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마더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4초

(n,n-1) 길쌈부호에 대한 (2,1) 마더부호의 존재 (On the Existence of the (2,1) Mother Code of (n,n-1) Convolutional Code)

  • 장환석;정하봉;성진우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9A권4호
    • /
    • pp.165-171
    • /
    • 2014
  • 모든 채널부호는 다양한 방법에 따라 부호율의 조절이 가능하다. 부호율을 높이는 방법들 중 하나가 천공이며, 이 때, 천공에 사용되는 채널부호를 마더부호라 부른다. 임의의 (n,k) 길쌈부호는 항상 어떤 마더부호를 천공함으로써 만들 수 있을 것이고, 이때 천공패턴에 따른 마더부호를 구하는 과정은 최적의 복호화기를 설계하는데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주어진 천공패턴에서 (2,1) 길쌈부호가 (n,n-1) 길쌈부호의 마더부호이기 위한 조건과 마더부호로 가능한 길쌈부호들 사이의 동등 관계에 대하여 살펴본다.

FPD용 공기부상 이송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Air-floating Conveyor System for FPD)

  • 이욱진;김화일;노태정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40-42
    • /
    • 2008
  • FPD용 마더글라스의 크기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새로운 이송방식이 요구되어 유로망 해석을 통해 마더글라스의 무게에 맞는 양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공기부상 이송시스템을 구성한다. 또한 마더글라스의 처짐량을 계산하여 최적화 된 FPD공기부상 이송시스템을 설계한다.

  • PDF

임의의 생성다항식 행렬을 갖는 길쌈부호도 (n, 1) 마더부호의 천공으로 생성 가능한가? (Sufficient Conditions for the Existence of an (n, 1) Mother Code and Its Puncturing Pattern to Generating a Given Convolutional Code)

  • 정하봉;성진우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1권4호
    • /
    • pp.379-386
    • /
    • 2016
  • 천공이란 길쌈부호의 부호율을 증가시키는데 쓰이는 가장 보편적인 방법이며, 이때 천공하기 전의 길쌈부호를 마더부호라고 한다. 본 논문에서는 임의의 (N, K) 길쌈부호를 특정 (n, 1) 마더부호를 천공함으로써 만들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동일한 부호어 집합을 갖는 두 개의 길쌈부호를 서로 동등(equivalent)하다고 할 때, 주어진 (N, K) 길쌈부호가(n, 1) 마더부호를 천공하여 얻은 천공된 길쌈부호와 동등하기 위한 두 개의 충분조건을 소개한다.

봉준호 영화에 나타난 컨벤션 변형 연구 -영화 "마더"를 중심으로- (Study on Convention Transformation Appeared in Bong Joon-ho's Movie -Mainly with the movie "mother"-)

  • 김성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141-152
    • /
    • 2015
  • 장르영화를 들여다보면 우리는 영화 속에서 거의 비슷한 형태들이 반복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한 동일한 요소들은 커다란 이야기의 덩어리에서부터 아주 작은 카메라 앵글에 이르기까지 크게 세 단위로 나뉜다. 그것은 포뮬라(Formula), 컨벤션(Convention), 아이코노그래피(Iconography)로 설명할 수 있다. 이 가운데 컨벤션은 관습이라는 뜻으로 하나의 이야기에서 두 번째의 크기로 나뉘어 질수 있는 구조 혹은 사건을 말한다. 컨벤션은 개별 장르 속에서 영상화 된 사건이며. 이 사건을 통하여 감독은 관객을 조율한다. 익숙한 이야기를 끌어가다가도 어느 순간에 익숙한 장면을 변형시켜 새로운 이야기로 만들어 낸다. 영화적 관습은 영화사 초기부터 확립되어 온 산물로, 관객과 감독의 소통을 돕는다. 반복적인 영화 관람행위를 통해 관객은 영화적 관습을 익히고, 감독은 그것을 활용하여 관객에게 친숙함을 제공한다. 봉준호 감독은 전통적인 컨벤션을 통하여 관객을 조율함과 동시에 컨벤션의 변형을 통하여 새로운 예술작품을 창조한다. 그의 작품< 마더>를 통하여 전통적인 컨벤션과 변형을 어떻게 사용하여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어 작품에 임했는지를 연구한다.

내러티브 도구로써의 색채 활용 연구 -영국 영화 <더 마더 The mother>를 중심으로- (A study on Color-application as a Narrative Tool -Focusing on -)

  • 유수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117-127
    • /
    • 2015
  • 영화에서 사용된 색채는 캐릭터가 미처 대사를 통해 다 전달할 수 없는 내면의 깊은 감정과 심리 상태를 언어적 형식보다 더욱 세밀하고 직접적으로 표현해주기도 하고 혹은 캐릭터간의 관계나 감정 상태를 고스란히 드러내 주어 관객들로 하여금 영화 속에 더욱 몰입되어 동질감을 가질 수 있게 도와주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필자가 캐릭터를 드러내는 내러티브 도구로써의 색채 활용 연구를 위해 선택한 영화는 2003년 영국 영화 <더 마더 the mother>이다. 이 영화를 선택한 이유는 이 영화가 가지는 다소 빈약한 내러티브적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을 비주얼적인 색채와 이미지적 도상 활용으로 관객들에게 충분하게 이미지텔링 imagetelling하고 있기 때문이고, 이 이미지텔링은 백 마디의 언어적 전달 보다 한 번의 시지각적인 자극이 영화에서 더욱 중요하고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전달해주고 있기 때문이다.

