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림프구 증식 반응

Search Result 31,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Increased Allergen-specific IgE Values and Lymphocyte Proliferation Response to House Dust Mites in Dogs with Atopic Dermatitis (개의 아토피성 피부염에 대한 집먼지 진드기 항원 특이적 IgE와 림프구 증식 반응의 증가)

  • Park, Seong-jun
    • Journal of Veterinary Clinics
    • /
    • v.21 no.2
    • /
    • pp.93-96
    • /
    • 2004
  • We examined the responses of PBMCs to house dust mite (HDM) allergen in atopic and healthy, non-atopic dogs to identify differences in lymphocyte reactivity that might reflect the immunologic status of atopic dermatitis. Thirteen of 20 (65%) atopic dogs showed a positive lymphocyte proliferative response to HDM allergen. The rate of respons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topic dogs than that in healthy, non-atopic dogs insensitive to the allergen (P = 0.007). The proliferative respons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level of HDM-specific IgE in serum (P = 0.035), and were thereby confirmed to reflect the activity of lymphocytes competent to promote IgE produ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HDM-specific lymphocytes were present in peripheral blood and played a role in the pathogenesis of canine atopic dermatitis.

Effect of Betaine on Immune Response in Laying Hens (비태인이 산란계의 면역 반응에 미치는 영향)

  • Park, J.H.;Ryu, K.S.
    • Korean Journal of Poultry Science
    • /
    • v.34 no.1
    • /
    • pp.31-36
    • /
    • 2007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betaine on immune response in laying hens. A total of 72 ISA-brown laying hen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of 18 hens each and fed corn-soybean meal based diets with addition of 0, 300, 600 and 1,200 ppm betaine for four weeks. The effect of betaine on splenocyte proliferations with mitogens, concanavalin A(Con A) and pokeweed mitogen(PWM), were assayed after incubation using [3H] thymidine uptake. Proliferations of splenocyt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activation of mitogen Con A or PWM. Mitogen effects of Con A were increased by Con A plus betaine injection(0.1 mM), whereas PWM effects did not affect in PWM plus betaine injection(0.1 mM) in vitro. Splenocyte of laying hens fed betaine tended to proliferate in the presence of PWM, but appeared to be slightly suppressed in the presence of Con A in vivo. Proliferation of splenocytes which were stimulated by Con A or Con A+betaine injection(0.1 mM) were increased in dietary 600 ppm betaine, but inhibited in dietary 1,200 ppm betaine supplementation. Spleen weights and sheep red blood cell(SRBC) titers of hens fed betaine tended to increase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bu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betaine could increase splenocyte proliferation in vitro.

Blastogenesis of splenic Iymphocytes to specific antigens and PHA in Paragonianus westermani infected mice (폐흡충 항원 및 Phytohemagglutinin에 의한 마우스 비장 림프구의 아세포화(Blastogenesis)반응)

  • Min, Duk-Young;Shin, Myeong-Heon;Choi, Ryung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v.30 no.1
    • /
    • pp.43-48
    • /
    • 1992
  • Paragonimus westermani is a common fluke in Uorea. The present study aimed to observe the cell mediated immune response in experimental paragonimiasis of mice. The mouse (BALB/c) was orally inoculated with 40 metacercariae of P. westermani from Cambaroides similis. During the infection (1, 2, 4, 6 weeks) of mouse, blastogenic response of splenic Iymphocytes to P. westermani adult antigen, metacercaria antigen, and PHA were observed. Sera from infected and noninfected mice added to normal mouse splenic Lymphocytes with or without PHA. The blastogenic response of splenic Lymphocytes to PHA was reduced after 1 week of infection. However after 6 weeks of infection, the response was restored to the control level. The blastogenic response of splenic Iymphocytes to P. westermani adult or metacercaria antigen increased significantly on 1 week after infection, and maintained up to 6 weeks after infection. The response of non-infected mice was suppressed by addition of the infected mouse serum. The present results suggested that cellular immunity was involved in P. westermani infected mice and that P. westermani anti.serum inhibited proliferation of T Iymphocytes.

