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리플전압

Search Result 304,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New Double-Connected Multi-Step Inverter for High Power Motor Drive Applications (대용량 모터드라이브 적용을 위한 새로운 이중접속방식의 멀티스뎁 인버터)

  • Yang S.U.;Mok H.S.;Choe G.H.;Choi S.W.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3.07b
    • /
    • pp.598-601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전압원 인버터의 출력전압 파형을 개선하여 중 $\cdot$ 대용량급 모터드라이버 및 UPS, STATCOM, SVC등에 적용하기 위한 새로운 3상 전압원 인버터를 제안한다. 보조회로로서 사용한 컨버터로 리플전압을 발생시키고 이를 기존의 12-스텝 인버터에 주입하는데 한대의 링크를 사용하면 12-스텝 동작이 24-스텝으로 전환되며 보조 변압기의 1차 권선을 2N(N=1,2,3...)으로 늘리면 24N-스텝으로 전환된다. 본 방식의 타당성을 실험 및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입증하였다.

  • PDF

Filter Design for Utility Interactive Inverters using Single-phase Full-bridge Topology (단상풀브릿지 구조를 갖는 계통연계형 인버터의 필터인덕터 설계)

  • Kim, Hyo-Sung;Oh, Seth;Kim, Paul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7.07a
    • /
    • pp.309-311
    • /
    • 2007
  • 본 논문은 단상풀브릿지 구조를 갖는 계통연계형 전압형 PWM 인버터를 위한 필터설계를 목적으로 한다. 단상풀브릿지 전압형 PWM 인버터의 교류출력단 전압과 계통전압의 관계를 분석하여 필터인덕터에 흐르는 스위칭리플전류의 크기를 정량적으로 구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기초로 하여 계통주입전류의 기본파성분에 대한 리플전류의 비율을 평가함수로 하는 필터인덕터의 설계법을 제시하였다. 제안된 설계방법을 시뮬레이션 및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 PDF

Filter Design for Utility Interactive Inverters using Single-phase Half-bridge Topology (단상하프브릿지 구조를 갖는 계통연계형 인버터의 필터인덕터 설계)

  • Kim, Hyo-Sung;Oh, Seth;Kim, Paul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7.07a
    • /
    • pp.312-314
    • /
    • 2007
  • 본 논문은 단상하프브릿지 구조를 갖는 계통연계형 전압형 PWM 인버터를 위한 필터설계를 목적으로 한다. 단상하프브릿지 전압형 PWM 인버터의 교류출력단 전압과 계통전압의 관계를 분석하여 필터인덕터에 흐르는 스위칭리플전류의 크기를 정성적 및 정량적으로 구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기초로 하여 계통주입전류의 기본파성분에 대한 스위칭리플전류의 비율을 평가함수로 하는 필터인덕터의 설계법을 제시하였다. 제안된 설계방법을 실험을 통하여 검증한다.

  • PDF

Comparative Study of Torque Ripple in Induction Motor Driven by Modified ST-DTC (Modified ST-DTC를 이용한 유도전동기의 토크리플 비교)

  • Choi, Yuhyon;Han, Jungho;Lee, Youngil;Song, Joongh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4.07a
    • /
    • pp.122-123
    • /
    • 2014
  • 기존의 ST-DTC는 하나의 유효 전압 벡터를 인가하여 그 결과 높은 토크 리플이 생기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Modified ST-DTC 기법이 제안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Modified ST-DTC 기법 중 유효 전압 벡터와 제로 벡터를 인가하는 방법과 인접한 두 유효 전압 벡터를 합성한 중간 전압 벡터를 인가하는 방법을 비교한다.

  • PDF

Compensation method of currents offset with battery charger (차량용 배터리 충전기의 전류옵셋 보상기법개발)

  • Jeong, Hae-Gwang;Kim, Dong-Hee;Lee, Kyo-Beum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1.11a
    • /
    • pp.211-212
    • /
    • 2011
  • 본 논문은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충전기를 위한 전류옵셋 보상기법을 제안한다. 인버터 내부의 스위치의 성능차이 또는 내부 회로의 문제로 인해 입력전류에 옵셋이 발생하게 되면 배터리 충전기와 연결된 직류단 전압에 선 주파수에 해당하는 리플성분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직류단 리플은 배터리 충전 시출력전압의 리플이 되어 배터리의 수명과 성능에 악영향을 끼친다. 제안하는 전류옵셋 보상기법은 추가적인 수동소자나 센서의 추가 없이 입력전류 옵셋을 효과적으로 제어한다. 50kW 급의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충전기모델을 이용한 시뮬레이션 결과는 제안하는 보상기법의 타당성과 안정성을 보인다.

