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리트벨트 구조검증

Search Result 3,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Crystal Chemistry and Fine-scale Paragenesis of Chuncheon Nephrite (춘천 연옥의 결정화학과 미시적 공생관계에 관한 연구)

  • 노진환;최진범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3 no.2
    • /
    • pp.96-114
    • /
    • 2000
  • 춘천 연옥은 색깔에 따라 세가지 유형 (연녹색, 암녹색, 및 회색 연옥)으로 구분되고 이들은 각기 서로 다른 조직과 조성을 나타낸다. 연녹색 연옥이 이중에서 가장 일반적인 유형이다. 연옥은 주로 극미립의 연옥질 투각섬석으로 구성되고 여기에 미량의 휘석, Mg-녹니석 및 방해석이 불순물로서 수반된다. 연옥질 투각섬석 결정들은 그 폭이 5$\mu\textrm{m}$ 이하의 극미립질 침상 결정형을 이루며 서로 치밀하게 얽혀있는 연옥 특유의 조직을 나타낸다. 주사전자현미경 하에서 (110)의 벽개면의 발달이 현저하고, 주사탐침현미경 하에서는 벽개면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특징적인 조선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연옥질 투각섬석은 투과전자현미경 하에서 흔히 단쇄형과 복쇄형이 결합한 3중쇄형 격자가 복쇄형의 투각섬석 구조 내에서 불규칙적으로 협재되는 혼성격자 구조가 발달하는 것이 특징이다. 드물지만 5중쇄형 격자와 4중쇄형 격자도 관찰되는데, 이 같은 불규칙한 격자 혼재상은 회색 연옥에서 보다 현저한 경향을 보인다. 이와 같은 혼성격자 구조형의 존재는 춘천 연옥이 열역학적으로 비평형 상태에서 형성되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리트벨트법에 의한 구조검증을 통해서 구해진 연옥질 투각섬석들의 격자상수 값들은 X-선회절의 경우, a=9.837(1)~9.9804(4)$\AA$, b=18.046(2)~18.062(1)$\AA$. c=5.2765(7)~5.2803(3)$\AA$, $\beta$=104.717(9)~104.786(3)$^{\circ}$로 계산되었다. 이에 비해서 중성자 회절법에 의해서 측정되 격자 상수 값은 a=9.8841(6)~9.8933(7)$\AA$, b=18.1429(7)~18.161(2)$\AA$, c=5.3024(3)~5.3060(7)$\AA$, $\beta$=104.698(7)~104.771(4)$^{\circ}$로서 X-선회절에 의한 값들과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연옥질 투각섬석은 Ca에 대한 Mg의 치환에 의해 M(4) 자라의 크기가 작아지면서 b축의 단위포도 함께 줄어드는 결정화학적 특징을 나타낸다. 이는 중성자 회절분석에 의해서 구해진 M(4)의 자리점유율과 M(4)-O의 원자간 거리에 의해서도 확인된다. 그러나 연옥질 투각섬석에 대한 리트벨트법에 구조검증 결과는 연옥의 유형별 미시적 광물상과 혼성격자 구조형의 특징에 별다른 연계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Rietveld Structure Refinement of Biotite Using Neutron Powder Diffraction (중성자분말회절법을 이용한 흑운모의 Rietveld Structure Refinement)

  • 전철민;김신애;문희수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34 no.1
    • /
    • pp.1-12
    • /
    • 2001
  • The crystal structure of biotite-1M from Bancroft, Ontario, was determined by Rietveld refinement method using high-resolution neutron powder diffraction data at -26.3$^{\circ}C$, 2$0^{\circ}C$, 30$0^{\circ}C$, $600^{\circ}C$, 90$0^{\circ}C$. The crystal structure has been refined to a R sub(B) of 5.06%-11.9% and S (Goodness of fitness) of 2.97-3.94. The expansion rate of a, b, c unit cell dimensions with elevated temperature linearly increase to $600^{\circ}C$. The expansivity of the c dimension is $1.61{\times}10^{40}C^{-1}$, while $2.73{\times}10^{50}C^{-1}$ and $5.71{\times}10^{-50}C^{-1}$ for the a and b dimensions, respectively. Thus, the volume increase of the unit cell is dominated by expansion of the c axis as increasing temperature. In contrast to the trend, the expansivity of the dimensions is decreased at 90$0^{\circ}C$. It may be attributed to a change in cation size caused by dehydroxylation-oxidation of $Fe^{2+}$ to $Fe^{3+}$ in vacuum condition at such high temperature. The position of H-proton was determined by the refinement of diffraction pattern at low temperature (-2.63$^{\circ}C$). The position is 0.9103${\AA}$ from the O sub(4) location and located at atomic coordinates (x/a=0.138, y/b=0.5, z/c=0.305) with the OH vector almost normal to plane (001).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the temperature, $\alpha$* (tetrahedral rotation angle), $t_{oct}$ (octahedral sheet thickness), mean distance increase except 90$0^{\circ}C$ data. But the trend is less clearly relative to unit cell dimension expansion because the expansion is dominant to the interlayer. Also, ${\Psi}$ (octahedral flattening angle) shows no trends as increasing temperature and it may be because the octahedron (M1, M2) is substituted by Mg and F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