  • PDF

Autocrine Growth of Bovine Leukemia Virus Infected-Lymphoblastoid B-Cell Line, BL2M3 (우백혈병 바이러스감염 림프아구양 B 세포주(BL2M3)의 autocrine 증식)

  • Yang Mhan-pyo
    • Journal of Veterinary Clinics
    • /
    • v.12 no.1
    • /
    • pp.789-798
    • /
    • 1995
  • 우백혈병 바이러스감염 B 세포주(BL2M3 및 BL312)의 배양상층액에 대한 자기세포들의 증식반응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BL2M3 및 BL312세포의 배양상층액을 자기세포인 BL2M3세포에 첨가했을 때 농도에 비례하여 현저한 증식을 유도하였다. 이것은 배양 4-5일차, 배양상층액의 첨가농도는 50-60%,세포수는 5x$10^4$-5x$10^{5}$ /ml에서 최적의 증식반응을 보였다. 우태아혈청(FBS) 무첨가 BL2M3 및 BL312세포의 배양상층액에 대해서도 BL2M3세포는 동일한 증식반응을 보였다. 한편 BL2M3 및 BL312세포의 배양상층액을 BL312세포에 첨가했을 때는 BL2M3세포의 경우에 비해 현저하지 않았다. 또한 BL2M3 및 BL312세포의 배양상층액은 말초혈액 림프구에 대해서도 pokeweed mitogen(PWM)첨가 유무에 관계없이 증식을 유도하였다. 그러나 PWM자극 말초혈액 단핵세포의 배양상층액은 BL2M3 및 BL312세포에 대해서 전혀 증식을 유도하지 못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우백혈병 바이러스감염 B세포주 특히 BL2M3세포는 세포자신이 증식인자를 분비하고 그것과 반응하여 증식하는 소위 autocrine growth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 PDF

Evaluation of the Cell-Mediated Immunity in Treatment Failure Pulmonary Tuberculosis (치료실패 폐결핵 환자의 세포성면역반응에 관한 연구)

  • Park, Jeong-Kyu;Park, Jang-Seo;Kim, Hwa-Jung;Jo, Eun-Gyeong;Min, Dul-Lel;Lim, Jae-Hyun;Suhr, Ji-Won;Paik, Tae-Hyun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v.47 no.1
    • /
    • pp.13-25
    • /
    • 1999
  • Background: Ineffective cell-mediated immune response in human tuberculosis is associated with a depressed Thl cytokine response and reduced production of IFN-$\gamma$. Most persons infected with Mycobacterium tuberculosis are healthy tuberculin reactors with protective immunity, but a minority with ineffective immunity develop extensive pulmonary tuberculosis. The cell-mediated immune response is an important aspect of host resistance to mycobacterial infection and is believed to be tightly regulated by a balance between Th1 cytokines including IFN-$\gamma$, IL-12, IL-18, regulated on activation, normal T cell expressed and secreted (RANTES) and Th2 counterparts such as IL-4,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l (MCP-l). Methods: Proliferation and mRNA expression of IFN-$\gamma$, RANTES and MCP-l by RT-PCR in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PBMCs) in response to in vitro stimulation with mycobacterial antigens were compared in pulmonary tuberculosis patients with cured and treatment failure and in tuberculin-positive and tuberculin-negative healthy subjects. Results: Defective proliferative responsiveness to aqueous TSP antigen was involved with treatment failure tuberculosis patients. Aqueous TSP antigen-induced IFN-$\gamma$ and RANTES mRNA expression was decreased in treatment failure tuberculosis patients compared with healthy tuberculin reactors and cured tuberculosis patients (23.1 % versus 90.0% for IFN-$\gamma$ and 46.2% versus 70.0% versus 46.2% for RANTES). The frequency of MCP-l mRNA expression to aqueous TSP antigen in treatment failure tuberculosis patients was greater than in healthy tuberculin reactors and cured tuberculosis patients (76.9% versus 40.0%). Conclusion: The increasing expression of MCP-1 mRNA in response to aqueous TSP antigen might be predicted to favor Th1 responses and restricted Th1 responses in treatment failure of pulmonary tuberculosis.

