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링크 통행시간

Search Result 135, Processing Time 0.02 seconds

Distribution Characteristic Analysis for Link Travel Time Using GPS Data (GPS 수집자료를 이용한 링크통행시간 분포 특성 분석)

  • Lee, Young-Woo;Lim, Chae-Mo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2 no.5
    • /
    • pp.7-17
    • /
    • 2004
  • 지금까지의 링크통행시간에 대한 연구는 개별 차량의 평균을 통한 평균링크통행시간 산정 및 추정의 제한적인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링크통행시간은 교통조건, 신호운영조건, 도로조건 등 다양한 영향인자로 인해 통행시간 분포가 구분되는 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링크통행시간 특성을 좀 더 미시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GPS를 이용한 실시간 교통자료 수집의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GPS를 이용한 RTK 측량을 이용한 실시간 자료수집을 통하여 링크통행시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신호운영에 의한 영향으로 인한 링크통행시간 분포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링크통행시간에 대한 현장조사를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 현장조사 결과분석을 통해 통행시간 분포특성 및 원인을 분석하고 프로그램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보다 다양한 조건을 부여하여 링크통행시간분포비율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에 대한 검토하고 통행시간 분포비율을 추정할 수 있는 모형을 구축하였다. GPS 실험차량을 이용한 주행실험결과를 분석한 결과 순행시간으로만 이루어지는 링크통행시간과 적색시간 동안 대기하였다가 링크구간을 통과하여 순행시간에 신호 대기시간을 더한 링크통행시간으로 통행시간이 구분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따라서, 링크통행시간에 대한 분석은 통행시간을 하나의 평균통행시간으로 인식하는 것보다 두 개의 구분된 통행시간을 동시에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링크통행시간 분포특성에 대한 연구결과 또한, 통행시간이 양분되어 분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링크통행시간의 경우 평균통행시간에 의한 결과보다 신호지체가 발생하지 않는 통행시간과 신호지체가 발생하는 통행시간으로 구분하는 것이 교통상황을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나타났다.

Link Travel Time Derivation Using GPS & GIS (GPS와 GIS를 이용한 링크통행시간 예측기법)

  • 최기주;신치현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6 no.2
    • /
    • pp.197-207
    • /
    • 1998
  • 지능형교통체계(ITS)환경 하에서 요구되는 정보서비스의 기본적인 형태는 통행속도, 지체정도, 통행시간등으로 대별 되어질 수 있다. 그 중 통행시간의 기본적 요소로서 링크통행시간을 산출하기 위한 제반 기법을 소개하였고, 특히 GPS를 이용한 링크통행시간 산정기법을 본 고에서는 제시하였다. 현재 GPS를 장착한 차량이 고유의 목적 (예를 들면, 위치파악 및 배차등의 목적으로)을 위해서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인 만큼 (개인택시조합등) 이러한 자원을 부수적으로 이용할 수 없는지에 대한 활용방안의 여부가 논문을 작성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를 위해서 본 고에서는 구체적으로 GPS 원시테이터, 수치도로지도 (GIS포함) 및 무선데이터망을 이용하여 링크 통행시간을 산출하는 기법이 이를 위해서 본 고에서는 구체적으로 제시되었으며, 이들을 통한 교통정보의 수집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중간 결과로서 실제 가로주행조사를 통해서 얻어진 링크통행시간과 본 연구에서 게시된 GPS를 통해 얻어진 링크통행시간과 비교해 보면 오창의 범위가 10%내외로서 판명되어 그나마 동적교통정보 수집조건이 열악한 우리실정에 큰 자원이 될 수 있다는 확신을 얻을 수 ? 있었다. 한편, 본 연구에서 수행되지 못하였으나 추가연구로서 반드시 수행되었으면 하는 몇가지의 항목이 결론부에 함께 제시되었다.

  • PDF

Investigating Optimal Aggregation Interval Size of Loop Detector Data for Travel Time Estimation and Predicition (통행시간 추정 및 예측을 위한 루프검지기 자료의 최적 집계간격 결정)

  • Yoo, So-Young;Rho, Jeong-Hyun;Park, Dong-J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2 no.6
    • /
    • pp.109-120
    • /
    • 2004
  • Since the late of 1990, there have been number of studies on the required number of probe vehicles and/or optimal aggregation interval sizes for travel time estimation and forecasting. However, in general one to five minutes are used as aggregation intervals for the travel time estimation intervals for the travel time estimation and/or forecasting of loop detector system without a reasonable valida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op models for identifying optimal aggregation interval sizes of loop detector data for travel time estimation and prediction. This study developed Cross Valiated Mean Square Error (CVMSE) model for the link and route travel time forecasting, The developed models were applied to the loop detector data of Kyeongbu expressway. It was found that the optimal aggregation sizes for the travel time estimation and forecasting are three to five minutes and ten to twenty minutes, respectively.

