) is a highly polymorphic taxon that can grow in aquatic environments as well as in moist terrestrial habitats. Aquatic and terrestrial plants of the P. amphibium complex vary significantly in morphology and exhibit very complicated patterns of morphological variation, resulting in the description of numerous infra-specific taxa.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of 107 individuals of the P. amphibium complex from Asia and North America using 11 morphological characters showed that the aquatic plants can be discerned from the terrestrial plants by leaf size, shape, and petiole length. In contrast, both aquatic and terrestrial plants collected from the same population or locality shared identical sequences in the matK, psbA-trnH IGS, rbcL-accD IGS and trnL-trnF regions of the chloroplast DNA (cpDNA), suggesting that aquatic and terrestrial forms of the P. amphibium complex are not genetically diverged; morphologic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forms are probably due to the differences in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habitats. In addition, results from the morphological analysis and the maximum parsimony analysis of the cpDNA data set revealed that the plants from Asia including Korea, Japan, China, Mongolia and Russia Far East are diverged from those in North America and Europe, suggesting that the Asian populations should be recognized as a distinct variety, P. amphibium var. amurense Korsh.

Flavonoid chemistry of Fallopia sect. Reynoutria (Polygonaceae) in Korea (한국산 닭의덩굴속 호장근절(마디풀과)의 화학분류학적 연구)

  • Park, Jin Hee;Moon, Hye-Kyoung;Park, Chong-Wook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1 no.1
    • /
    • pp.10-15
    • /
    • 2011
  • Fifteen populations comprising three taxa and a putative hybrid of Fallopia sect. Reynoutria in Korea were examined for their leaf flavonoid constituents. Nineteen flavonoid compounds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they were glycosylated derivatives of the flavonols quercetin and kaempferol, and of the flavones apigenin and luteolin. Among them, quercetin 3-O-galactoside and quercetin 3-O-glucoside were major flavonoid constituents, and present in all taxa. The flavonoid data appear to be very useful for taxon delimitation, and all taxa examined are readily distinguished by their flavonoid profiles. In addition, the flavonoid data suggest that the Nonsan population may be of hybrid origin involving F. japonica var. japonica, F. forbesii, and F. sachalinensis. In F. japonica var. japonica, there is no apparent correlation between their levels of polyploidy and flavonoid chemistry, but geographical variation of the flavonoid profiles among some populations was detected.

Occurrence of Weed Flora in Pasture of Jeju, Pyeongchang and Seosan Region, Korea and Changes in Weed Vegetation (우리나라 평창, 서산, 제주지역 목초지에 발생하는 잡초 현황과 군락변화)

  • Lee, In-Yong;Kim, Chang-Seog;Lee, Jeongran;Hwang, Kyung-Jun;Kim, Il-Jun;Kim, Dong-Min;Seo, Hyun-A;Jang, Hyung-Mok
    • Weed & Turfgrass Science
    • /
    • v.5 no.3
    • /
    • pp.126-135
    • /
    • 2016
  • The surveys of weed species in pastures were conducted in Jeju Island, Pyeongchang Gangwon, and Seosan Chungnam throughout 2013, 2014, and 2015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weed flora in Korean pastures and to utilize the survey data for basic measure of them. From the surveys, 275 species of 52 families including 83 exotic species were identified and classified into 77 species of annuals, 55 species of biennials and 143 species of perennials. Looking regionally, 207 species of 49 families, 62 species of 14 families, and 136 species of 36 families were occurred in Jeju, Pyeongchang and Seosan, respectively. Based on the importance values, the most dominant species was Rumex obtusifolius followed by Artemisia princeps, Trifolium repens, Digitaria ciliaris, Rumex acetosella etc. in order. The dominance of exotic species was the highest in Rumex obtusifolius followed by Trifolium repens, Rumex acetosella, Erigeron annuus etc. According to the surveys of past and present a pasture weed community has been changed, i.e., Erigeron annuus, Artemisia princeps, and Potentilla fragarioides var. major were dominant in 1990 and Artemisia princeps, Trifolium repens and Rumex acetosella were dominant in 2004. On the other hand, the dominant species at the pastures were changed into Rumex obtusifolius, Artemisia princeps, and Trifolium repens in 2015.