  • PDF

bovine leukosis (산재성 송아지 백혈병)

  • 임금기;장현철;강문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Veterinary Pathology Conference
    • /
    • 2002.11a
    • /
    • pp.150-150
    • /
    • 2002
  • 40두 규모의 농장에서 사육된 홀스타인 종, 4개월령의 수컷 송아지에서 거세 후 고열, 식욕부진, 기침 등의 증상과 함께 전신 체표 림프절의 종대가 관찰되어 백혈병으로 잠정진단 하고 도태를 권유하였으나 축주가 치료를 원해 항생제와 해열제 및 기타 대증요법을 실시한 후 치료반응이 없어 폐사하여 부검을 실시하였다. 혈액 검사상 이상핵과 다형핵을 가진 다수의 림프구 및 백혈구, 호중구, 림프구 및 단핵구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또한 백혈병 바이러스에 대한 분리 및 PCR 검사는 음성이었다. 부검 소견으로 체표 림프절, 슬관절 부위 및 비장과 간의 종대가 관찰되었으며 비장 중심에 12x11 cm의 종괴와 폐의 전엽부 유착 및 폐문, 종격동 림프절의 심한 종대가 관찰되었다. 견갑전 림프절을 비롯하여 대퇴골 전, 서혜, 폐문, 이하림프절 등 전신 림프절의 종대 및 소성의 연한 황색의 매끄러운 절단면을 보였다. 전지 관절의 종대와 관절강 내부는 증가된 농성 활액을 보였으며 고관절 강 내에 농성 활액의 증가와 공기 노출 후 젤리양 응고를 보였다. 심장은 장액성 위축과 함께 섬외막성 점상출혈이 나타났다. 병리조직학적 소견으로 비장은 지주 주변에 미성숙형의 세포들의 침윤이 보이며 유사분열상이 다수 관찰되었고 백색 수질에도 유사분열상의 증가와 함께 림프아구성 세포들이 다수 나타났다. 이들 주요한 비정상 세포들은 다형성의 큰 핵을 가진 다양한 림프아구의 형태를 지녔으며 핵내 공포가 인정되었다. 비장의 종괴 주변에는 증식된 섬유조직으로 둘러싸여 있었으며 미세농양 형성되어 있고, 일부 석회화가 진행된 부위도 있었다. 간소엽성 중심성 울혈과 가벼운 간세포내 지방침윤, 혈관 내 림프아구 형태의 세포와 소수의 호중구가 관찰되었다. 간삼조 주변에는 가볍거나 중등도의 단핵세포의 침윤이 미만성으로 관찰되었다. 폐에서는 중등도의 기관지 폐렴과 함께 일부는 무기폐가 관찰되었으며 폐포강과 세기관지내에는 염증성 삼출물이 다량 들어 있었다. 다병소성 미세농양과 함께 괴사가 있었고 실질의 섬유화가 진행되어 있었다. 또한 중등도의 간질성 신장염과 림프절은 지주 주변에 간극 내 비정상 림프구 세포의 형태는 비장의 그것과 유사하였으며 적수와 백수의 구이 힘들며 림프소절이 증가되어 있었다. 한 시야에서 유사분열상이 6-8 개로 그 지수가 매우 높으며 이와 더불어 큰 림프구가 전반에 걸쳐 침윤되어 있었다. 주변부 동(sinus)에는 많은 물질들이 침윤되어 있으며 렴프소절내 미만성의 성상현상이 관찰되었다. 회장은 파이어판내 심한 림프구 소실이 나타났다. 이상의 소견을 바탕으로 본 증례는 산재성 송아지 백혈병으로 진단되었다

  • PDF

In vitro Bone Marrow Cell Proliferation of Cell Wall Preparation from Bifidobacterium bifidum SL-21 (Bifidobacterium bifidum SL-21의 세포벽 조제성분에 의한 in vitro 골수세포 증식활성)

  • Shin, Myong-Sook;Yu, Kwang-Won;Shin, Kwang-Soon;Lee, Ho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6 no.3
    • /
    • pp.484-489
    • /
    • 2004
  • Bifidobacterium species isolated from infant feces were fractionated into cell wall, cytosol, and extracellular preparations of culture broth, and each fraction was examined for Peyer's patch-mediated bone marrow cell proliferation activity in vitro. Cell wall preparation of B. bifidum SL-21 (CWP) showed the highest bone marrow cell proliferating activity dose dependently, and enhanced production of cytokines, such as hematopoietic growth factor (GM-CSF), IL-2, and IL-6, in culture supernatant of Peyer's patch cells, After treatment with lysozyme, CWP was fractionated, among which intermediate molecular-weight fraction (30-50 kDa) showed significantly high bone marrow cell proliferating activity. These results suggest CWP of B. bifidum SL-21 effectively activates lymphocytes in Peyer's patch, and several cytokines, possibly playing important role in enhancement of systemic immune system, were produced by activated lymphocytes.