  • PDF

The optimal compensation gain algorithm using variable step for buck-type active power decoupling circuits (벅-타입 능동 전력 디커플링을 위한 가변 스텝을 적용한 최적 보상 이득 알고리즘)

  • Baek, Ki-Ho;Kim, Seung-Gwon;Park, Sung-Mi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7.11a
    • /
    • pp.177-178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벅-타입 능동 전력 디커플링 회로의 단순화된 제어 방법을 위한 가변 스텝을 적용한 최적 보상 이득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고정 스텝을 사용한 기존의 최적 보상 이득 알고리즘보다 유동적인 보상 이득 변화를 통해 DC링크 전압 리플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기존의 방법보다 최적 보상 이득을 추적하는 시간이 줄어들어 갑작스런 부하 변동이나 이상 상황에 빠른 대응이 가능하다. 벅-타입 능동 전력 디커플링 회로는 전류 불연속 모드로 동작하며, 전류 지령치는 DC링크 전류의 1차 리플 성분에 전류 이득을 유동적으로 보상하여 생성하기 때문에 모든 구간에서 효과적으로 DC링크의 전압 리플을 줄일 수 있고 빠른 대응이 가능하다. 제안하는 가변 스텝을 적용한 최적 보상 알고리즘의 효과는 MATLAB-Simulink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하였다.

  • PDF

The Analysis for the Ripple of PV Output Voltage Considering Temperature and Irradiation (온도와 일사량 조건에 따른 PV 출력 전압 리플 분석)

  • Park, Sung-Sil;Lee, Hwa-Soo;Moon, Hee-Sung;Lee, Byoung-Ku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10c
    • /
    • pp.243-245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지역별로 다른 일사량과 온도 조건에 따른 리플률을 비교하여 커패시터 용량산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PV 출력 전압 리플을 분석하기 위해 일사량과 온도 조건이 다른 두 지역 수원과 대구를 선정하여 동일한 태양광용 PCS에 적용 하였으며 시뮬레이션을 통해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PDF

Improv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converter using a hybrid software filter (하이브리드 소프트웨어 필터를 이용한 컨버터의 동작 특성 개선)

  • Lee, Won-Jin;Park, Sung-Ju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3.07a
    • /
    • pp.393-394
    • /
    • 2013
  • 스위칭 방식의 DC/DC 컨버터에서 컨버터의 전류 및 전압은 스위칭 리플을 포함한 DC 맥류형태를 취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리플 및 노이즈를 저감하기 위해서 LPF(low-pass filter)를 사용하여 전압 및 전류를 검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LPF의 차단주파수를 낮추면 정상상태에서 리플 및 노이즈 저감에는 그 성능이 우수하나 필터의 시 지연으로 인하여 제어기의 동특성은 현저히 저감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낮은 차단주파수를 갖는 LPF를 기반으로 하여 과도상태 동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소프트웨어 필터를 제안한다. 제안된 하이브리드 필터는 필터의 입력 분을 관측하여 그 변동에 대한 평가함수를 정의하고 그 결과에 따라 스위칭 하는 방식을 취함으로 과도상태에서는 높은 차단주파수를 갖고 정상상태에서는 낮은 차단주파수를 갖는 필터회로 구성이 가능하였다. 또한 제안된 하이브리드 방식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psim을 통하여 시뮬레이션을 행하였다.

  • PDF

Feedforward Compensation Method for Linearization of Three-Phase Grid connected converter (3상 계통연계형 컨버터의 선형화를 위한 전향보상 기법)

  • Choi, Hyeong Jun;Hyun, Seung-Wook;Won, Chung-Yue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5.11a
    • /
    • pp.131-132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3상 계통형 컨버터의 비선형성을 제거하기 위한 전향보상 기법을 제안하였다. 기존 제어방식은 출력전압 지령을 램프함수 형태로 인가하는 기법을 사용하여 오버슈트 전압을 저감해 주었다. 또는 램프함수의 초기 시작점에 대한 오차를 보완하기 위해 옵셋을 램프함수 초기에 더해주어, 제어 시작 시 발생하는 약간의 리플 전류를 저감해주었다. 하지만 이러한 리플 전류의 근본적인 원인은 제어기의 시작이 0에서부터 증가하여 과변조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한 순간적으로 큰 리플 전류는 더 높은 정격의 커패시터를 필요로 하게 되고, 이는 커패시터의 크기, 가격을 높이며 뿐만 아니라 소자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를 없애기 위해 제안하는 전향보상 기법을 적용하여 보다 선형적인 제어기를 구성하였다.

  • PDF

Capacitance Design Method of Active Power Decoupling Circuit Considering DC-link Voltage Ripple of On-board Charger (전기자동차용 탑재형 충전기의 DC-link 전압 리플을 고려한 능동 전력 디커플링 회로의 커패시턴스 저감 기법)

  • Noh, Tae-Won;Koo, Geun Wan;Lee, Byoung Ku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20.08a
    • /
    • pp.34-36
    • /
    • 2020
  • 본 논문은 전기자동차용 탑재형 충전기에 사용되는 능동 전력 디커플링 회로의 커패시턴스 저감 기법을 제안한다. 탑재형 충전기의 허용 DC-link 전압 리플과 커패시턴스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고, 허용 리플 크기에 따른 최적 커패시턴스의 크기를 도출한다. 제안하는 설계 기법은 시뮬레이션 및 실험 결과를 기반으로 검증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