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로파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2초

허프 변환과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모델 기반 선박 소음의 로파그램 분석 및 식별 (Lofargram analysis and identification of ship noise based on Hough transform an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model)

  • 조준범;하용훈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9-28
    • /
    • 2024
  • 본 논문은 Convolutional Neural Network(CNN) 모델을 이용하여 선박 소음의 로파그램 분석을 통한 선박 식별 시 허프 변환을 적용함으로써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안한다. 수동소나에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면 시간-주파수 영역인 로파그램이 생성된다. 로파그램에는 선박이 방사하는 기계류 소음이 토널 신호로 나타나고 이를 분석하면 선박의 클래스를 특정할 수 있다. 그러나 로파그램의 분석은 숙달된 인원에 의해 진행되는 전문적이고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작업이다. 또한, 로파그램에는 수중환경 특성 상 다양한 배경소음이 같이 전시되기 때문에 표적 식별을 위한 분석이 매우 어렵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로파그램에 허프 변환을 적용하여 선을 추가함으로써 토널 신호를 강조하였다. 원본 로파그램과 허프 변환을 적용한 로파그램에 대해 CNN 모델을 이용해 식별을 시도한 결과, CNN 모델의 정확도와 매크로 F1 점수를 통해 허프 변환을 적용한 것이 로파그램 식별 성능을 향상시켰음을 보여주었다.

범게, Orithyia sinica (Decapoda: Brachyura: Orithyiidae)의 메갈로파 유생기의 형태학적 연구 (Description of the Megalopal Stage of Orithyia sinica (Decapoda: Brachyura: Orithyiidae) reared in the Laboratory)

  • 김미향;김혜선;박원규;최정화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2호
    • /
    • pp.437-443
    • /
    • 2014
  • 실험실에서 사육된 범게(Orithyia sinica) 의 메갈로파 유생을 형태적으로 기술하고, 근연과에 속한 메갈로파 유생들과 형태적인 특징들을 비교 하였다. 범게(O. sinica) 의 메갈로파기는 근연과에 속한 메갈로파들과 다음과 같은 면에서 비교 구분되었다: 갑각은 그 폭이 길이보다 약간 길며 옆으로 2개의 가시가 있고, 다섯 번째 보각의 발가락마디 끝에 긴 강모가 없으며, 꼬리는 매끈하고 그 끝이 약간 오목하였다.

물맞이게속(갑각강: 십각목: 물맞이게과) 3종의 메갈로파 유생 (Megalopal stages of three Pugettia species (Crustacea : Decapoda : Majidae) reared in the laboratory)

  • 고현숙;황상구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3권4호
    • /
    • pp.261-270
    • /
    • 1997
  • 실험실에서 물맞이게 속의 3종, 뿔물맞이게(Pugettia quadridens quadridens), P. marissinica, 중간뿔물맞이게(P. quadridens intermedia)로 부터 메갈로파 유생을 얻었다. 이들 3종의 메갈로파 유생을 상세히 기재 및 도시하고 이미 보고된 Epialtinae아과 다른 종의 메갈로파 유생들과 그 형태적 특징을 비교하였다. P. marissinica는 2종, 중간뿔물맞이게 와 뿔물맞이게의 유생들과 그 특징에서 상당히 큰 차이를 보여 서로 다른 종임을 알 수 있었으나, 중간뿔물맞이게 와 뿔물맞이겐느 형태적으로 매우 유사하였다. 따라서, 중간뿔물맞이게를 종수준으로 간주한 Griffin과 Tranter(1986)의 제안보다 오히려 뿔물맞이게의 아종수준으로 간주한 Sakai(1938, 1976)의 제안이 타당하다고 사료된다.

  • PDF

수동소나를 위한 LOFAR/DEMON 그램 압축 기법 (LOFAR/DEMON grams compression method for passive sonars)

  • 안재균;조현덕;신동훈;권택익;김광태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38-46
    • /
    • 2020
  • 로파/데몬 그램은 수동소나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수중 음향 신호에 대한 방위, 시간, 주파수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결과이다. 이러한 그램들은 기존의 압축 기법들을 적용하기 힘든 토널 성분과 같은 특징들을 포함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진맵과 예측 기법으로 구성된 새로운 로파 및 데몬 그램 압축 기법을 제안한다. 먼저 각 주파수 빈에 대한 예측을 결정하는 이진맵을 생성하고, 프레임을 몇 개의 매크로 블록으로 구분한다. 각 매크로 블록에 대해 인트라 예측과 인터 예측을 적용하여 나머지를 계산한다. 그리고 이진맵에서 유효한 빈들에 대해 예측을 수행하고 엔트로피 부호화를 위해 나머지를 양자화 한다. 이진맵과 예측모드를 전송함으로써 복호기는 동일한 절차로 그램을 복원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하는 알고리즘의 로파와 데몬 그램 압축 결과가 기존의 데이터 압축 기법에 비해 우수함을 확인한다.