피부 병변은 닭 마렉병 진단에 결정적 단서를 제공한다

  • 조경오;박남용
    •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Pathology
    • /
    • v.6 no.2
    • /
    • pp.101-104
    • /
    • 2002
  • 닭의 전신장기에 림프종 발생이 특정인 마렉병(Marek's disease; MD)은 림프구성 백혈병(Lymphoid leukosis; LL)과 병리학적 소견이 매우 유사하여 감별이 요구된다. 마렉병 바이러스(Marek's disease virus; MDV)는 질병초기에서 후기에 이르기까지 모낭상피세포에 세포용해성 감염을 지속적으로 일으킨다. 세포용해성 감염이 있는 모낭상피세포는 변성내지 괴사되어 있고 핵내봉입체가 관찰된다. 또한 세포용해성 감염이 있는 모낭상피세포 바로 밑의 진피와 깃털 수질(feather pulp)내의 혈관주위에 림프구 침윤이 관찰된다. 이러한 피부병변은 MD의 특징적인 병변들로서 LL과 감별할 수 있는 결정적인 단서이다. 본 고에서는 MD에 관한 전반적인 것과 특히 MD 진단을 위한 피부병변의 유용성에 대해서 자세히 논하고자 한다. 양계산업에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 림프구 증식성 종양은 크게 마렉병(Marek’s disease; MD)과 백혈병(Lymphoid leukosis; LL)이 있다. 이들 질환의 원인체들이 분리되기 전까지는 이들 질병들은 발병부위에 따라 질병명을 붙였다. 즉, 내부장기냐 근육에 발생한 것은 visceral lymphomatosis, 피부에 발생한 것은 skin leukosis, 말초신경의 병변은 poly­n neuritis, neuritis, neurolymphomatosis gallinarum, range paralyis로 불리었다. 또한 눈에 발생한 것은 blindness, gray eye, iritis, uveitis, ocular lymphomatosis라고 불리었다. 1961년에 Biggs는 이러한 림프구 증식성 질병을 마렉병과 백혈병 으로 분류하자는 제안을 하였고, 드디어 1960년대 중반에 림프구 증식성 병변 중의 일부에서 herpesvirus가 분리되어서 Biggs가 제안한 병명인 마렉병을 본격적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MD는 마렉병 바이러스(Marek’s disease virus; MDV)가 원 인제로서 닭에 전염성이 강한 염증성에서 종양성의 병변을 내부장기, 피부, 근육, 안구, 중추신경계, 말초신경계 등에 일 으킨다. MDV는 림프종을 유발하기 때문에 처음에는 사람에서 림프종을 유발하는 Epstein-Bar 바이러스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gamma-herpesvirus로 분류되었지만, MDV의 게놈 구조와 세포배양에서 빠르게 성장한다는 점 때문에 지금은 alpha-herpesvirus로 재분류 되었다. MDV는 바이러스 중화시험과 한천 겔 침강법에 의해서 3개의 혈청형으로 분류 된다. 혈청형 1은 종양원성 바이러스와 종양원성 바이러스의 계대배양에 의한 약독주가 있다. 혈청형 2는 자연적으로 발 생하는 비종양원성 닭의 MDV이고, 혈정형 3은 바종양원성 칠면조 herpesvirus (HVT)이다. 림프종을 유발하는 MDV 감염은 4개의 과정, 즉 초기 세포용해성 감염, 잠복감염, 후기 세포용해성 감염, 마지막으로 종양화로 나눌 수 있다. 감염의 경로를 보면, 흡입된 MDV는 폐의 대식세포에 감염한 후 전선 장기로 MDV를 전파 시킨다. 특히, 흉선, F냥, 비장 등의 림프구에 초기 세포용해성 감염을 일으키는데, B 림프구가 주로 감염된다. 세포용해성 감염음 방어하기 위해 몰려든 T 림프구가 활성화가 되면, T 세포도 감염되게 된다. 잠복감염은 여러 가지 사이토카인 등 을 포함한 면역반응에 의해서 일어나며, 이 때 잠복감염된 세포는 특히 혈중의 T 세포라고 한다. 혈중 MDV 감염세포 는 피부 모낭상피세포, 선장 등 상피세포 유래의 조직에 MDV를 전파 시켜서 이들 조직에서 후기 세포용해성 감염이 일어나게 한다. 후기 세포용해성 감염을 유발하는 것은 이러한 MDV가 감염된 혈중 림프구라는 증거는 혈중의 세포 외에는 감염성 바이러스가 없기 때문이다. 후기 세포용해성 감염이 있는 후 육안적 혹은 현미경적으로 검출이 가능한 림프종이 여러 장기에서 관찰된다. MDV가 감염되면 병변 발생부위에 따라서 다양한 임상증상이 발생한다. 즉 내부장기에 병변이 있을 경우는 침울, 체중감소, 산란율 저하 등이 발생하며, 신경계는 발생부위별 신경증상이 일어난다. 이러한 장기나 조직에서는 육안적으로 백색에서 회백색의 종양성 병변이 관찰된다. 말초신경에 병변이 발생한 경우에는 특히 좌골신경 및 신경총에서 호발하는데, 이들 조직은 편측성 혹은 양측성으로 종창되어 있다. 안구는 간혹 육안적으로 식별이 가능한 홍채 퇴색 및 증식 병변이 관찰된다. 피부형 MD는 특히 육용계에서 문제가 되고 있으며, 산란계의 내장형 MD가 발생한 경우에도 피부를 자세히 설펴보면 피부형 MD를 간혹 관찰할 수 있다. 피부형 MD는 모낭주위에 원형의 결절형태로 발생하는데, 이들 병변이 커지면 바로 옆의 병변과 융합 되어 큰 결절을 형성하기도 한다. (중략)