Several Factors Affecting of Veronica rotunda var. subintegra (Nakai) T.Yamaz. for Pot Cultivation (몇 가지 요인이 산꼬리풀 분화재배에 미치는 영향)

  • Lee, Sang In;Yeon, Soo Ho;Lee, Seung Yeon;Lee, Cheol He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04a
    • /
    • pp.87-87
    • /
    • 2019
  • 현대인의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른 관상식물의 관심이 증가하여, 자생초화류를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산꼬리풀[Veronica rotunda var. subintegra (Nakai) T.Yamaz.]은 국내 특산식물로서 산지의 초원에서 자생하고, 쪽빛을 내는 화기는 청아한 느낌을 주어 관화식물로서 이용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는 산꼬리풀의 분화 재배기술을 확립하고자 2018년 7월 2일부터 10월 15일까지 수행하였다. 대조구는 플라스틱 화분 10호에 원예상토를 충진한 다음 200구에 셀당 4립 파종하여 생산된 유묘를 정식하였다. 실험은 식재용기(플라스틱 8, 10, 12호 화분, 비닐포트 3, 4치), 토양종류[원예상토 단용, 중화 피트모스:펄라이트(3:1, 4:1), 마사토:중화 피트모스(2:1, 3:1)], 묘의 소질[파종립수(1, 2, 4, 6립), 파종용기(162, 200, 288구 트레이)] 등이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식재용기에 따른 생육은 플라스틱 화분 12호에서 왕성하였고, 포트의 용적량이 클수록 경직경, 측지수, 마디수, 엽수, 개화율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토양종류에 따른 생육은 원예상토에서 가장 왕성하였고, 측지수, 경직경, 마디수, 엽수 및 개화율이 모두 우수하여 관상용 재배에 적합하였다. 피트모스 혼용토는 생육이 억제되는 동시에 잎이 황화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마사토 혼용토의 경우, 생육이 억제되는 결과를 보였다. 셀당 파종량을 달리한 유묘를 정식하여 재배한 결과, 초장, 절간장은 파종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포트당 마디수와 엽수는 증가하였으나, 1립 파종묘를 제외하고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개화율은 4립 파종묘(44.4%)가 1, 2, 6립 파종묘(20.8~25.0%)보다 높았다. 육묘용기별 생육은 초기생육이 우수하였던 162구 생산묘가 정식 후 재배에도 왕성한 생육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산꼬리풀의 최적의 분화재배를 위해 플라스틱 화분 12호에 원예상토를 충진한 다음 162구 트레이에 포트당 엽수와 개화율이 높은 4립 파종하여 생산된 유묘를 정식하여 재배하는 것이 우수할 것으로 판단된다. 경제적 측면을 고려하여 토양은 비교적 생육이 양호하였던 마사토의 활용방안을 검토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Studies on the Vegetation around the Industrial Complexes (사대공단(四大工團) 주변(周邊)의 식생(植生)에 대(對)한 연구(硏究))

  • Kim, Tae Wook;Kim, Su 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57 no.1
    • /
    • pp.8-13
    • /
    • 1982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during the period July 18-August 11, 1981, at the four industrial complexes(Pohang, Ulsan, Onsan, and Yeochon) using the naked eye method. The study included the survey of plant species growing within a 2km from the area of pollution source, selection of plants tolerant to air pollution and effects of pollution on their growth.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Vascular plants surveyed as to industrial complexes consist of 90 families, 6 subfamilies, 213 genera and 290 species. Major plant families and species for each area are as follows: 1) Pohang area: 54 families, 102 genera and 126 species Leguminosae(16) Graminae(11), Compositae(9) Rosaceae(9) 2) Ulsan area: 61 families, 131 genera, and 158 species Compositae(17) Gramineae(16) Leguminosae(15) Rosaceae(9) Polygonaceae(9) Solanaceae(6) 3) Onsan area: 46 families, 98 genera, and 158 species Compositae(12) Gramineae(12) Leguminosae(12) Rosaceae(6) Polygonaceae(6) 4) Yeochon: 71 families, 150 genera, and 188 species Rosaceae(15) Leguminosae(15) Compositae(14) Graminese(14) Polygonaceae(8) Salicaceae(6) 2. Table 1 shows tolerant plants to air pollution in this study. 3. The following plants may be recommended as planting species at the industrial complex area. Leguminosae: Amorpha fruticosa L. Lespedeza bicolor Turcz. Lespedeza maximowiczii Schneider Robinia pseudoacacia L. Sophora japonica L. Fagaceae: Quercus acutissima Carr. Quercus serrata Thunb. Quercus variabilis Bl. Salicaceae: Populus tomentiglandulosa T. Lee Salix Pseudo-lasiogyne Leveille Oleaceae: Ligustrum japonicum Thunb. Ligustrum obtusifolumn S. et Z. Betulaceae: Alnus hirsuta (Space) Ruprecht Celastraceae: Euonymus japonicus thunb. Cparifolicceae: Viburnum awabucki K. Koch. Pinaceae: Cedrus deodara Loundon.