A Model Development of Prove Cars for Travel Time Data Collection (교통정보 수집을 위한 프로브차량대수 모형 개발)

  • 고승영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0 no.4
    • /
    • pp.177-185
    • /
    • 2002
  • 본 논문의 목적은 링크통행시간 자료를 수집하는 시스템에서 소요 프로브차량대수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규명하고. 최적의 소요 프로브차량대수를 결정하는 모형을 개발하는데 있다. 자가용승용차, 택시, 버스, 택배차량 등 여러 종류의 차량들이 프로브차량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일정한 정확도 이상의 교통정보를 수집하기 위해서 얼마나 많은 프로브차량이 필요한지에 대한 연구는 그다지 깊이 있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적정 소요 프로브차량대수는 링크통행시간 자료수집 기술 수집대상 링크의 공간적 범위, 프로브차량의 종류 및 운행 특성, 자료수집 시스템의 신뢰도, 수집되는 자료의 정확도 등에 영향을 받게 된다. 소요 프로브차량대수를 결정하는 링크당 평균 통행시간 자료수, 프로브차량 밀도의 최소 확률, 그리고 자료 미수집링크의 허용비율의 3가지 결정기준이 정의되었다. 또한 이러한 결정기준에 대해 소요 프로브차량대수를 산출하는 모형이 개발되었다. 일반적으로 주기당, 링크당 평균 필요 통행시간 자료수$(d_R)$, 단위길이당 프로브차량의 대수 또는 밀도$(n_{min} or {\alpha})$, 일정 프로브차량밀도 이상의 확률($\beta$), 그리고 자료 미수집링크의 비율($\gamma$)이 클수록 소요 프로브차량대수는 증가한다. 민간 교통정보회사의 통행시간 수집시스템에서 소요 프로브차량대수를 산정하는 사례연구가 수행되었으며, 여러가지 조건에서 소요 프로브차량대수가 산출되었다.

Establish for Link Travel Time Distribution Estimation Model Using Fuzzy (퍼지추론을 이용한 링크통행시간 분포비율 추정모형 구축)

  • Lee, Young Wo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6 no.2D
    • /
    • pp.233-239
    • /
    • 2006
  • Most research for until at now link travel time were research for mean link travel time calculate or estimate which uses the average of the individual vehicle. however, the link travel time distribution is divided caused by with the impact factor which is various traffic condition, signal operation condition and the road conditional etc. preceding study result for link travel time distribution characteristic showed that the patterns of going through traffic were divided up to 2 in the link travel times. therefore, it will be more accurate to divide up the link travel time into the one involving delay and the other without delay, rather than using the average link travel time in terms of assessing the traffic situation. this study is it analyzed transit hour distribution characteristic and a cause using examine to the variables which give an effect at link travel time distribute using simulation program and determinate link travel time distribute ratio estimation model. to assess the distribution of the link travel times, this research develops the regression model and the fuzzy model. the variables that have high level of correlations in both estimation models are the rest time of green ball and the delay vehicles. these variables were used to construct the methods in the estimation models. The comparison of the two estimation models-fuzzy and regression model- showed that fuzzy model out-competed the regression model in terms of reliability and applicability.

Development of Path Travel Time Distribution Estimation Algorism (경로통행시간 분포비율 추정 알고리즘 개발)

  • Lee, Young-W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3 no.6 s.84
    • /
    • pp.19-30
    • /
    • 2005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keep track of path travel time using methods of collecting traffic data. Users of traffic information are looking for extensive information on path travel time, which is referred to as the time taken for traveling from the origin to the destination. However, all the information available is the average path travel times, which is a simple sum of the average link travel times. The average path travel time services are not up to the expectation of traffic information consumers. To improve provide more accurate path travel time services, this research makes a number of different estimates of various path travel times on one path, assuming it will be under the same condition, and provides a range of estimates with their probabilities to the consumers, who are looking for detailed information. To estimate the distribution of the path travel times as a combination of link travel times. this research analyzes the relation between the link travel time and path travel time. Based on the result of the estimation. this research develops the algorithm that combines the distribution of link travel time and estimates the path travel time based on the link travel times. This algorithm was tested and proven to be highly reliable for estimating the path traffic time.