  • PDF

Effect of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QACs) on the Immune Response of eel(Anguilla japonica) In vitro (In vitro에서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QACs)이 뱀장어의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 Choi, Min-Soon
    • Journal of fish pathology
    • /
    • v.13 no.2
    • /
    • pp.103-110
    • /
    • 2000
  • The immunostimulatory effects of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QACs) were investigated in leucocytes of eel(Anguilla japonica) in vitro. Proliferation of peripheral blood lymphocytes(PBLs) was no significantly affected by QACs, regardless of mitogen(PHA, ConA and LPS) and the concentration of QACs added. QACs heightened the leucocytes function such as respiratory burst activity, phagocytosis and pinocytosis, resulting i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bactericidal activity of macrophage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QAC might modulate the immune responses by activation of leucocytes function but not by increment of immunocompetent cell numbers.

  • PDF

Immunomodulating Activity of Laminaria japonica Polysaccharides (참다시마 다당체의 면역 증강 활성)

  • Ryu, Deok-Seon;Oh, Seung-Min;Kim, Ki-Hoon;Kim, Soo-Hwan;Choi, Hyun-Ju;Lee, Dong-Seok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42 no.3
    • /
    • pp.350-354
    • /
    • 2010
  • Laminaria japonica polysaccharides (LP) were prepared from L. japonica through hot water extraction, ultrafiltration and gel chromatograph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immunomodulating activity of LP (0.25-1 mg/mL) on the mitogen/alloantigen reactive proliferation and killing activity of the Balb/c mouse splenocytes. The LP directly induced the proliferation of splenocytes that was stimulated with mitogen or alloantigen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killing activity of cytotoxic T lymphocytes (CTLs) and lymphokine activated killer cells (LAKs) were enhanced significantly in the LP treated cells. Also, the treatment of splenocytes with LP increased production of interleukin-2 (IL-2). These results suggest that polysaccharides from L. japonica show a substantial immunomodulating activity in mouse immune ce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