  • PDF

Flora of crop lands in Ulleungdo Island (울릉도 농경지의 식물상)

  • Kim, Myung-Hyun;Hong, Sun-Hee;Lee, Yong-Ho;Kim, Min-Kyeong;Choi, Soon-Kun;Eo, Jinu;Yeob, So-Jin;Bang, Jeong Hwan;Oh, Young-Ju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39 no.2
    • /
    • pp.245-257
    • /
    • 2021
  • Ulleungdo, a volcanic island, has different climate, soil, and topography characteristics from inland of the Korean Peninsula. Its agriculture also exhibits distinctive features. This study focused on floristic compos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crop lands in Ulleungdo. Flora surveys were conducted for 37 areas three times, one in May of 2016, one in July of 2020, and one in August of 2020. Results showed that vascular plants of crop lands in Ulleungdo included 186 taxa of 53 families, 132 genera, 160 species, 14 varieties, five subspecies, and five hybrids. Asteraceae had the most diverse species (33 taxa), followed by Poaceae (25 taxa), Fabaceae (12 taxa), Polygonaceae (11 taxa), and Liliaceae (nine taxa). The biological type of crop lands in Ulleungdo island was determined to be Th-R5-D4-e type. Rare plants were found for nine taxa: Athyrium acutipinnulum Kodama ex Nakai, Sedum takasimense Nakai, Rubus takesimensis Nakai, Dystaenia takesimana (Nakai) Kitag., Ligustrum foliosum Nakai, Aster pseudoglehni Y.Lim, Cirsium nipponicum (Maxim.) Makino, Lilium hansonii Leichtlin ex D.D.T.Moore, and Polygonatum robustum (Korsh.) Nakai. In addition, 45 taxa contained naturalized plants of 13 families, 33 genera, 44 species, and one variety. Urbanization and naturalization indices were 13.9%, and 24.2%, respectively.

Distribution and Management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Eastern Area of Jeollanamdo, Korea (전라남도 동부지역의 귀화식물 분포 및 관리방안)

  • Park, Moon-Su;Lim, Dong-Ok;Kim, Ha-Song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24 no.5
    • /
    • pp.489-498
    • /
    • 201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status and urbanization index of the naturalized plants. For this purpose, 7 cities and counties in the eastern area of Jeollanamdo were selected and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on a total of 14 sites, during the period of March 2006 to November 2008. The naturalized plants were identified as 123; 22 families, 75 genera, 118 species, and 5 varieties. As for the urbanization index, Suncheon city had the highest level of urbanization (33.45%) and Gurye county the lowest level of urbanization (20.21%). Classification families were as follows: Compositae 40 kinds (30.1%) Gramineae 17 kinds (12.8%) and Leguminosae 14 kinds (10.5%). Major communities of naturalized plants consisted of 20 communities including Erigeron annuus community, Erigeron canadensis community, Alnus firma community, Amorpha fruticosa community, Oenothera odorata community, Bidens frondosa community, Coreopsis tinctoria community,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community etc. Invasive naturalized plants consisted of 5 taxa: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Ambrosia trifida, Eupatorium rugosum, 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 and Paspalum distichum. The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naturalized plants were divided on the basis of six areas associated with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a habitat.