털부채게 (갑각 강: 십각 목: 부채게 과)의 유생 발생 (Complete Larval Development of Gaillardiellus orientalis (Odhner, 1925) (Crustacea : Decapoda: Xanthidae) Reared in the Laboratory)

  • 고현숙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5권1호
    • /
    • pp.51-65
    • /
    • 1999
  • 털부채게의 제 1 조에아 유생에서 메갈로파 유생기까지, 실험실내 25$^{\circ}C$에서 와전 유생발생시키고 4기의 조에아 유생과 1기의 메갈로파 유생에 대해 상세히 기재하고 도시하였다. 털부채게의 조에아 유생은 제 1 촉각과 미절의 특징에 의해 Actaeinae아과의 다른 조에아 유생들과 구별할 수 있었다.

  • PDF

이동하는 표적의 방사소음 합성기법 연구 (Research on Synthesis of Radiation Noise from Moving Target)

  • 배재휘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58-65
    • /
    • 2000
  • A target signal simulation method for passive sonar systems is introduced. The method uses multirat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simulate moving target signals in the multi-path sound propagation environment by introducing Lloyd's mirror and Doppler effect. Time and frequency variation of target signal due to the target maneuvering is also considered to provide realistic ship signatures in the LOFAR gram so that the simulated target is used for sonar operator training. Synthesized target characteristics is analyzed and compared with real target signal in terms of interference pattern and frequency variation in the LOFAR gram.

  • PDF

정자계를 가한 반도체를 갖는 도파관내의 전자파이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f Perturbed Electromagnetic Waves in Rectangular Waveguide Filled with atransversely magnetized Semiconductor)

  • 양인응;진연강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2-21
    • /
    • 1974
  • 전자력학적 근사해법인 섭운이론을 횡정식계를 가한 N형 Silicon 반도체로 충만된 거형도파관내의 마이크로로파의 정변특성에 적용해서 전력의 식을 구했다. 이는 전자파의 Maxwell 방정식을 연산자에 의한 고유치문제로 다루어 개발했다. 특히 2개의 Magic-Tee를 사용해서 x만에 의해서 변화하는 전자성분을 검출한 9.61GHz의 TE 파에 의한 실험결과는 제1차사치와 아주 잘 일치했다.

  • PDF

고준위 핵페기물의 고정화를 위한 메트릭스 개발 : Ce파이로클로어 합성 연구 (Development of Matrix for the Immobilization of High Level Radioactive Waste : Study on the Synthesis of Ce-pyrochlore)

  • 채수천;장영남;배인국
    • 자원환경지질
    • /
    • 제35권2호
    • /
    • pp.97-102
    • /
    • 2002
  • Ce-파이로클로어(Ce-pyrochlore; CaCe $Ti_2 $O_7)는 장주기 방사성 폐기물인 악티나이드 원소들을 고정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물질이므로 Ce-파이로클로어를 합성하여 강평형 관계 및 특성을 연구하였다. 혼합된 시료는 상온에서 200-400kg/$\textrm{cm}^2$의 압력으로 성형한 후, 1000-150$0^{\circ}C$ 범위에서 소결온도 및 분위기를 변화시키면서 소성하였다. 합성된 시료는 XRD, SEM/EDS를 사용하여 상분석과 정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Ce-파이로클로어이 최적 합성조건은 산소분위기 하에서, 130$0^{\circ}C$로 소결하였을 때였으며, 이때의 화학조성은 $Ca_{1-x}Ti_{2-y}O_{7-x-2y}$ (x=0.03-0.05, y=0.02~0.04) 으로써 비화학양론적인 특성을 보였다. Ce-파이로클로어는 1300~140$0^{\circ}C$에서 빠른 비조화 분해현상을 나타내었으며, 140$0^{\circ}C$ 이상에서는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와 로파라이트(loparite; $Ce_{0.66}TiO_{3}$)사이의 부분 고용체인 Ce(III)페로브스카이트가 주요상으로써 관찰되었다.