Determining Optimal Aggregation Interval Size for Travel Time Estimation and Forecasting with Statistical Models (통행시간 산정 및 예측을 위한 최적 집계시간간격 결정에 관한 연구)

  • Park, Dong-J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8 no.3
    • /
    • pp.55-76
    • /
    • 2000
  • We propose a general solution methodology for identifying the optimal aggregation interval sizes as a function of the traffic dynamics and frequency of observations for four cases : i) link travel time estimation, ii) corridor/route travel time estimation, iii) link travel time forecasting. and iv) corridor/route travel time forecasting. We first develop statistical models which define Mean Square Error (MSE) for four different cases and interpret the models from a traffic flow perspective. The emphasis is on i) the tradeoff between the Precision and bias, 2) the difference between estimation and forecasting, and 3) the implicat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links on the corridor/route travel time estimation and forecasting, We then demonstrate the Proposed models to the real-world travel time data from Houston, Texas which were collected as Part of the Automatic Vehicle Identification (AVI) system of the Houston Transtar system. The best aggregation interval sizes for the link travel time estimation and forecasting were different and the function of the traffic dynamics. For the best aggregation interval sizes for the corridor/route travel time estimation and forecasting, the covariance between links had an important effect.

  • PDF

Optimal Link Length Design for Departure Time-based Link Travel Time Information (출발시각기준 링크통행시간 정보의 공간적 설계 (연속류를 중심으로))

  • Kim, Jae-Jin;No, Jeong-Hyeon;NamGung, Seong;Park, Dong-Ju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5 no.2 s.95
    • /
    • pp.145-155
    • /
    • 2007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ye to develop an on-line departure time-based travel time estimation method and to determine an optimal link length for the estimation. This study developed a link-based rolling horizon logic as the travel time estimation method. In order to determine an optimal link length, the information error of the travel time provision from the user's perspective was defined and employed as a selection criterion. It was found that, when the travel time aggregation size was set as five minutes, a link length of four kilometers gave the most accurate result.

포준지체식 파라메터 조정을 통한 동적 통행배정모형에서 링크성능함수의 최적화에 관한 연구

  • 김욱경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a
    • /
    • pp.41-41
    • /
    • 1998
  • ITS틀 내의 한 분야인 도로교통정보체계 (ATIS: Advanced Traveler Information system)는 실시간 교통정보를 운전자에게 직접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매 순간마다 가로망에 배정되는 교통량 및 통행시간을 예측할 수 있는 범용의 동적 통행배정모형(dynamic route choice model)의 개발이 필히 수반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ITS사업에서 필수적으로 수반되어야 할 최적 제어이론에 의한 동적 통행 배정모형을 ATIS의 핵심 소프트웨어로 응용하기 위해 기존 연구성과를 발판으로, 순간 동적 통행 배정모형(Ran, Boyce &LeBlanc, 1993)의 통행제약조건인 링크통행함수, 특히, 과부하 시 엘켈릭의 일반식의 파라메터를 조정, 적용하여, 서울시 강남지역의 실제 가로망의 사례연구를 통해 지체식의 각각의 파라메터에 따른 결과를 O/D에 따른 통행시간, 링크통행시간, 혼잡도를 중심으로 비교 평가하여, ATIS의 핵심 소프트웨어로서 순간 동적 통행배정을 통해 보다 현실여건을 잘 반영할 수 있는 링크 통행 성능 함수를 도출하였다.

  • PDF

A Travel Time Estimation Algorithm using Transit GPS Probe Data (Transit GPS Data를 이용한 링크통행시간 추정 알고리즘 개발)

  • Choi, Keechoo;Hong, Won-Pyo;Choi, Yoon-Hyu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6 no.5D
    • /
    • pp.739-746
    • /
    • 2006
  • The bus probe-based link travel times were more readily available due to bus' fixed route schedule and it was different from that of taxi-based one in its value for the same link. At the same time, the bus-based one showed less accurate information than the taxi-based link travel time, in terms of reliability expressed by 1-RMSE(%) measur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velop a heuristic algorithm for mixing both sources-based link travel times. The algorithm used both real-time and historical profile travel times. Real-time source used 4 consecutive periods' average and historical source used average value of link travel time for various congestion levels. The algorithm was evaluated for Seoul urban arterial network 3 corridors and 20 links. The results based on the developed algorithm were superior than the mere fusion based link travel times and the reliability amounted up to 71.45%. Some limitation and future research agenda have also been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