용담댐 건설로 인한 금강 상류의 하천환경변화 분석 III - 생태변화분석 -

  • 이승현;정동양;정승권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977-981
    • /
    • 2004
  • 댐 건설로 인한 인위적인 당류량 조절은 댐 하류지역에서 홍수 피해저감에 기여하고 있지만, 자연적인 유출 리듬이 파괴되며 유속, 수심, 건조지 확대와 같은 수량의 변동과 용존산소량, 영양염류, pH 같은 수질 변화, 그리고 하천 형태의 변화를 가져오게 된다. 하천에서의 생물 서식공간은 산림 등 육지 지역과는 단리 무엇보다 하천의 유체역학적인 영향을 받아 형성되고 발달한다. 인위적인 댐 방류량은 하류지역의 건조 면적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하천 형태가 변화하는 결과를 가져오고, 댐 건설로 인하여 자연적인 홍수 유출이 급감하게 되면 건조면적이 확산되어 수변식물과 어류의 서식처 환경 변화를 유발하여 기존의 생태 균형이 파괴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댐 건설로 발생되는 피해를 분석한 연구들을 분석해 보면, 수량 및 수질 변화에 대하여는 많이 제시하고 있지만 생태변화에서는 정량적인 피해를 제시한 연구가 없기 때문에 용담댐 건설로 인한 하류구간의 수변식물과 어류를 대상으로 정량적인 피해를 분석하는 것이 매우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용담댐 건설로 인한 인위적인 유출량 감소가 댐 하류 8km 구간에서 수변식물과 어류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용담댐 기점 약 5km지점(조사지점 I)인 전북 진안군용담댐 감동리 주변지역에서 수변식물과 어류 군집에 내하여 2003년 5월부터 7월까지 3회 조사하였고, 추가로 약 1km지점(조사지점II)인 전북 진안군 용담면 월계리 주변지역에서 수변식물을 중심으로 2003년 9월에서 10월까지 2회 조사하였다. 수변식물은 조사지점(I)인 5km지점에서는 전체적으로 13과 21종으로, 벼과가 4종, 국화과가, 3종, 버드나무과, 콩과, 마디풀과가 2종씩, 바늘꽃과, 속새과, 십자화과, 장미과, 사초과, 삼과, 현삼과, 닭의장풀과가 각 1종씩 조사되었으며, 조사지점(II)인 1km지점에서는 15과 26종으로, 벼과가 4종, 마디풀과, 국화과가 3종, 버드나무과, 십자화과, 콩과가 2종씩, 바늘꽃과, 속새과, 자라풀과, 장미과, 사초과, 백합과, 현삼과, 골풀과, 닭의장풀과가 각 1종씩으로, 조사지점( I )보다 좀 더 많은 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어류는 조사지점( I )에서 3회에 걸쳐 총 396개체가 채집되어 3목 8과 21종이었다. 이 중 한국 고유종은 11종이었고, 외래 어종은 검정우럭과 2종이 조사되었으며, Zacco platypus(피라미), Zacco temmincki(갈겨니), Acheilongnathus koreanus(칼납자루), Odontobutis platycephala(동사리), Coreoleuciscus splendidus(쉬리) 순으로 분포하고 있었고, Acheilognathus signifer(묵납자루)는 댐 건설 전에는 많이 분포하였으나 현장조사에서 서식을 확인 할 수 언어 개체수의 큰 감소내지 멸종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Genetic Variations and Relationships of Persicaria thunbergii(Sieb. & Zucc.) H. Gross ex Nakai(Polygonaceae) by the RAPD Analysis (RAPD 분석에 의한 고마리(마디풀과)의 유전적 변이 및 유연관계)

  • Kim, Yong-Hyun;Tae, Kyoung-Hwan;Kim, Joo-Hwan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21 no.1
    • /
    • pp.66-72
    • /
    • 2008
  • RAPD analyses were performed from twenty-four populations of Persicaria thunbergii(Sieb. & Zucc.) H. Gross ex Nakai. The length of amplified DNA fragments ranged from 200 to 1,900bp. 184 scorable RAPD markers were found from PCR reactions with sixteen random oligoprimers. Based on the results, populations of Persicaria thunbergii were classified into disturbance streams of urban and rural streams as well as natural streams. And the populations from natural streams showed having higher genetic similarites than those from highly disturbed streams, Also, the heterogenetic differences between the populations from natural and disturbed areas could be represented the results of the stream environmental chan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