꽃게 Portunus trituberculatus (MIERS)의 종묘 생산에 관한 연구 (PROPAGATION OF THE BLUE CRAB, PORTUNUS TRITUBERCULATUS (MIERS))

  • 변충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87-198
    • /
    • 1970
  • 1970년 7월 11일에 꽃게 Portunus trituberculatus (MIERS)의 인공 부화를 실시하여 조이야 유생으로부터 성체형 꽃게 새끼로 된 후 9회 탈피할 패까지의 성장 과정을 조사하였다. 1. 어미 게의 갑폭(C)과 포란수(E)와의 관계는 E=27.9049C-281.8155의 식으로 표시되었고, 체(W)과 포란수 (E)와는 E=0.5682W-116.4606의 관계식으로 표시되었다. 2. 조이야 유생은 수온 $21.4\~25.2^{\circ}C$ 범위에서 5회를 탈피하여 $13\~14$일만에 메갈로파 유생기로 변태하였고, 조이야 유생기의 1회 탈피 기간은 평군 $2\~$일이 소요되었다. 3. 메갈로파 유생의 배갑폭 평균 길이는 1.70mm였고, 배갑 후면에서부터 전두극 끝까지의 길이는 평균 2.78mm였으며 메갈로파 유생기에서 탈피하여 성체형 게로 되는 데까지는 수온 $25.3\~26.9^{\circ}C$범위에서 $5\~6$일이 소요되었다. 4. 최초의 성체형 꽃게 새끼로 변태한 것은 부화 후 18일째였고, 이 때의 평균 갑폭은 4.48mm, 평균 갑장은 2.62mm 였다. 5. 성체형으로 변태한 새끼 꽃게는 $4\~5$일만에 첫회의 탈피를 하였으며, 탈피 후의 평균 갑폭은 6.47mm, 평균 갑장은 4.66mm 였다. 6. 유생 사육은 염분 농도가 높은 실내 수조보다 낮은 야외 탱크가 효과적이었고, 유생 기간의 폐사율은 조이야 1기에서 2기로 탈피할때 가장 높았으며, 새끼 꽃게로 된 후 9회 탈피기까지의 잔존율은 $55\~65\%$였다. 7. 성체형으로 변태한 후 40일간의 경과 일순(D)에 대한 각 수조별 성장식은 다음과 같이 표시되었다. 갑폭(C)은 실내 수조에서 C=1.1250D+1.7227 야외 수조에서 C=1.3465D-0.2449 갑장(L)은 실내 수조에서 L=0.6654D+1.6712 야외 수조에서 L=0.7893D+0.6919 이상과 같이 회귀 직선으로 표시되었고, 체중(W)은 야외 수조에서 $W=1.15e^{0.12423D}$, 실내 수조에서는 새끼 게 변태 후 9일부터 19일까지는 $W=6.759\times10^{-2}D^{1.2598}$이었고, 21일부터 40일 까지에서는 $W=4.136\times10^{-2}D^{1.6024}$ 등 의지수 곡선으로 표시되었다. 8. 성체형으로 변태한 후 9회의 탈피 기간 중 탈피 회수(N)에 따른 갑폭(C)과 갑장(L) 및 체중(W)과의 성장 관계는 $C=5.2e^{0.28119N}$ $L=3.65e^{0.26372N}$ $W= 0.14e^{0.7037N}$ 등의 지수 곡선으로 표시되었다. 9. 성체형으로 변태한 후 9회 탈피까지의 갑장(L)에 대한 갑폭(C)과 체중(W)과의 상대 성장식은 갑장 2.62mm부터 27.17mm(변태 후 40일)까지는 L=1.6864C-1.0387의 회귀 직선으로 표시되었고, 체중은 갑장 7.47mm부터 18.53mm까지(새끼 게 변태 후 23일)는 $W=9.367\times10^{-5}C^{3.5567}$였고, 갑장 22.11mm부터 27.17mm까지(새끼 게 변태 후 40일)는 $W=3.406\times10^{-5}C^{3.8571}$ 등의 지수 곡선으로 표시되었다.

  • PDF

프로필렌 회수공정에서 화재 및 폭발 사고의 피해영향 해석 (Consequence Analysis for Fire and Explosion Accidents in Propylene Recovery Process)

  • 한성환;이헌창;박교식;김태옥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2-6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석유화학공정에서 잠재위험요소를 확인하고, 사고 결과분석을 통해 안전대책 수립 등의 위험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프로필렌 회수공정(PRP)에서 현실적인 상황을 고려한 누출 시나리오를 선정하고, PHAST RISK(ver. 6.7)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화재 및 폭발 사고의 피해범위를 산출하고, 피해영향을 해석하였다. 그 결과, 6개의 PRP 공정지역 중에서 디프로파나이저 지역, 디에타나이저 지역 및 히트펌프 지역에서는 화재 및 폭발 사고의 피해범위가 매우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제트화재가 발생하는 공정지역에서는 200 m의 반경 내에서 사람이 상주할 수 있는 건물을 설치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재고량과 압력이 큰 공정지역에서는 사고위험을 사전에 예방해야 하고, 사고 발생 시에는 신속한 대처방안 수립이 요구되었다.