이산 웨이브렛변환에 의한 부분방전패턴 분석 (The Analysis of Partial Discharges Pattern using Discrete Wavelet Transform)

  • 이현동;이광식;이동인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84-89
    • /
    • 2001
  • 본 논문은 다중 해상도 웨이브렛 변환을 이용하여 코로나 방전과 코로나방전 후 연면방전을 거치는 다중결함에 대한 방전전류펄스의 변화량을 시간 대역과 주파수 대역에서의 변화량을 분석하였다. 마더웨이브렛의 선정은 방전전류펄스의 형태를 고려하여 Daubechies 마더웨이브렛을 선정하였으며, 방전전류펄스는 이산 웨이브렛 변환을 이용하여 근사신호와 상세신호로 4단계까지 다중분해되었다. 이중 상세신호만을 이용하여 12개의 세그먼트로 나눈후 설정한 변수에 따라 그 패턴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코로나 방전에서는 설정된 변수의 세그먼트 7, 8, 9, 10의 값이 방전의 진전에 따라 증가하였으므로 위상분포를 $210~330[^{\circ}]$분포를 특징지울 수 있고, 에폭시 절연체를 삽입한 다중결함에서는 연면방전의 특징에 기인하여 설정된 변수의 값이 대칭적인 패턴을 나타내었다.

  • PDF

발전기 고장판별을 위한 적당한 웨이브릿 선정 (Selection of a Suitable Mother Wavelet for Generator Fault Discrimination)

  • 박철원;신광철;신명철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력기술부문
    • /
    • pp.403-405
    • /
    • 2008
  • 전통적인 FT(Fourier Transform)의 대안으로 scale과 shift에 의한 WT(Wavelet Transform)이 제안되어, 전력계통의 각 분야에 적당한 Mother Wavelet 선택에 대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본 논문은 발전기 고정자 사고의 경우 고장판별을 위하여 적당한 마더 웨이브릿을 선정할 수 있는 알고리즘에 관한 것이다. ATP 시뮬레이션으로부터 수집한 전류데이터를 이용하여 제안된 적당한 선정기법의 유효성을 증명하였다.

  • PDF

영화 <박쥐>, <마더>의 색채 이미지 연구 - 의상과 배경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lor Images of the Films "Thirst" and "Mother" - With a Focus on Costumes and Background -)

  • 양정희;박혜원
    • 패션비즈니스
    • /
    • 제15권5호
    • /
    • pp.144-160
    • /
    • 2011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lors of the costumes and backgrounds of characters in the films "Thirst" and "Mother"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As a study method, ten scenes per film, which contained the characters and backgrounds from the start to the end of the DVDs of "Thirst" and "Mother" were examined. For integrated color analysis of the costumes and backgrounds, the colors of the captured scenes were simplified to extract representative colors, and then color palettes were presented according to the ratio of area. The colors of costumes were analyzed by recognition through the eyes based on the I.R.I. Hue and Tone 120. Furthermore, the color images of the two films were analyzed using the I.R.I. adjective image scales and the I.R.I. color image scales. The colors of the film "Thirst" were generally low in brightness and high in chroma. They are characterized by dark, gloomy toned-down background in the first half, highly chromatic vivid background in the second half, and the contrast of purple blue colors and red colors. The colors of the film "Mother" are characterized by complementary colors between background and costume colors, and various tones of blue and green colors. From the aspect of color tones, they were relatively high in brightness compared to the film "Thirst" but low in chroma. On the I.R.I. adjective image scale, contrasting adjectives were extracted simultaneously from the film "Thirst" as the adjectives were evenly distributed at hard, dynamic and static, whereas the adjectives extracted from the film "Mother" were distributed at hard and statistic. On the I.R.I. color image scale, both films were located at hard, but the film "Thirst" was located at dynamic whereas the film "Mother" was located at static.

반도체공장의 글로벌 전개

  • 대한전기협회
    • 전기저널
    • /
    • 통권259호
    • /
    • pp.70-77
    • /
    • 1998
  • 미쓰비시전기는 제3세대 16비트 D램을 비롯한 0.4$\mu$m이하의 디자인룰을 갖는 ULSI를 대상으로, 직경 200mm웨이퍼 프로세스기술을 포함한 제조기술을 개발하여, 일본 국내, 대만, 독일에 양산공장을 전개하였다. 생산성이 우수한 디바이스/프로세스기술을 기반으로 저비용의 청정실 건설, 급수 등을 포함한 동력설비, 공장 자동화(FA), 컴퓨터제어식 제조공정(CIM), 북이단지구에있는 미쓰비시전기의 반도ㅔ개발거점과 각 공장간을 맺는 정보네트워크, 나아가 제조장치에 대한 철저한 저발진화와 결함관리를 위해 동사의 기술을 결집하여 생산성이 매우 높은 반도체양산공장을 글로벌하게 전개하였다. 우선 태본공장 최첨단 반도체라인(KD동)을 아주 짧은 기간에 가동시키는 소위 ''수직기동''을 실현하였다. 다음에 태본공장 KD동을 ''마더(Mother)공장''으로 하여 그대로 기술이전하는 ''Copy Exactly''라는 방법으로 이들 기술을 세계적으로 전개한 결과 대만에 있는 합병회사인 PS(Powerchip Semiconductor corporation)와 독일에 있는 생산회사 MSE(Mitsubishi Semiconducter Europe, GmbH)에서도 최첨단 반도체공장의 수직기동에 성공하였다. 이 공장은 0.25$\mu$m이후의 제품에도 대응가능하며 태본공장 KD동은 64M비트 D램으로 제품을 전환해가고 있다. 그렇게 하여 이들 공장과 개발거점을 네트워크호하여 다국적 기업에 걸맞는 세계적인 ULSI의 양산체제를 구축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